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4299059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4-09-25
책 소개
목차
서문: 상호문화 실천을 위한 너와 나의 대화
1부 상호문화 실천의 철학적 이념
1장. 공존의 생태학적 인식과 인간 다양성 소통
1. 공존을 위한 원심력적 탈중심주의 세계관
2. 특이점시대 신인류의 출현과 알고리즘 공동체
3. 포스트휴머니즘 시대 인간의 비약과 비극 상황
4. 인간종 다양성 사회의 상생과 인문학적 성숙
5. 인간 공동체를 넘어선 인간종 ‘공다체’ 인식
6. 생태학적 변혁과 상생으로 가는 소통의 전망
7. 양방향 소통의 합일 기능과 탈중심주의 가치
2장. 공존인간학을 위한 타자와 상호주관성의 역동
1. 공존인간학을 위한 전제
2. 타자에 관한 오디세이
3. 타자를 대하는 윤리
4. 공감적 경험과 상호문화 실천
5. 상호문화 실천: 환대와 대화
3장. 다문화사회의 윤리적 개념들
1. 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 윤리적 논의
2. 다문화사회에서 관용과 인정
3. 세계시민주의와 환대
4. 지구 지방적 시민성과 다규모의 정치
5. 다문화사회 공간을 위해
4장. 다문화사회 상호문화 실천의 개념과 영역
1. 상호문화 실천 이론의 필요성
2. 초점집단 토론방법(FGD)
3. 상호문화 실천에 대한 이론적 탐색
4. 상호문화 실천 이론의 의의
2부 상호문화 실천의 이론적 토대
5장. 다문화사회와 상호문화 감수성
1. 베넷의 상호문화 감수성 발달 모형(DMIS)
2. 해머의 상호문화 발달 척도(IDI)
3. IDI 한국어 버전
4. 첸과 스타로스타의 상호문화 감수성 척도(ISS)
5. ISS 한국어 버전
6. 한국인의 상호문화 감수성
7. 상호문화 감수성 연구의 전망
6장. 다문화사회와 상호문화 역량
1. 상호문화교육의 출현 배경
2. 상호문화 역량의 정의
3. 상호문화 역량의 차별성
4. 상호문화 역량 연구
5.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새로운 방향성 모색
7장. 상호문화주의와 이주교육학
1. 타자와 타문화 이해?
2. 학교의 차별과 타자화의 문제: 이주교육학의 관점에서
3. 상호문화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
4. 사회비판과 자기비판으로서의 교육 전문성
8장. 편견과 차별의 제거: 공존의 과제
1. 다문화사회의 등장과 다문화 개념의 다양성
2. 독일의 다문화정책과 시민교육
3. 정치교육의 논리구조와 교과과정
4. 독일 정치교육 교과서 분석
5. 단계별 교육구조와 이해 지평
6. 인간화와 민주화를 통한 공존
3부 상호문화 실천의 내용과 실행
9장. 이주민을 위한 가족센터 교육 프로그램의 상호문화 실천
1. 들어가며: 이주민의 학교로서의 가족센터
2. 가족센터 연구로 본 이주민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현황
3. 상호문화 실천적 접근에서의 가족센터의 교육 프로그램 방향
10장. 가족센터 상호문화 소통 경험 연구
1. 가족센터 구성원의 관계와 역할
2. 상호문화 소통
3. 질적 메타분석
4. 가족센터 기관운영자와 사용자 간 상호문화 소통
5. 가족센터 기관사용자 간 상호문화 소통
6. 가족센터 상호문화 소통 발전 방향
11장. 상호문화 감수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1. 소통 중심 다문화교육의 구성요소
2. 소통 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원형
3. 교수·학습 적용의 실제
4. 소통 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전망
12장.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의 운영실태와 요구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2. 설문조사 자료의 수집
3. 가족센터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에 대한 기관 운영자의 요구
4. 가족센터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