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규장각지 - 중

규장각지 - 중

이세열 (지은이)
한국학술정보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400원 -10% 570원 9,690원 >

책 이미지

규장각지 - 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규장각지 - 중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26825655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11-09-16

책 소개

병인양요 때 강화도 외규장각에 소장되었던 도서가 프랑스군에 의해 약탈당한 지 145년 만에 귀환되었다. 이 때 외규장각에 소장되었던 의궤 등 상당수의 유물이 프랑스로 유출되었다가 이번에 모두 귀환된 것이다. 규장각은 본각과 외각 2곳에 왕실도서가 분산되어 소장되었다. 이 규장각에 도서를 소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업무규정이 바로 <규장각지>이다.

목차

상권

이 책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일러두기

정조어제 서문(正祖御製 序文)

1. 건치(建置) 제1
1) 내각(內閣)
附 규장외각(奎章外閣)
2) 직원(直院)
(1) 직원(直院) 연혁
(2) 제학 유언호의 상소문
(3) 상소에 대한 정조의 답변
3) 외각(外閣)

2. 직관(職官) 제2
1) 차제(差除)
(1) 규장각 직제 규정
(2) 검교의 제도 및 임명
(3) 검교의 직함 및 직무
附 내각 잡직(雜織)
附 내각 이속(吏屬)
외각(外閣) 차제(差除)
附 외각 잡직(雜織)
附 외각 이속(吏屬)
2) 예겸(例兼)

3. 봉안(奉安) 제3
1) 봉모훈(奉謨訓)
(1) 전배의(展拜儀: 참배)
(2) 봉서의(奉書儀)
2) 봉어진(奉御眞)
(1) 어진 표제의(御眞 標題儀)
(2) 어진 봉안의(御眞 奉安儀)
(3) 어진 이봉의(御眞 移奉儀)
(4) 왕세자 봉심어진의(王世子 奉審御眞儀)
(5) 각신 봉심어진의(閣臣 奉審御眞儀)

4. 편차(編次) 제4
1) 회췌(會萃)
2) 선사(繕寫)
3) 봉장(奉藏)
(1) 어제각본봉안의(御製閣本奉安儀)
(2) 어제원본봉안의(御製院本奉安儀)
4) 간인(刊印)

5. 서적(書籍) 제5
1) 장서(藏書)
2) 편서(編書)
3) 진서(進書)
(1) 진서의(進書儀)
4) 쇄서(?書)
(1) 쇄서의(?書儀)

부록 원문
도움을 준 자료
찾아보기


중권

1. 교습(敎習) 제6
1) 초계(抄啓)
2) 강제(講製)
3) 친림(親臨)
(1) 친림 시강의(親臨 試講儀)
(2) 친림 시제의(親臨 試製儀)
4) 상벌(賞罰)

2. 원규(院?) 제7
1) 선교(宣敎)
附 숙배(肅拜)
2) 반서(班序)
附 수가(隨駕)
(1) 각료 상견의(閣僚 相見儀)
(2) 각료 양로의(閣 僚讓路儀)
3) 표직(豹直)
附 수궁(守宮)
4) 전최(殿最)
附 고공(考功)
(1) 이문원 전최의(?文院 殿最儀)
5) 기거(起居)
附 진접(晉接)
6) 헌의(獻議)
附 박고(博考)
고사(故事)
7) 대찬(代撰)
附 응제(應製)
8) 진전(進箋)
(1) 각신 진전의(閣臣 進箋儀)
9) 차소(箚疏)
10) 주계(奏啓)
11) 논지(論旨)
附 공이(公移)
12) 일력(日曆)
13) 잡식(雜式)

3. 사실(事實) 제8
1) 신조(宸藻)
(1) 규장각 증광전시(增廣殿試)
(2) 이문원(?文院)에 숙박하면서 각신(閣臣)을 접견하다
2) 기적(紀蹟)
(1) 정조의 이문원강의(?文院講議)
(2) 서명응의 이문원강의(?文院講義) 서문(序文)
(3) 김종수의 규장각 선제기(璇題記)
(4) 유언호의 이문원 사실기(事實記)
(5) 서명응의 자서기(字瑞記)

부록 원문
도움을 준 자료
찾아보기


하권

1. 규장각지(奎章閣志) 발문(跋文)
1) 이복원(李福源)의 발문(跋文)
2) 이휘지(李徽之)의 발문(跋文)
3) 황경원(黃景源)의 발문(跋文)
4) 서명응(徐命膺)의 발문(跋文)
5) 김종수(金鍾秀)의 발문(跋文)

2. 규장각지(奎章閣志) 보충자료
1) 규장각지서(奎章閣志序) 초본(初本)
2) 규장각지(奎章閣志) 2권 간본(刊本)
3) 예악(禮樂)
4) 어진(御眞)
5) 문질(文質)
6) 내각(內閣)의 노거수(老巨樹)
7) 창덕궁(昌德宮)
8) 금원(禁苑)
9) 주합루(宙合樓)
10) 규장각(奎章閣)
11) 누각(樓閣)
12) 정조와 규장각 관원들의 창덕궁 꽃구경
13) 소요정(消遙亭)
14) 쇄원(?院)
15) 소하영미앙궁(蕭何營未央宮)
16) 순욱(筍勖)
17) <일성록> 회췌(日省錄 會萃)
(1) <弘齋全書> 卷182, ?書標記 4, 御定 4, <日省錄> 675卷 寫本
(2) <靑莊館全書> 卷70. 71, 先考積城縣監府君年報 乙巳(정조 9년) 9月 15日
18) <일득록> 회췌(日得錄 會萃)
(1) <正祖實錄> 20卷, 正祖 9年 5月 22日 乙巳條
(2) <弘齋全書> 卷182, ?書標記 4, 御定 4, <日省錄> 18卷
(3) <弘齋全書> 卷166, <日省錄> 6, 政事 1
(4) <弘齋全書> 卷166, <日省錄> 6, 政事 1
(5) <弘齋全書> 卷182, ?書標記 4, 御定 4, <日省錄> 18卷

부록 원문
도움을 준 자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세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 경북 봉화 출생으로 서지학자이며 1급 정사서이다.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고, 2011년 현재 주성대학에 재직 중이며 직지디제라티 연구소장이다. 고 인쇄문화 및 서지학을 비롯해 초정약수와 같은 향토사 연구를 하며, 현존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 직지를 소재로 의상 디자인을 하고 대중 가요를 작사했다. 각종 언론에 칼럼을 집필하고 향토 축제, 다큐멘터리, 오페라, 드라마 등에 고증을 했다. 주요 저서로는 <직지디제라티>, <다가선: 베스트셀러 벗겨보기>, <잃어버린 직지를 찾아서>, 『내수읍지>(공저), <北二面誌(북이면지)>(공저)가 있으며, 번역서로는 <한서예문지>, <직지>, <역사속에 초정약수>와, 학술논문으로는 '백운화상의 생애와 직지', '직지의 이체자 교감', '직지와 비구니 묘덕에 관한 연구', '쌍운암지와 수구다라니', '직지의 어원 및 책이름에 관한 연구'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26825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