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28507283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5-02-0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은거지’이자 ‘반서울’의 섶밭마을
제1장 마을 개관
마을의 역사와 경관 || 조정현·이정훈
1. 마을 유래와 역사
2. 마을 경관과 문화유적
3. 마을개발사업과 현대농촌생활
4. 산촌마을의 정체성과 전망
주민구성과 마을운영 || 이진교·정은지
1. 인구의 추이와 주민구성
2. 고령화와 마을 운영의 변화
제2장 사회 조직
공생을 지향하는 마을의 사회조직 || 이상현·김규필
1. 조사 목적과 방법
2. 사회생활과 관련된 마을의 전반적 특징
3. 사회조직의 종류와 활동의 특징
4. 사회조직 활동을 통해 본 사회생활의 특징
제3장 일생의례와 종교생활
일생의례의 전통과 변화 || 이용범·강혜선·노영미·변윤희
1. 출생의례
2. 혼례
3. 상장례
다양성의 조화가 두드러지는 종교생활 || 이용범·김지현
1. 종교생활의 다양성
2. 공동체 신앙
3. 가정신앙
4. 제도종교 신앙
5. 기타 신앙생활
6. 종교생활의 특징과 변화
제4장 세시풍속과 마을축제
세시풍속의 변화와 축제의 동향 || 한양명·권봉관·최지호
1. 세시풍속의 추이
2. 전통적 새해맞이 축제의 해체
3. 화전놀이의 변화와 관광의 지속
4. 농업의 변화와 풋굿의 소멸
5. 학연 기반 축제의 변동
제5장 놀이 문화
놀이문화의 기억과 현재적 양상 || 이영배·강석민
1. 계절의 변화와 노동에 결부된 놀이의 기억
2. 추억이 된 배고픈 시절의 틈새
3. 공간에 결부된 놀이의 기억과 그 변화
4. 근대성의 구현과 여가생활의 형성
5. 문화생활의 양상과 놀이문화의 현재
제6장 구비전승의 전통
지명유래와 전설로 읽는 주민들의 민중의식 || 임재해·강선일
1. 구비전승 자료로 역사와 문화 읽기
2. 지명유래에 나타난 지리적인 환경
3. 인물전설에 나타난 민중의 역사의식
4. 학가산 관련 유래담과 전설의 신이
5. 전설에 집약된 세 갈래 민중의식
민요의 기능별 전승양상과 소리판의 상황 || 임재해·이정욱
1. 갈래별 전승현장과 앞소리꾼
2. 일에 따른 노동요의 전승양상
3. 유희요와 잡가, 가요의 전승양상
4. 문화적 상황과 노래목록의 특징
생애담으로 본 마을 공동체의 경험, 기억, 문화 || 천혜숙·김정화·공다해
1. 조사 개요
2. 생애담
3. 마을 공동체의 경험, 기억, 문화
제7장 생업활동과 의식주생활
담배에서 사과로 바뀌어 온 환금작물 중심의 생업 || 김재호
1. 생업환경
2. 주요 재배작물과 농업의 변화과정
3. 집약적 농경방식의 전통과 특징
삼베길쌈과 손바느질의 습득 양상과 의미 || 배영동·강종원
1. 주민들의 삶과 여성들의 가사활동
2. 삼베길쌈의 습득과 전승 양상
3. 손바느질의 습득과 전승 양상
4. 삼베길쌈과 손바느질의 문화적 의미
일상음식의 구성과 식음방식 변화 || 배영동·김지선
1. 음식에 영향을 주는 마을의 환경
2. 일상음식의 구성과 변화양상
3. 마을의 공동체적 식음방식
4. 음식으로 본 가족관계와 주민관계의 변화
주거 공간과 살림집 || 정연상
1. 마을의 형성 및 공간구조
2. 주거유형 및 공간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