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88927879664
· 쪽수 : 760쪽
· 출판일 : 2023-03-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국내외에서의 배움의 시절(1934~1968년)
제1장 전통적 유교교육 속에서 정치관(政治觀)의 기반을 형성하다:
출생에서 도미 직전까지(1934년 5월~1954년 1월)
제2장 14년에 걸친 미국에서의 연구와 교수 생활:
특히 에모리대학교와 예일대학교에서의 연구생활을 중심으로
(1954년 1월~1968년 6월)
2부 학계 시절(1968~1988년)
제3장 정치학의 고전들을 강의하면서 ‘민주정치의 부활’과 ‘정치적 자유의 보장’을 요구하다:
서울대학교 교수로 제3공화국 후반기에 발표한 저술들 (1968년 6월~1972년 10월)
제4장 국민참여의 확대를 제의하면서 동시에 ‘코리안 코먼웰스’안을 발표하다:
서울대학교 교수로 제4공화국 시기에 발표한 저술들 (1972년 10월~1979년 10월)
제5장 제5공화국의 입각 제의를 거부하고 ‘협의민주주의론’을 제시하다:
서울대학교 교수로 제5공화국 시기에 발표한 저술들 (1979년 10월~1988년 2월)
3부 정·관계 시절(1988~2000년)
제6장 국토통일원장관으로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정부의 공식적 통일방안으로 확정하고 영국 주재 대사로 북방정책을 뒷받침하다 (1988년 2월 25일~1993년 4월)
제7장 남북정상회담 개최의 원칙적 합의를 북한과의 협상을 통해 구체화하다:
통일부총리를 거쳐 국무총리 그리고 여당 대표로(1993년 7월~1998년 2월)
제8장 외환위기 수습과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현장에서 뛰다: 주미대사로(1998년 5월~2000년 8월)
4부 언론계·시민운동계 시절(2000~현재)
제9장 국제적 협력과 평화의 증진을 위해 노력하다:
서울국제포럼 이사장과 중앙일보 고문으로 「한·중·일30인회」를 이끌며(2000년 12월~현재)
맺음말
나가는 말 : 현인(賢人)이면서 외유내강의 정치지도자 이홍구 교수를 말한다
이홍구의 발언록: 정치, 정치학, 정치학의 주요 개념, 그리고 역사적 사건에 한정하여
이홍구의 저술, 강연 좌담, 인터뷰
이홍구의 연보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홍구는 1953년 여름, 서울로 환도해 1학년 2학기를 이화동 캠퍼스에서 시작하면서 도미 유학을 결심한다. 법대에 입학할 때는 고등고시를 거쳐 판사가 되기를 희망한 아버지의 뜻을 따랐지만, 그는 철학 그리고 사회과학 전반에 관심이 컸기에 자신의 길을 걷기로 마음먹은 것이다. 마침 어머니의 큰오빠의 딸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수료하고 조지아주립여자대학(Georgia State College for Women: GSCW)을 졸업한 뒤 테네시주립대학교에서 교육학석사학위를 받고 1953년에 귀국한 주정일(朱貞一, 1927~2014) 교수가 도움을 주었다. 주정일 교수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로 출발해 숙명여자대학교로 옮겨 아동복지학과를 신설하고 거기서 정년퇴임한다. -‘도미 유학의 길에 오르다’ 중에서
이홍구는 핫스혼 교수의 강력한 추천을 받아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와 예일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 동시 지원했으며, 두 곳 모두에서 합격 통지를 받았다. 이홍구는 하버드대학교에 관심이 컸으나 핫스혼은 이홍구에게 폴 와이스(Paul Weiss, 1901~2022) 교수가 아직도
형이상학을 강의하고 있는 예일로 진학할 것을 권고했고, 그는 그 권고를 받아들였다. 와이스 교수는 뉴욕시립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화이트헤드 교수의 지도를 받아 1929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곧 브린모어칼리지(College of Bryn Mawr)에서 조교수로 출발해 예일대학교 철학과 교수가 됐다.-‘예일대학교를 선택한 배경‘ 중에서
이 교수는 귀국한 이후 자신의 박사학위청구논문에서 다루지 않았던 주제들에 대해서도 많은 글을 썼다. 그것들은 크게 보아 다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자신이 회원이었으며 한때 회장을 맡았던 한국정치학회와 한국의 정치학 현황, 그리고 자신이 집행위원을 맡았던 세계정치학회(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IPSA)에 관해서다. 둘째, 자신이 속한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한국의 대학들과 교육제도에 관해, 그리고 지식인사회와 청년문화에 관해서다. 셋째, 남북한관계와 통일, 한미관계·한일관계를 비롯한 한국의 주요한 국가들과의 관계에 관해서다. 넷째, 자원문제와 공해문제 및 환경보호문제 등을 포함한 국제적 쟁점들에 관해서다. 이 글들에서 그는 제17명제로부터 제25명제까지 아홉 개의 명제를 제시했다. 다섯째, 국내외에서 출판된 저서들을 대상으로 한 서평이다.
-’박사학위청구논문에서 다루지 않았던 주제들: 대한민국의 대외관계 및 국제문제 그리고 한국정치학의 현황 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