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26874554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0-07-31
책 소개
목차
이 책의 표지는 왜 보라색인가?
1 문제는 조명이다
01 조명, 무엇이 문제인가
平直立, 빛과 공간의 수평-수직-입체적 요소
02 지나친 눈부심, 글레어
03 빛의 낙서, 스캘럽 현상
04 OPEN? CLOSED?
05 자연광과 인공광의 조화
06 고객의 시선과 동선을 유도하라
07 빛의 육하원칙, 쇼윈도 조명의 오류
08 平直立 균형의 중요성
2 상업공간 조명기구의 효율적 활용
01 상품 전시와 조명
02 색온도와 상품
03 건축 소재와 빛
04 건축 요소와 빛
3 고객을 모으는 빛, 시선과 동선설계
01 1단계, 가로에서 쇼핑몰로
02 2단계, 복도에서 개별 매장으로
03 3단계, VP (Visual Presentation)
04 4단계, PP (Point of Sales Presentation)
05 5단계, IP (Item Presentation)
4 좋은 매장에는 빛의 비밀이 있다
01 카페와 음식점의 조명환경
02 매장 세부 공간별 조명계획
03 조명과 안전
04 비일상적 공간과 빛의 체험
05 스토리를 담는 조명의 마법
06 영업이 끝나도 조명을
5 상업공간 조명환경의 시공인 분석과 시공 사례
01 매장 성격에 맞는 조명설계 방향 설정
02 ‘Cafe BnU’ 공간조명 리뉴얼
03 단계별 수정설계
부록 조명디자인과 인테리어 용어 정리
저자소개
책속에서
상업공간에서도 인간의 행위와 공간의 성격이 변화하기 때문에, 빛의 성격과 환경도 변화를 주는 것이 이상적이다. 계절별로 출시되는 신제품, 색상과 형태의 차이에 따른 매장 전시 제품의 변화, 상품을 홍보하고 매출 변화에 대응하여 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해 쇼케이스나 행거의 위치를 바꾸는 등, 변화되는 공간에 맞추어 그 특성을 부각하도록 조명의 위치와 특성을 함께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고광택 마감재의 경우 조명이 주로 천장면에 설계된 고휘도의 광원이 라면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천장에 설치된 조명이 옆에서 보아도 눈부신 글레어로 높은 휘도의 빛을 발산한다면, 이는 고광택의 바닥 마감재에 다시 반사되어 더욱 불쾌한 공간 이미지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또한 현장의 이야기로 대형마트의 경우 쇼핑 카트의 바퀴가 더 잘 구르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광택의 매끄러운 소재를 쓰기도 하는데, 카트의 바퀴를 구르게 하는 데 있어서 마감재의 광택은 미미한 영향을 줄 뿐이다.
쇼핑을 원하는 고객이 도심의 가로에서 마주하는 야간 경관은 도시의 가로 전체를 거대한 쇼핑몰로 느끼게 한다. 그래서 건축물의 외부 경관과 파사드가 주는 이미지가 긍정적이라면 그 건물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 자연스럽게 발걸음을 옮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