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너와 나의 대화

너와 나의 대화

(상호문화 실천)

김영순, 임재해, 최병두, 박충구, 장성민, 홍은영, 김진희, 오정미, 김진선, 황해영, 장현정, 김도경, 문희진 (지은이)
북코리아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600원 -5% 0원
840원
25,7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너와 나의 대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너와 나의 대화 (상호문화 실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4299059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4-09-25

책 소개

우리 세계에서 가장 큰 대아는 지구촌이다. 여기에 이르면 지구도 하나의 살아있는 생명체다. 실제로 가이아 이론을 수립한 제임스 러브록은 지구 자체를 생명체로 포착할 뿐 아니라, 지구 위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를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공동생명체로 규정한다.

목차

서문: 상호문화 실천을 위한 너와 나의 대화

1부 상호문화 실천의 철학적 이념

1장. 공존의 생태학적 인식과 인간 다양성 소통
1. 공존을 위한 원심력적 탈중심주의 세계관
2. 특이점시대 신인류의 출현과 알고리즘 공동체
3. 포스트휴머니즘 시대 인간의 비약과 비극 상황
4. 인간종 다양성 사회의 상생과 인문학적 성숙
5. 인간 공동체를 넘어선 인간종 ‘공다체’ 인식
6. 생태학적 변혁과 상생으로 가는 소통의 전망
7. 양방향 소통의 합일 기능과 탈중심주의 가치

2장. 공존인간학을 위한 타자와 상호주관성의 역동
1. 공존인간학을 위한 전제
2. 타자에 관한 오디세이
3. 타자를 대하는 윤리
4. 공감적 경험과 상호문화 실천
5. 상호문화 실천: 환대와 대화

3장. 다문화사회의 윤리적 개념들
1. 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 윤리적 논의
2. 다문화사회에서 관용과 인정
3. 세계시민주의와 환대
4. 지구 지방적 시민성과 다규모의 정치
5. 다문화사회 공간을 위해

4장. 다문화사회 상호문화 실천의 개념과 영역
1. 상호문화 실천 이론의 필요성
2. 초점집단 토론방법(FGD)
3. 상호문화 실천에 대한 이론적 탐색
4. 상호문화 실천 이론의 의의

2부 상호문화 실천의 이론적 토대

5장. 다문화사회와 상호문화 감수성
1. 베넷의 상호문화 감수성 발달 모형(DMIS)
2. 해머의 상호문화 발달 척도(IDI)
3. IDI 한국어 버전
4. 첸과 스타로스타의 상호문화 감수성 척도(ISS)
5. ISS 한국어 버전
6. 한국인의 상호문화 감수성
7. 상호문화 감수성 연구의 전망

6장. 다문화사회와 상호문화 역량
1. 상호문화교육의 출현 배경
2. 상호문화 역량의 정의
3. 상호문화 역량의 차별성
4. 상호문화 역량 연구
5.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새로운 방향성 모색

7장. 상호문화주의와 이주교육학
1. 타자와 타문화 이해?
2. 학교의 차별과 타자화의 문제: 이주교육학의 관점에서
3. 상호문화 역량 개념에 대한 비판
4. 사회비판과 자기비판으로서의 교육 전문성

8장. 편견과 차별의 제거: 공존의 과제
1. 다문화사회의 등장과 다문화 개념의 다양성
2. 독일의 다문화정책과 시민교육
3. 정치교육의 논리구조와 교과과정
4. 독일 정치교육 교과서 분석
5. 단계별 교육구조와 이해 지평
6. 인간화와 민주화를 통한 공존

3부 상호문화 실천의 내용과 실행

9장. 이주민을 위한 가족센터 교육 프로그램의 상호문화 실천
1. 들어가며: 이주민의 학교로서의 가족센터
2. 가족센터 연구로 본 이주민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현황
3. 상호문화 실천적 접근에서의 가족센터의 교육 프로그램 방향

10장. 가족센터 상호문화 소통 경험 연구
1. 가족센터 구성원의 관계와 역할
2. 상호문화 소통
3. 질적 메타분석
4. 가족센터 기관운영자와 사용자 간 상호문화 소통
5. 가족센터 기관사용자 간 상호문화 소통
6. 가족센터 상호문화 소통 발전 방향

11장. 상호문화 감수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1. 소통 중심 다문화교육의 구성요소
2. 소통 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원형
3. 교수·학습 적용의 실제
4. 소통 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전망

12장.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의 운영실태와 요구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2. 설문조사 자료의 수집
3. 가족센터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에 대한 기관 운영자의 요구
4. 가족센터 상호문화 실천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충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감리교신학대학교 명예교수로 독일 본대학교를 거쳐 미국 Drew 대학교 ‘종교와 사회’ 분야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감리교신학대학교 기독교윤리학 교수로 재직했다. 주요 저서로는 『종교의 두 얼굴: 평화와 폭력』, 『기독교 윤리사 I, II, III』, 『예수의 윤리』, 『생명복제-생명윤리』, 『인간의 마지막 권리』, 『대화와 배려의 민주시민 도전기』(공저), 『죽음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등이 있고, 80여 편의 학술연구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생명과평화연구소 소장, ‘민주사회를 위한 지식인 종교인 네트워크’ 공동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임재해 (감수)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안동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다 퇴임했다. (전) 실천민속학회장, 한국구비문학회장, 비교민속학회 회장, 권정생어린이문화재단 이사, 남북역사문화교류협회 공동대표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는 『민속문화를 읽는 열쇠말』, 『민속문화의 생태학적 인식』, 『마을문화의 인문학적 가치』, 『고조선문명과 신시문화』 등 115편의 저서를 집필했고, 그 외 다수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최병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 명예교수로 영국 리즈대학교 지리학 박사를 졸업하고 현재 대구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초국적 이주와 환대의 지리학』, 『인문지리학의 새로운 지평』, 『인류세와 코로나 팬데믹』,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 『녹색전환』이 있고 역서로는 『데이비드 하비의 세계를 보는 눈』, 『불균등발전』, 『장애의 지리학』 외 다수의 학술논문도 발표했다.
펼치기
김영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다. 현재 동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학과장, 인하대 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 BK21 FOUR 글로컬다문화교육연 구단장이다. 주요 저서로는 『다문화 사회와 공존의 인문학』,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이론가들』, 『다문화교육과 협동학습 경험』, 『이주여성의 상호문화 소통과 정체성 협상』, 『공유된 미래 만들기』 등 다문화 사회 관련 연구 50여 권, 『질적 연구 여행』, 『질적 연구의 즐거움』, 『베트남 문화의 오디세이』 등 질적 연구 이론과 실제를 다룬 20여 권이 있다.
펼치기
오정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의 인문학술 연구교수다. 한국과 세계의 설화를 바탕으로 한 문화 다양성 교육, 다문화 교육, 그리고 상호 문화 교육에 대해 강의와 연구를 한다. 주요 저서로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 자료 조사’ 연구의 결과로 출판한 『다문화 구비문학대계』 1~20이 있다. 이외에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문 화교육의 이론과 쟁점』, 『한국어 교육자를 위한 문화교육의 방법과 실천』, 『너와 나의 대화: 상호문화 실천』, 『다문화 사회의 인문학적 시선』, 『다문화 현상의 인문학적 탐구』 등에 공저자로 참여했다. 단독 저서로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의 옛이야기와 문화교육』이 있다.
펼치기
황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연구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중국동포 결혼이주여성의 생애경험 탐구: 인정투쟁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가 있으며, 공동 저서로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적 삶과 정체성 협상』, 『중앙아시아계 이주여성의 삶: 이상과 현실 사이』가 있다. 또한 「재한 중국동포 단체 리더의 인정투쟁의 의미」, 「중국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에서 양성 평등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상호문화 실천의 개념 및 내용에 관한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홍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담슈타트 대학에서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칼스루에 교육대학교에서 비판적 교육의 문제로서의 인종주의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로는 아도르노 『성숙을 위한 교육』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다문화시대 역사교육의 방향 - 벤야민의 역사철학과 포스트식민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에서 임파워먼트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다문화사회에서 ‘연대(solidarity)’ 개념의 비판적 성찰과 교육의 과제」, 「다문화 시대 교육 전문성의 재고를 위한 비판적 고찰」, 「반차별 교육의 실천적 모순과 이론적 성찰」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진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에서 상담심리전공으로 교육학 석사학위 취득 후 인문융합치료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영역은 다문화, 청소년, 진로상담 등이다. 현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하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과 경희사이버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청소년상담사, 임상심리사로 인하대 청소년 진로지원센터와 다양한 기관에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인하대학교상담심리대학원 부설 심리언어센터에서 전문상담연구원과 다문화융합연구소 인문융합치료센터 부연구위원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박사학위논문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경험 사례연구: 인문융합치료를 중심으로」이다. 주요 저서로는 『호모 내러티쿠스: 인문융합치료의 이해』가 있다.
펼치기
문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남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 전공으로 문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인하대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전공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논문으로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지능향상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The Literary Representation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t Vietnam War Novels”, 「한국어 학습자 상호문화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가족센터 구성원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인식에 나타난 상호문화 실천에 대한 연구」, 「K-컬처 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 설계 및 적용」 등이 있다.
펼치기
장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인하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문영여자고등학교 교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등을 거쳤다. 주요 논저로 『리터러시교육론』, 『AI 시대의 글쓰기』 등이 있으며, 다문화교육 분야의 주요 논저로 “Validation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respect for diversity scale (RDS) in a Korean sample”, 「고등학생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공저), 「소통 중심의 다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상호문화적 감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진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사회복지사의 상호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인문융합치료학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며, 상호문화학당 대표직을 수행하고 있다. 파독 간호사와 광부 밀집 지역인 독일 루르 지역에서의 7년간의 이주민의 삶을 통해 ‘더불어 잘 살아가기’ 위한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사회복지사, 지역아동센터 아동과 종사자, 한국어 교사, 해외선교사의 상호문화 역량 연구를 수행했고, 최근 이주민 노인으로 연구를 확대해가고 있다.
펼치기
장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에서 중등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이해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CRC의료인문케어센터사업단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불어 인하대학교 KLC학과에서 한국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소통 중심의 다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상호문화적 감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상호 텍스트적 접근 기반 다문화교육의 효용에 관한 고등학생 인식조사」,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한국어 문화 교수·학습 설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 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다.
펼치기
김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미술치료학으로 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인하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논문 주제는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인문융합치료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나타난 자기치유의 의미』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Qualitativ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for the Older Adults Living Alone”, 「인문융합치료 프로그램 참여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자아통합에 관한 사례연구」, 「인문융합치료학의 자기치유에 관한 개념화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