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27807025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5-12-07
책 소개
목차
서문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 그것 때문이다
프롤로그 행복한 지옥에서 살래? 지루한 천국에서 살래? | 이상한 나라의 삐딱한 심리학 | 지루한 지옥이 기다리고 있다
koreanism 1. 주체성
“내가 한 턱 쏜다”에 숨겨진 본심
|들어는 봤나. 내복단의 혁명?|
…맡겨주면 신이 나는 한국인
…내가 누군지 알아! 갑질의 정체감
…국민 모두가 판사인 나라
koreanism 2.가족확장성
한국형 국가 모델 : 큰아버지와 조카?
|노약자석이 잘 지켜지는 나라의 비밀|
…군자는 그냥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가족 같은 군대란 가능한가?
…넌 누구야? 사장 나와!
koreanism 3.관계주의
‘저희 나라’라고 말하는 사람들
|저희 나라 아니죠, 우리나라 맞습니다|
… ‘밥 먹었니?’와 ‘밥 안 먹었니?’
…나쁜 놈보다 더 나쁜 문제해결 방식
…일본은 왜 사과하지 않을까?
koreanism 4.심정중심주의
한국인의 진심 확인법
|폭탄주를 마셔야 성공한다?|
… ‘가난이 대물림되는 진짜 이유
…왜 한국의 교육이 문제인가?
…노는 것도 진심을 다할 수 있다
…태어날 때부터 가진 자들의 외로움
koreanism 5.복합유연성
한국인이 유독 포기를 싫어하는 이유
|노벨 과학상, 21대 0?|
… ‘가난이 대물림되는 진짜 이유
…왜 한국의 교육이 문제인가?
…노는 것도 진심을 다할 수 있다
…태어날 때부터 가진 자들의 외로움
koreanism 6.불확실성 회피
안 보일까 봐 불안한 사람들
|왜 빨라야 하는데?|
…정의를 책으로 사는 한국인
…때리고 맞는 걸 좋아하는 한국 사회
…인문학은 그런 게 아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심리발달의 관점에서 한국 사회를 해석해본다면 지금의 한국 사회가 경험하는 혼란과 갈등은 어찌 보면 그리 잘못된 것이 아니다. 발달의 과정에서 당연히 경험해야 하는 것이며, 주어진 과제에 도전하지 않고 아무런 고민 없이 지나가는 것이 오히려 발달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사춘기를 충분히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이 성인이 된 후에 정체감 위기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필자의 은사이신 고려대 한성열 교수는 이것을 ‘지랄 총량의 법칙’이라고 하셨다. 인생에서 해야 하는 지랄의 총량은 정해져있고, 어차피 언젠가는 하게 되니까 그냥 청소년 때 하는 게 낫다고 얘기해주셨다. 구구절절이 가슴에 와 닿는 옳은 말씀이다.
한국의 많은 기성세대들의 존재감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보다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누구의 아버지, 누구의 어머니, 누구의 자식, 누구의 상사, 누구의 친구, 누구의 부하 등과 같은 수많은 관계 속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들에게 이런 관계적 존재감이 충분히 느껴지지 않는 상황은 너무나도 불안하고 동시에 좌절스러운 상황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한국 사회에 수없이 일어나고 있는 갑질은 바로 그런 존재감의 상실에서 비롯된 분노가 원인이었다.
한국에서는 괜찮다고 얘기해도 그건 진짜 괜찮은 게 아니다. 아니, 실제로 뭘 원하는지 알 수 없을 때도 있다. 행동의 바탕에 항상 어떤 의도가 깔려있는지 생각해봐야 하고, 보이는 행동과는 다른 진의가 있는지를 고민하고 읽어야 한다. 그래서 몇 번이고 계속 권한다. 아니, 강요한다. 우리는 이걸 ‘배려’라 부르고,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눈치’라는 심리적 기제를 발달시켰다. 이런 고맥락적 의사소통의 특성은 행동보다는 ‘마음’을 중시하고, ‘심정’을 알아주길 바라는 심정중심주의에서 비롯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