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일반문학론
· ISBN : 9788927901648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2-03-16
책 소개
목차
서 론
1. 연구 목적과 연구 대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과 연구방향
매체 간 상호텍스트성
1. 상호텍스트성과 매체변수
1) 소설과 영화의 상호교류
2) 각색(adaptation)의 의미
2. 소설과 영화의 표현양식
1) 소설의 서술과 영화의 서술
2) 소설과 영화의 수용미학
소설에서 영화로, 변주의 다양한 양상
1. 논평적인 언어와 환유적인 이미지
1) 분석적인 서술양상: 이청준 「벌레이야기」
2) 이미지가 만드는 잉여의 공간: 이창동 [밀양]
2. 설득의 언어와 그로테스크한 영상 미학
1) 자의식적인 서술양상: 이청준 「이어도」
2) 이탈과 전복: 김기영 [이어도]
3. 시적(詩的)언어와 사실주의적 재현
1) 암시적 서술양상: 최윤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2) 개인의 기록과 집단의 기억: 장선우 [꽃잎]
4. 고백적 언어와 일별(一瞥)의 시선
1) 회고적 서술양상: 구효서 <낯선 여름>
2) 일별(一瞥)의 시선: 홍상수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5. 소결: 심미적 지평의 전환
새로운 양식과 문화적 담론의 변화
1. 영화에서 소설로의 매체 전이
1) 회화적 영상미학: 허진호 [외출]
2) 묘사적 서술양상: 김형경 <외출>
2. 소설과 영화의 동시 동반 창작
1) 메타적 서술양상: 이청준 <축제>
2) 극화(劇化)된 재현: 임권택 [축제]
3. 소결: 문화적 담론의 변화양상
영화의 리메이크
1. 시대의 변화와 장르의 변환
2. 욕망의 부분적 성취와 좌절의 기표
3. 인물화(characterization)
1) 팜므파탈에서 백치미로
2) 소심한 가장에서 무치(無恥)의 제왕으로
3) 다양한 인물화로 직조한 시대상
4. 영화 속 여성 이미지
5. 소결: 영화의 리메이크가 가지는 의의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