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27902126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3-01-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님의 沈默>에 나타난 R. 타고르의 영향관계연구-<園丁>을 중심으로
1. 서론
2. 시인으로서 타고르의 영향
3. 식민지인으로서 타고르와의 균열감
4. 결론
정지용 시에 나타난 ‘시계’의 의미와 ‘감각’
1. 부정적 근대성의 시계
2. 시계에 갇힌 자아와 ‘유리’의 경계적 상상력
3. 근대성을 ‘앓는 자아’의 미분적 시간의 감각
4. 결론
박목월의 시에서 경상도 방언의 사용과 그 의미-<경상도의 가랑잎>을 중심으로
1. 서론
2. 지방색의 제거
3. 기호로서의 방언
가족, 존재를 비추는 거울
1. 깨진 거울과 유기체적인 거울
2. 가족 아날로지-낯선 존재들을 가족과 고향으로 만드는 힘
3. 축적된 과거의 힘과 과정으로서의 세계인식-외할머니네 ‘때 거울’ 툇마루
4. y=f(x)의 존재론을 해체하고 ‘한 페-지의 거울’을 얻기까지
5. 결론
‘심리적 거리(psychic distance)’와 설화 수용
1. 서론
2. ‘심리적 거리’의 스펙트럼
3. 거울과 설화, 거리 조절 장치
4. 결론
박목월 시에 나타난 ‘집’의 상상력
1. 서론
2. 공간의식의 개폐와 두 개의 관념 공간
3. 대립적 현실인식과 미완의 집
4. 기억공간의 복원과 우주의 집
5. 결론
동인지 <한국시>와 <시법>
1. <韓國詩>와 <詩法>의 약사(略史)
2. 지향경향과 그 의의
3.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