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매호유고

매호유고

진화 (지은이), 변종현, 윤승준, 윤재환 (옮긴이), 장희성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매호유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매호유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2840236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4-01-13

책 소개

고려 명종에서 고종 연간에 활동했던 진화의 문집. <매호유고>는 여러 전적에 흩어져 있던 시문을 모아 15대손 진후(陳)가 간행한 것으로 1책(冊) 58판(板)이다.

목차

일러두기 ·· 4
해제 ·· 11
매호 진화의 생애와 시의 특징|변종현
매호집 서문 梅湖集序|황경원 ·· 27
매호유고 서문 梅湖遺稿序|남태보 ·· 31
매호유고 서문 梅湖遺稿序|이영유 ·· 34
매호공 소전 梅湖公小傳 ·· 39

매호유고
오언절구 五言絶句
사명을 받들어 금나라에 들어가며 奉使入金 ·· 47
한림 김극기를 그리워하며 憶金翰林 克己 ·· 50

칠언절구 七言絶句
봄 저물어 가는데 산사에서 쓰다 春.題山寺 ·· 51
버들 柳 ·· 54
오경 밤에 五夜 ·· 56
오대산에서 노닐며 遊五臺山 ·· 57
영곡사 靈鵠寺 ·· 60
들길을 걷다가 野步 ·· 61
진중자 陳仲子 ·· 63
해당화 2수 海棠 二首 ·· 64
또 又 ·· 65
해주를 지나며 過海州 ·· 66
이.유 제공이 추밀원부사 임경겸의 침실 병풍에 쓴 시 4수에 화답함
和李兪諸公題任副樞 景謙 寢屛四詠 ·· 67
열자가 바람을 타고 列子御風 ·· 67
자유가 대규를 찾아가 子猷訪戴 ·· 68
도잠이 술을 거르며 陶潛.酒 ·· 69
반랑이 거처를 옮김 潘.移居 ·· 69
봄날 김 수재에게 화답함 2수 春日和金秀才 二首 ·· 72
또 又 ·· 73
광녕부의 십삼산을 읊다 詠廣寧府十三山 ·· 75
이춘경의 시를 읽고 讀李春卿詩 ·· 77
얽혀 서린 소나무 그림 부채에 쓰다 題.扇蟠松 ·· 79

오언율시 五言律詩
가을날 감회를 쓰다 秋日書懷 ·· 81
〈아침에 수직(守直)하면서〉라는 시의 운을 빌려 次韻朝守 ·· 83
저녁에 수직하며 夕守 ·· 84

칠언율시 七言律詩
송도 松都 ·· 85
상춘정에 핀 옥예화 賞春亭玉蘂花 ·· 88
월계사의 저녁 경치 月桂寺.眺 ·· 90
딸을 낳은 것을 축하하는 이유지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李由之賀生女 二首 ·· 92
또 又 ·· 94
한가을 비 온 뒤에 中秋雨後 ·· 95
해안사에서 솔가지를 구해 와 從海安寺乞松枝 ·· 96
매화 梅花 ·· 97
강종 대행 대왕에 대한 만사 칠언율시 산구 康宗大行挽 七律散句 ·· 98
《대장경》을 전경하고 소재도량을 연 뒤 쓴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는 시
轉大藏經消災道場音讚詩 ·· 99
강가에서 江上 ·· 102
제목을 잃다 失題 ·· 104

오언배율 五言排律
숙직하며 공들과 운을 정해 부채를 읊다 直廬與諸公占韻賦扇 ·· 107

칠언배율 七言排律
승제 금의에게 올림 2수 上琴承制 儀 二首 ·· 116
또 又 ·· 118

오언고시 五言古詩
구양수(歐陽脩).매요신(梅堯臣)의 감흥시에 화운함 4수
追和歐梅感興 四首 ·· 119
기이 其二 ·· 120
기삼 其三 ·· 121
기사 其四 ·· 122

칠언고시 七言古詩
봉선전에서 초례를 행하는 어가를 호종하여 扈駕奉先殿夜醮 ·· 124
송적의 〈팔경도〉 宋迪八景圖 ·· 125
모래톱에 내려앉은 기러기 平沙落雁 ·· 125
멀리 포구로 돌아오는 돛단배 遠浦歸帆 ·· 126
어촌의 지는 해 漁村落照 ·· 126
남기 갠 산마을 山市晴嵐 ·· 127
동정호의 가을달 洞庭秋月 ·· 127
소상강의 밤비 瀟湘夜雨 ·· 128
안개 낀 사찰의 저녁 종소리 煙寺暮鍾 ·· 129
강 하늘의 저녁눈 江天暮雪 ·· 129
운암사에서 쓰다 書雲巖寺 ·· 131
금나라 통주로 사신 간 9일에 使金通州九日 ·· 132
금명전의 석창포 金明殿石菖蒲 ·· 134
도원가 桃源歌 ·· 136
순채 최 산인이 글을 보내 시를 청하다 蓴菜崔山人寄書請賦 ·· 138
달밤에 사관 이윤보와 함께 〈유월궁〉을 짓다
月夜與李史館允甫同賦遊月宮篇 ·· 141

매호유고 부록
사실 事實 ·· 145
수창 酬唱
동년 진식의 아우 화가 아버지를 따라 동경에 가서 형을 생각하고 시를 보내
왔는데, 진식을 대신해서 화답하다 2수 代陳同年 湜 和舍弟 . 隨父之東京憶
兄見寄 二首 ·· 150
10월 5일 진화가 방문하여 유숙하였으므로 술자리를 베풀고 소식의 시운을
써서 각각 짓다 十月五日陳 . 見訪留宿置酒用蘇軾詩各賦 ·· 154
며칠 뒤에 진군이 화답하여 왔기에 다시 차운하여 답하다 2수
後數日陳君見和復次韻答之 二首 ·· 155
진군이 다시 화답하였으므로 또 차운하여 주다 2수
陳君復和又次韻贈之 二首 ·· 157
밤에 진화의 집에서 자며 크게 취하여 벽 위에 쓰다
夜宿陳 . 家大醉書壁上 ·· 159
진군이 화답하기에 다시 차운하여 답하다 陳君見和復次韻答之 ·· 162
진군이 다시 화답하였으므로 차운하여 주다 병서
陳君復和次韻贈之 幷序 ·· 165
동년 윤의ㆍ진식과 진화가 찾아왔으므로 유 빈객의 시운에 따라 각각 짓다
尹同年 儀 陳同年 湜 陳 . 見訪用劉賓客詩韻各賦 ·· 168
학정 진화의 〈거문고 소리를 듣고〉에 차운함 2수
次韻陳學正 . 聞琴 二首 ·· 169
한림 진화가 시장가에 있는 묘정자대은루를 두고 지은 시에 차운하여
次韻陳翰林題苗正字大隱樓在市邊 ·· 171
계유년(1213, 강종2) 맹춘 17일에 한림 진화와 밤에 수재 임원간의 집에서
술을 마시고 만취하였다. 임군이 장편 율시를 써 보이기를 청하기에 내가
진공을 시켜 운을 부르게 하고 시를 지었는데, 글이 한 자의 정정도 없었고
한 식경도 경과하지 않았다 癸酉孟春十七日與陳翰林 . 夜飮林秀才元幹家
大醉林君請觀長篇律詩走筆予使陳公唱韻賦之文不加點不容一瞥 ·· 172
임군이 또 반송을 그린 병풍을 가지고 고시를 써 주기를 청하기에, 다시
진군을 시켜 운을 부르게 하여 시를 짓다
林君又以.盤松屛風請古詩走筆復使陳君唱韻賦之 ·· 176
진화의 집에서 술을 마시고 꽃을 감상하다가 취한 뒤에 붓을 달려 쓰다
陳 . 家置酒賞花醉後走筆 ·· 177

평품 評品 ·· 179
매호유고 발문 梅湖遺稿跋|오재순 ·· 187
매호유고 발문 梅湖遺稿跋|민종현 ·· 190
매호유고 발문 梅湖遺稿跋|최수옹 ·· 193
매호유고 발문 梅湖遺稿跋|진정걸 ·· 196

저자소개

진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여양(驪陽), 호는 매호(梅湖)이다. 참지정사 진준(陳俊)의 손자이자, 추밀부사 진광현(陳光賢)의 아들이다. 1200년(신종3) 진사시에 급제하여 한림에 들어갔다. 1201년 내시(內侍)에 임명되었다. 1209년(희종5) 국학 학정(國學學正)이 되었으며, 1213년(강종2) 직한림원(直翰林院)이 되었다. 1215년(고종2) 최충헌(崔忠獻)이 관각(館閣)의 여러 신하를 불러 40여 운(韻)의 시를 짓게 하였는데 이규보에 이어 차석에 올랐다. 고종 연간에 일찍이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금(金)나라에 다녀왔고, 귀국하여 옥당으로 옮겨 지제고(知制誥)를 겸하였다. 이후 정언.보궐을 거쳐, 우사간으로 지공주사(知公州事)가 되었다. 임지에서 죽었다. 시문(詩文)에 능하고 특히 글을 빨리 지어 〈한림별곡(翰林別曲)〉에서 이규보(李奎報)와 함께 ‘쌍운주필(雙韻走筆)’로 일컬어졌다. 저서로 《매호유고(梅湖遺稿)》가 있다.
펼치기
변종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경북 의성에서 태어났다.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고전시가와 한문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고려조한시연구》, 《고려조명가한시연구》, 《주해 시조가사강독》, 《한국고전시가강독》, 《한국문학의 이해와 감상》(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승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수. 글쓰기 교육과 고전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현황과 정책,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청춘, 고전에 길을 묻다①』, 「한국의 고등교육 정책과 교양교육의 역사」, 「강사제도 시행이 대학 교양교육 환경에 미친 영향」, 『한국 교양교육 현황 조사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윤재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동양학연구원의 연구실장과 번역실장 그리고 한국고전문학텍스트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다. 성호星湖와 순암順菴, 다산茶山 등을 중심으로 한 조선 중·후기 근기 남인들의 문학세계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에 들어서서는 소론 계열로 관심의 폭을 넓히고 있다. 저서로 『매산 이하진의 삶과 문학 그리고 성호학의 형성』·『조선 후기 근기 남인 시맥의 형성과 전개』·『상소와 비답』·『옥동 이서의 삶과 시세계 그리고 성호학』 등과 남인 및 소론 계열 문인을 대상으로 한 다수의 공저서가 있으며, 역서로 『창선감의록』·『춘추번로의증』·『성호선생언행록』·『백언해』 등이 있다.
펼치기
장희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연수과정Ⅰ졸업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 석.박사통합과정 박사수료 한국고전번역원 문집번역실 연구기획 논문 및 역서 공역 ≪교감학개론校勘學槪論≫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