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재집 寅齋集

인재집 寅齋集

신개 (지은이), 변종현, 윤승준, 윤재환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재집 寅齋集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재집 寅齋集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1550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2-12-30

책 소개

조선 초기 문신 신개(1374~1446)의 문집이다. 《동문선(東文選)》과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등에서 신개의 시문을 수집한 후, 여기에 가장 연보와 묘갈을 붙여서, 본집 3권과 부록 1권 등 총 4권 2책으로 편차하여 간행한 것이다.

목차

일러두기 ·· 4
해제 ·· 11
졸(拙)과 정(貞)을 추구한 조선 초기의 쟁신(爭臣) 신개(申?)|윤승준


인재집 제1권

시 詩
무제 無題 ·· 27
버들개지 연구 柳絮聯句 ·· 28
영춘현을 두고 짓다 題永春縣 ·· 29
또 又 ·· 30
석성 연희루를 두고 짓다 2수 題石城燕喜樓 二首 ·· 31
박수옹의 운을 빌려 次朴粹翁 ·· 32
자헌 중추원사 이정간이 자당의 수를 축하하는 것을 하례하며 賀資憲中樞院事李貞幹慶壽慈堂分韻 ·· 33


기 記
양졸당기 養拙堂記 ·· 36
육송정기 六松亭記 ·· 40

소 疏
평양 백성들의 억울한 옥사를 풀어 주기를 청하는 소
請赦平壤民?獄疏 ·· 49
산과 들의 음사를 금할 것을 청하는 소 請禁山野淫祀疏 ·· 51
대사헌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소 乞遞大司憲疏 ·· 54
서사의 시행을 청하는 소 請行署謝疏 ·· 56
서사의 시행을 청하는 두 번째 소 請行署謝疏[再疏] ·· 63
김토의 관직을 거두어 줄 것을 청하는 소 請免金土官職疏 ·· 69
조말생의 작명을 거둘 것을 청하는 소 請收趙末生爵命疏 ·· 71
조말생의 작명을 거둘 것을 청하는 두 번째 소
請收趙末生爵命疏[再疏] ·· 74
대사헌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소 乞遞大司憲疏 ·· 77


인재집 제2권

소 疏
도적을 그치게 할 방도를 아뢰는 소 請?盜疏 ·· 81
도적의 괴수 이만주를 사로잡기를 청하는 소 請擒滿住賊帥疏 ·· 91
야인을 토벌하기를 청하는 소 請討野人疏 ·· 95
헌릉의 비문을 고칠 것을 청하는 소 請改獻陵碑文疏 ·· 110
정원일기 政院日記 ·· 114
함길도와 평안도 두 도에 관을 설치하기를 청하는 소 請咸平兩道設關疏 ·· 128
노환으로 인하여 우의정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소 因老病乞遞右議政疏 ·· 135
뇌변으로 인하여 우의정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소 因雷變乞遞右議政疏 ·· 137
봉물 감독의 책임을 물어 우의정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소 因封物失監乞遞右議政疏 ·· 138
토지를 측량하여 등급을 나눌 것을 청하는 소 請量田分等疏 ·· 140

전 箋
병 때문에 우의정 직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전문
因病乞遞右議政箋 ·· 146


인재집 제3권

계 啓
과거의 은사 제도를 혁파할 것을 청하는 계 請罷科擧恩賜啓 ·· 151
적괴 이만주의 소굴을 탐문하기를 청하는 계 請探滿住賊狀啓 ·· 153
종묘에 친사하는 의주를 고칠 것을 청하는 계 請改宗廟親祀儀注啓 ·· 155
교서관의 자학을 권면하는 방안을 아뢰는 계 磨勘校書館字學啓 ·· 158
상사 민전의 세습을 허락하지 말라는 계 賞賜民田勿許世傳啓 ·· 161
종실녀의 칭호를 정하기를 청하는 계 宗室女請定稱號啓 ·· 164
국사의 향축관을 차정하라는 계 國祀香祝官差定啓 ·· 166
2품관 이상의 초헌에 방개 설치를 청하는 계 二品官以上乘?請設方蓋啓 ·· 168
후사의 복제를 논하는 계 論爲人後者爲所後家及本宗服制啓 ·· 170
사유를 가려 뽑기를 청하는 계 請揀選師儒啓 ·· 175
평안도 주민 가운데 달아난 자를 규찰할 것을 청하는 계 請檢察平安道人民移逃者啓 ·· 178
사실을 조사하여 시호를 정할 것을 청하는 계 請?實定諡啓 ·· 180

문 文
오도리를 무마하는 방책을 함길도 도관찰사와 도절제사에게 내리는 글 以撫御吾都里策賜咸吉道都觀察使及都節制使文 ·· 188

잡저 雜著
이청원에게 장난삼아 부를 지어 주다 與李靑園?賦 ·· 192


인재집 제4권

부록 附錄
연보 年譜 ·· 197
정원일기 政院日記 ·· 213
사제문 賜祭文 ·· 242
사전 史傳 ·· 244
신도비명 神道碑銘 ·· 246
자손록 子孫錄 ·· 257
묘표 墓表 ·· 259
〈양졸당기〉 뒤에 쓰다 書養拙堂記後 ·· 261

인재집 발 寅齋集跋|신현국 ·· 264
目次

寅齋集
目次



凡例 _____ 267


寅齋集 卷一


無題 _____ 275
柳絮聯句 _____ 275
題永春縣 _____ 275
又 _____ 276
題石城燕喜樓【二首】 _____ 276
次朴粹翁 _____ 276
賀資憲、中樞院事李貞幹慶壽慈堂分韻 _____ 277


養拙堂記 _____ 278
六松亭記 _____ 279


請赦平壤民?獄疏 _____ 283
請禁山野淫祀疏 _____ 284
乞遞大司憲疏 _____ 284
請行署謝疏 _____ 285
再疏 _____ 288
請免金土官職疏 _____ 290
請收趙末生爵命疏 _____ 290
再疏 _____ 291
乞遞大司憲疏 _____ 293


寅齋集 卷二


請?盜疏 _____ 297
請擒滿住賊帥疏 _____ 301
請討野人疏 _____ 302
請改獻陵碑文疏 _____ 308
政院日記 _____ 309
請咸、平兩道設關疏 _____ 312
因老病乞遞右議政疏 _____ 316
因雷變乞遞右議政疏 _____ 316
因封物失監乞遞右議政疏 _____ 317
請量田分等疏 _____ 317


因病乞遞右議政箋 _____ 320


寅齋集 卷三


請罷科擧恩賜啓 _____ 323
請探滿住賊狀啓 _____ 323
請改宗廟親祀儀注啓 _____ 324
磨勘校書館字學啓 _____ 325
賞賜民田勿許世傳啓 _____ 326
宗室女請定稱號啓 _____ 326
國祀香祝官差定啓 _____ 327
二品官以上乘?請設方蓋啓 _____ 327
論爲人後者爲所後家及本宗服制啓 _____ 328
請揀選師儒啓 _____ 330
請檢察平安道人民移逃者啓 _____ 331
請?實定諡啓 _____ 331


以撫御吾都里策賜咸吉道都觀察使及都節制使文 _____ 335

雜著
與李靑園?賦 _____ 337


寅齋集 卷四

附錄
年譜 _____ 341
政院日記 _____ 352
賜祭文 _____ 367
史傳 _____ 368
神道碑銘 _____ 369
子孫錄 _____ 374
墓表 _____ 375
書〈養拙堂記〉後 _____ 376

寅齋集跋 _____ 378

저자소개

신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374년(공민왕23)∼1446년(세종28).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자격(子格), 호는 인재(寅齋)이다. 1393년(태조2)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檢閱)로 발탁되었는데, 당시 태조가 실록을 열람하려 하자 불가함을 논하여 이를 중지시켰다. 이어 형조와 호조의 좌랑, 예문관 직제학 등을 역임하고, 1413년(태종13) 우사간(右司諫)이 되었는데 대신들의 불경(不敬)을 논한 일로 파직되었다. 1417년 공조 판서가 되고 이해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대사헌, 형조 판서를 거쳐 1436년(세종18) 우참찬(右參贊)에 올라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를 겸임하면서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해 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파저강(婆猪江) 야인 이만주(李滿住)를 토벌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여 관철시켰다. 1438년 판이조사(判吏曹事)를 거쳐 이후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펼치기
변종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경북 의성에서 태어났다.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고전시가와 한문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고려조한시연구》, 《고려조명가한시연구》, 《주해 시조가사강독》, 《한국고전시가강독》, 《한국문학의 이해와 감상》(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승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글쓰기 교육과 고전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현황과 정책,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청춘, 고전에 길을 묻다①』, 「한국의 고등교육 정책과 교양교육의 역사」, 「강사제도 시행이 대학 교양교육 환경에 미친 영향」, 『한국 교양교육 현황 조사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윤재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동양학연구원의 연구실장과 번역실장 그리고 한국고전문학텍스트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다. 성호星湖와 순암順菴, 다산茶山 등을 중심으로 한 조선 중·후기 근기 남인들의 문학세계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에 들어서서는 소론 계열로 관심의 폭을 넓히고 있다. 저서로 『매산 이하진의 삶과 문학 그리고 성호학의 형성』·『조선 후기 근기 남인 시맥의 형성과 전개』·『상소와 비답』·『옥동 이서의 삶과 시세계 그리고 성호학』 등과 남인 및 소론 계열 문인을 대상으로 한 다수의 공저서가 있으며, 역서로 『창선감의록』·『춘추번로의증』·『성호선생언행록』·『백언해』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