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55564686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06-03-3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I. 이상 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 ]
실낙원 산보로 혹은 산책의 지형도 - 신범순
1. 시적 토템의 기호 삼각형
2. 경성거리와 백화점의 텍스트
3. 산보의 두 유형ㅡ고고학적 산보와 근대적 황야의 산보
4. 실낙원 이후의 여정ㅡ새로운 창세기
이상의 아방가르드 시학과 백화점의 문화기호학 - 박현수
1. 시학의 문화기호학적 조건
2. 미쓰코시 백화점과 근대성의 문제
3. 백화점의 문화기호하과 아방가르드 시학
4. 결론
[ II. '날개'를 읽는 몇 가지 시각 ]
잃어버린 정체성을 찾아서 - 박상준
: '날개' 연구 (1) '외출ㅡ귀가' 패턴 및 부부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1. '날개'를 찾아서
2. 외출의 양상과 서사의 추동력
3. 부부관계의 변화 양상
4. 소결 및 남는 문제
근대적 신체 훈육의 관점에서 본 '날개'의 의미 - 김주리
1. 머리말
2. 박제의 기호학과 소모적 신체
3. '아내ㅡ매춘부'와 '아내ㅡ감시자'의 대체가능성
4. 결론
지느러미와 날개의 변증법 - 이수정
1. 서론
2. 아내의 어항에 부딪히기와 행복한 금붕어 되기
3. 겹으로 이루어진 어항ㅡ탈출불가능한 절망적 시공간
4. 지느러미와 날개의 변증법ㅡ글쓰기를 통한 탈출의지
5. 결론
[ III. 이상 문학의 주요 모티프들 ]
이상 시에 나타난 시선의 정치학과 거울의 주체론 - 신형철
1. 서론 - 오감하는 시선, 탈ㅡ건축적 상상력
2. 거리 시편과 시선의 정치학
3. 거울 시편과 가면의 주체론
4. 결론 - 이상의 인식론, 이상의 주체론
'단발'에 나타난 '연애'의 문제 - 차미령
1. 문제 제기 - 이상 소설과 '연애'
2. '드문 애정'의 형식 - 에고이스트의 연애법
3. '감정 시합'의 대상 - 소녀의 사랑법
4. 나가며 - '눈물'에서 '싫은 음식 맛보기'로
이상 문학에서 '분신' 테마의 의미와 그 양상 - 조연정
: 거울, 연애 그리고 자살
1. 가면과 화장ㅡ거리 두기의 수사학
2. 거울 밖의 '보산'과 거울 속의 'SS'ㅡ'휴업과 사정'의 경우
3. 분신의 이중성ㅡ<12월 12일>의 경우
4. 분신과 사랑의 죽음
매저키스트 이상, 근대를 사유하는 한 방식 - 김예리
1. 이상 문학의 이중적인 근대성
2. '휴업과 사정'에 나타난 매저키즘적 유머의 논리
3. '충동적인 힘'으로서의 자연과 "아침 오후 두시"
[ IV. 이상 문학의 다채로운 영토들 ]
이상 시에 나타난 기독교 표상에 관한 고찰 - 김승구
1. 시작하며
2. 기독교적 표상의 변용
3. 마치며
이상의 성천 체험의 내적 의미 - 김윤정
1. 들어가며
2. 오감의 수사학과 충일된 생명성
3. '兒孩'의 생명적 모티브
4. 죽음의 시간 견디기
5. 결론
1930년대의 웃음과 이 상 - 소래섭
1. 흥행물의 범람과 일상 속에 스며든 축제
2. '에로, 그로, 넌센스'와 웃음에 대한 욕망
3. 웃음에 대한 웃음ㅡ이상의 '흥행물천사'의 경우
이 상 문학의 '낭만성' 연구 - 조은주
1. 서론
2. 근대적 합리주의의 세계 비판과 낭만적 주관의 이상화
3. 총체적인 세계의 형상화와 낭만적 아이러니
4. 결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는 거기 아모데나 주저앉어서 내 잘아 온 스물여섯 해를 회고하야보았다. 몽롱한 기억 속에서는 이렇다는 아모 제목도 불그러저 나오지 안았다. 나는 또 내 자신에게 물어 보았다. 너는 인생에 무슨 욕심이 있느냐고. 그러나 있다고도 없다고도, 그런 대답은 하기가 싫었다. 나는 거이 나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기도 어려웠다."
이 구절은 두 가지를 알려준다. 어안이 벙벙한 상태가 연속된다는 것이 하나인데, 살아온 과거의 회고가 아무런 결실도 얻지 못하는 데서 이 점이 잘 드러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른 하나 곧 자문 자답의 내용이다. 인생에서의 욕심 문제에 대해 유무간 대답을 회피하면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기도 어렵다'고 정체성의 문제로 넘어가는 사유 과정이 주목할 만하다. '인생에서의 욕심' 문제가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는 문제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연관은, 더 큰 의미에서의 욕심 즉 입신양명이나 이상의 실현 등이 상실.배제된 상태에서 한 개인이 마지막으로 부여잡고 있는 것이 바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는 문제 곧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일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의미한다.
- 본문 205쪽, II부 '날개'를 읽는 몇 가지 시각 중, '잃어버린 정체성을 찾아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