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후기 무예사 연구

조선후기 무예사 연구

(무예, 망각의 기억 속 몸의 문화)

최형국 (지은이)
민속원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1,150원
21,850원 >
21,850원 -5% 0원
0원
21,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후기 무예사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후기 무예사 연구 (무예, 망각의 기억 속 몸의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28512683
· 쪽수 : 267쪽
· 출판일 : 2019-02-28

목차

책머리에

1장 弓術, 조선을 지킨 마지막 무예

1. 활쏘기는 조선시대에 어떤 의미였는가?
2. 『임원경제지』 저술 배경과 활쏘기에 대한 인식
3.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활쏘기의 실제와 무예사적 의미
4. 활은 조선을 대표하는 몸문화

2장 拳法, 조선군사의 기본 맨손무예

1. 권법은 전통적인 몸문화를 어떻게 반영했는가?
2. 권법의 문화적 보급 과정과 군사훈련 정착
3. 권법의 실제와 무예사적 특성
4. 권법은 조선 군사들의 기본 몸문화

3장 倭劍, 적국의 무예를 배워 조선을 지킨 무예

1. 왜검이 어떤 이유로 조선에 보급되었는가?
2. 임진왜란기 왜검교전 도입 배경과 그 특징
3. 17세기 이후 왜검교전의 변화와 특징
4. 18세기 투로 방식의 왜검 정착과 그 내용
5. 왜검은 실학정신이 녹아 든 몸문화

4장 挾刀, 무기의 진화와 함께 탄생한 무예

1. 협도는 어떤 변화 속에서 탄생하였는가?
2. 조선전기 전술 체제 속 장검과 대곤
3. 조선후기 전술 변화와 대도류 무기의 보급
4. 협도의 병기사적 특성과 무예사적 의미
5. 협도는 조선 군사의 진화하는 몸 문화

5장 馬上鞭棍, 기병의 돌격전을 위한 최고의 무예

1. 마상편곤이 기병 필수무예로 정착된 이유는 무엇인가?
2. 마상편곤의 도입배경과 정착
3. 마상편곤의 자세와 훈련방법
4. 마상편곤을 통해 본 마상무예의 전술적 특성
5. 마상편곤은 인마일체의 몸 문화

부록
武藝, 우리 고유의 몸 문화와 왜곡된 ‘전통 만들기’

전통무예의 정의
武藝, 武術, 武道의 차이와 ‘무예’라는 단어의 역사
무예의 ‘만들어진 전통’과 ‘국수주의’ 그리고 대안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최형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 박사, 한국전통무예연구소 소장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무예24기를 30년간 수련하고 공부한 무예인문학자다. 중앙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에서 한국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경기대학교에서 Post-doc 연구원을 거쳐 문화사와 무예사를 연구해 왔다. 현재 수원시립공연단 무예24기 전수교육 담당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전통무예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정조의 무예사상과 장용영』(2015), 『조선 무인은 어떻게 싸웠을까』(2016), 『무예인문학』(2017), 『병서, 조선을 말하다』(2018), 『조선후기 무예사 연구』(2019), 『제국의 몸, 식민의 무예』(2020), 『정역 무예도보통지-정조, 무예와 통하다』(2021), 『궁술, 조선의 활쏘기』(2022), 『무예로 조선을 꿈꾸다』(2023) 등 십여 권의 저서가 있다. 그리고 「월도의 도입 활용과 관우 신앙 속 청룡언월도」(2023), 「조선시대 편전(애기살) 활쏘기의 특성과 위상」(2022), 「<병학통>의 전술과 화성행행 반차도의 시위군 배치」(2021), 「조선시대 활쏘기 중 철전(六兩弓) 사법의 특성과 그 실제」(2020), 「조선시대 야간군사훈련 ‘夜操(야조)’를 활용한 ‘불의 축제’ 역사 문화콘텐츠」(2019), 「육군박물관 소장 <무예도보통지> 편찬의 특징과 그 활용」(2018) 등 40여 편의 무예사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