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윤승준, 권순구, 김광식, 김민수, 김유미, 김주언, 김주환, 백주진, 서문석, 안숙현, 이유진, 이현영, 임선숙, 정인모 (지은이)
역락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5% 0원
2,000원
36,000원 >
36,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600원
32,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2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40,000원 -10% 2000원 34,000원 >

책 이미지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학 고전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91167423603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22-06-15

책 소개

단국대학교는 본원적 축적의 시기에 있는 대학생들에게 인류의 지적・문화적 유산의 정수가 담겨 있는 고전을 직접 읽고 함께 이야기하게 함으로써 자기 교육과 도야의 장을 마련해 주고자 하는 취지에서 고전교육을 시작하였다.

목차

서문 5

제1장 교양교육으로서의 고전교육, 그 의미와 방향

교양교육과 고전교육•정인모 13
Ⅰ. 서론 13
Ⅱ. 대학 혹은 교양교육의 본질 15
Ⅲ. 왜 고전인가? 17
Ⅳ. 고전 읽기 방안 24
Ⅴ. 고전 읽기 수업의 실제 32
Ⅵ. 결론 35

자유를 향한 싸움의 실용적 기술로서 고전―사회과학 고전읽기•김주환 39
Ⅰ. 서론 39
Ⅱ. 숙명적 비극의 세계를 살아가는 무기력한 청년들 43
Ⅲ. 칸트 배후의 사드: 고전교육 배후의 폭력 54
Ⅳ. 고전교육의 목표는 힘의 강화이다 57
Ⅴ.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의 경우 59
Ⅵ. 결론 72

LAC 교과목으로서 「명저읽기」 강좌의 방향 설정을 위한 모색•김주언 77
Ⅰ. 머리말 77
Ⅱ. 왜 「명저읽기」인가 80
Ⅲ. 「명저읽기」의 내용과 범위 84
Ⅳ. 「명저읽기」 교육 방법론을 위한 탐색 87
V. 맺음말을 대신하여: 「세계 지성사의 이해」로 가는 길 99

단국대학교 교양필수 교과목 「명저읽기」 운영 사례•윤승준 107
Ⅰ. 머리말 : 교양교육과 고전교육 107
Ⅱ. 교양필수 교과목 「명저읽기」 운영의 실제 113
Ⅲ. 맺음말 : 고전교육을 넘어서 146
서울대학교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 운영 사례•김광식 151
Ⅰ. 들어가며 151
Ⅱ. 왜 읽는가? 154
Ⅲ. 어떻게 읽는가? 155
Ⅳ. 인성교육에 위험할까? 170
Ⅴ. 사디즘일까? 172
Ⅵ. 나가며 175

제2장 고전읽기 교육의 방법과 실제

구성주의 이론을 통한 대학 「명저읽기」 수업 모형 연구
―최인훈의 『광장』을 중심으로•임선숙 183
Ⅰ. 서론 183
Ⅱ. 읽기 수업 구성의 이론적 고찰 188
Ⅲ. 읽기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 194
Ⅳ. 결론 222

「명저읽기」 수업에서의 미시적 읽기 연구―『죄와 벌』을 중심으로•이현영 227
Ⅰ. 서론 227
Ⅱ. 텍스트 요인에 근거한 미시적 읽기 232
Ⅲ. 구조적 측면에 대해 미시적 읽기 240
Ⅳ. 창의적 글쓰기 245
Ⅴ. 결론 251

질문 생성을 위한 단계별 읽기 구성 방안
―「명저읽기」 그리스 비극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김유미 255
Ⅰ. 서론 255
Ⅱ. 그리스 비극, 작품별 읽기 목표의 차별성 260
Ⅲ. 단계별 읽기 방법 264
Ⅳ. 질문과 쓰기의 연계 275
Ⅴ. 결론 282
외국인 학습자들의 고전교육을 위한 ‘인물 가상 인터뷰 동영상 만들기’
프로젝트 학습 모형 제안•안숙현 287
Ⅰ. 서론 287
Ⅱ.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법 293
Ⅲ.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인물 가상 인터뷰 동영상 만들기’
프로젝트 학습 모형 299
IV. 결론 및 제언 323

제3장 교양교육을 위한 고전 연구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과 교양교육•서문석 331
Ⅰ. 서론 331
Ⅱ. 연구의 배경 335
Ⅲ. 『국부론』의 핵심 개념 분석 340
Ⅳ. 『국부론』에 대한 현대경제학의 재해석 354
Ⅴ. 결론 360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 다시 읽기
―교육적 함의와 현재성을 중심으로•김민수 367
Ⅰ. 서론 367
Ⅱ. 『전체주의의 기원』의 구상과 구성 373
Ⅲ. 『전체주의의 기원』의 교육적 함의 378
Ⅳ. 결론을 대신하여: 『전체주의의 기원』의 현재성 391

데카르트 철학에서 실체와 주된 속성의 구별에 대한 고찰•백주진 399
Ⅰ. 서론 : 실체 개념의 수정 399
Ⅱ. 최종 한정가능자로서의 실체 402
Ⅲ. 실재적 구별, 양태적 구별, 이성적 구별 411
Ⅳ. 실체와 주된 속성 사이의 동일성과 의미론적 차이 414
Ⅴ. 장-마리 베이사드(J.-M. Beyssade)의 해석, 인과적 힘으로서의 실체 418
Ⅵ. 결론 : 자연학에서 실체 개념 424
『열하일기』와 『담헌연기』의 문답 양상을 통해 본 중세적 앎의 경계와 포용의 의미
―청조 문사와의 교유를 중심으로•이유진 429
Ⅰ. 서론 429
Ⅱ. 燕行을 통한 앎의 경계성 체감 433
Ⅲ. 問答을 통한 앎의 확장과 포용 가능성 체험 441
Ⅳ. 결론 462

제4장 고전교육의 교육적 성과분석

고전교육 성과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권순구 471
Ⅰ. 서론 471
Ⅱ. 이론적 배경 474
Ⅲ. 연구 방법 484
Ⅳ. 연구결과 489
Ⅴ. 요인분석 500
Ⅵ. 결론 및 논의 508

고전교육의 교육적 성과분석 연구
―역량, 효능감, 흥미 변화를 중심으로•권순구·윤승준 517
Ⅰ. 서론 517
Ⅱ. 이론적 배경 520
Ⅲ. 연구 방법 526
Ⅳ. 주요 결과 533
Ⅴ. 결론 및 논의 543

개인적 흥미 수준에 따른 고전교육의 교육적 성과분석•권순구·윤승준 553
Ⅰ. 서론 553
Ⅱ. 이론적 배경 556
Ⅲ. 연구방법 562
Ⅳ. 연구 결과 567
Ⅴ. 결론 및 논의 575


저자 소개 587

저자소개

정인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독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카를스루에 대학교와 쾰른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현재 부산대학교 독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 하인리히 뵐 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교양교육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하인리히 뵐의 문학 세계』, 『독일문학의 이해』, 『하나님을 만난 사람들』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신 독일문학사』(공역), 『창백한 개』 등이 있다.
펼치기
윤승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문학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고 사회를 바라보는 눈을 키웠다.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조금씩 변화해 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을 보람으로 여기고 있다. 국내외 대학의 교양교육 현황과 정책,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고등교육 정책과 교양교육의 역사」, 「1980년대 대학 교양교육 실태에 대한 성찰」, 「고전교육, 교양필수 교과목 운영 사례: 단국대학교 <명저읽기>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주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한국 비극소설론』, 『김훈을 읽는다』, 『한국의 고전을 읽는다』(공저),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공저) 등을 썼다.
펼치기
김광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공과대학 과학·기술·철학과에서 인지문화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서울대 기초교육원에서 교양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저서로 『행동지식』 『BTS와 철학하기』 『김광석과 철학하기』 『다시 민주주의다』(공저) 『세상의 붕괴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자세』(공저)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언어폭력」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동성애혐오」 등이 있다.
펼치기
김광식의 다른 책 >
김주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융합대학 조교수. 미국 조지아주립대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동아대학교 융합대학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사회이론 및 사회사상, 문화분석이고 비판사회이론과 규범적 사회이론의 통합적 시각 속에서 통치의 변화와 비판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접근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권순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이주다문화통합연구소 교수. 저성취 및 학습부진 학습자의 동기를 연구하며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등에 관심을 두고 ‘전공, 디지털, 다문화 역량진단도구 및 역량기반교육과정’과 ‘사회-정서역량 교수학습 자료’ ‘(초중등) 언택트 다문화교육 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를 개발하고 있다.
펼치기
김민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교수. 한나 아렌트의 정치사상 연구로 시작하여 근대 지성사와 사상사 전반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나 아렌트의 인권의 정치와 환대의 윤리」, 「한나 아렌트의 ‘권리를 가질 권리’에 내재된 행위 개념의 의미와 곤란」, 「감정과 정동 사이: 감정의 역사화를 위한 방법론적 시론」 등이 있다.
펼치기
백주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교수. 서양근대철학, 덕 윤리에 괌심을 가지고 있으며 서양근대철학에서 방법과 덕 교육의 문제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데카르트 철학에서 방법과 형이상학(Methode et me
펼치기
서문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주요 관심분야는 한국 현대 경제사·경영사·산업사·기업사이며 특히 해방 전후, 1950년대, 1960년대 이후의 면방직산업 발전과정을 식민지 유산과 한국 경제성장의 토대라는 측면에서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귀속 면방직공장의 설립과 변화유형에 관한 연구」, 「해방 이후 1950년대까지의 한국면방직공업에 관한 연구」, 「일제하 고급섬유기술자들의 양성과 사회진출에 관한 연구」, 「수출의 확대와 면방직업의 성장」, 「美軍政期 綿紡織産業의 發展」 등이 있다.
펼치기
안숙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비교문학(한국문학과 러시아문학과의 비교 연구), 스토리텔링(영상 콘텐츠 스토리텔링), 교양교육(고전읽기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한국 연극과 안톤 체홉』, 『영상 드라마 콘텐츠, 스토리텔링과 놀이하라』 등이 있다.
펼치기
이유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교수. 단국대학교에서 고전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조선 후기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체험과 지식을 기록하고 유통하는 방식을 두루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쇄미록』에 투영된 임진란에 대한 책무의식과 감정의 파고」, 「이순신 문학의 역사적 전기와 그 의미: 애국계몽기 「이순신전」을 중심으로」, 「『삼국지연의』의 문학적 위상의 전변」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강사. 현대소설을 전공하였으며 이청준 문학과 명저읽기 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장편 통독과 주제 토론, 글쓰기를 결합한 고전 교육 사례―도스토옙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이청준과 앙드레 지드 소설의 비교연구: 『젊은 날의 이별』을 중심으로」, 「이청준의 『零點을 그리는 사람들』에 나타난 초기 소설 모티프 고찰」, 「『신화를 삼킨 섬』에 나타난 서사전략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임선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조교수. 현대소설을 전공했으며 대학 의사소통 교육, 가족담론, 근대매체 등의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학습이론을 통한 대학 글쓰기의 과정과 교육방법 고찰」, 「1970년대 여성소설과 가족주의 양상」, 「근대 인쇄 매체에 나타난 신여성의 소문과 치유적 글쓰기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3960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