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5906684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3-04-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정조의 정치 읽기
정치적 비전을 제시하다
‘통’의 정신
수원화성과 위민 정신
조선 최초의 계획도시, 수원화성
실용 정신에 입각한 수원화성
수원화성과 버드나무
달의 리더십
배움을 즐기다
파초와 같은 삶을 꿈꾸다
심안으로 세상을 보다
정조의 지식 경영법
작은 일도 소홀히 하지 않다
온고지신의 정치
악습을 폐지하다
기록을 중시하다
정조의 인재 등용 방식
세손 시절에 그린 정치적 이상
군주의 조건
더 알아보기 ┃ 세종과 정조, 수성과 공성의 리더십
2장 『무예도보통지』를 만든 사람들
쉼 없이 변하는 국제 정세
간서치 이덕무
무예의 달인 백동수
지행합일의 정신을 추구하다
비움의 철학 140
의술과 무술 146
『무예도보통지』 언해본
3장 『무예도보통지』 속 무예 이야기
무예의 가치
『무예도보통지』에 담긴 무예 정신
예도와 조선세법
몸 문화의 결정체, 활쏘기
틈홍문세
쌍검의 항장기무세와 한고환패상세
휘날리는 깃발과 〈기휘가〉
기창
협도의 오룡 꼬리치기
달밤에 매미 베기
오관참장세
마상편곤
전쟁터의 명장 적청
무예의 문화사적 이해의 시작과 끝, 권법
더 알아보기 ┃ 『무예도보통지』 속 무예 24기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정조는 이 같은 개혁의 의지를 법제 정비 사업인 『대전통편大典通編』의 편찬을 통해 가시화했다. 법률 정비가 어째서 개혁의 일환인지 의문을 제기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개헌을 통해 정부의 형태와 권력구조가 재편된 우리나라의 현대사를 떠올려보면, 조선시대의 법제 정비 또한 그 자체만으로도 엄청난 개혁 의지가 있어야만 가능한 일이었다. (1장「‘통’의 정신」)
부패한 권력은 더 많은 자본을 요구하고, 더 악독한 부패로 직결된다. 그리고 그로 인한 고통은 고스란히 백성들이 지게 된다.
따라서 권력을 분산하려면 ‘공간의 재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정조는 한양을 중심으로 한 기득권을 해체하기 위해 수원에 화성을 쌓아 새로운 상업도시를 표방하는 공간을 창조해냈다. 오늘날 수도권에 집중된 공공기관들을 세종이나 전주를 비롯한 전국 각지로 이전하는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다. (1장「실용 정신에 입각한 수원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