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조, 무예와 통하다

정조, 무예와 통하다

(정역 무예도보통지)

정조 (지은이), 최형국 (옮긴이)
민속원
7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8,000원 -0% 0원
3,900원
74,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조, 무예와 통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조, 무예와 통하다 (정역 무예도보통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28515981
· 쪽수 : 808쪽
· 출판일 : 2021-04-29

목차

머리말

해제(解題)
1. 『무예도보통지』를 읽는 세 가지 시선
2. 무예의 변화와 『무예도보통지』의 구조


국역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권수 어제서·권수(御製序·卷首)
어제서(御製序)
무예도보통지 총목(武藝圖譜通志 總)
범례(凡例)
병기총서(兵技總敍)
척소보모총병사실(戚少保茅總兵事實)
기예질의(技藝質疑)
인용서목(引用書目)

권1 찌름을 위한 무예 ‘창’(武藝圖譜通志 卷之一)
장창(長槍)
죽장창(竹長槍)
기창(旗槍)
당파(??)
기창(騎槍)
낭선(狼?)

권2 베기를 위한 무예 ‘칼’ 1(武藝圖譜通志 卷之二)
쌍수도(雙手刀)
예도(銳刀)
왜검(倭劒)
교전(交戰)

권3 베기를 위한 무예 ‘칼’ 2(武藝圖譜通志 卷之三)
제독검(提督劒)
본국검(本國劒)
쌍검(雙劍)
마상쌍검(馬上雙劍)
월도(月刀)
마상월도(馬上月刀)
협도(挾刀)
등패(藤牌)

권4 치기를 위한 무예와 마상기예(武藝圖譜通志 卷之四)
권법(拳法)
곤방(棍棒)
편곤(鞭棍)
마상편곤(馬上鞭棍)
격구(擊毬)
마상재(馬上才)
관복도설(冠服圖說)
고이표(考異表)

별권 언해본에 대한 이해
『무예도보통지언해(武藝圖譜通志諺解)』의 기본적 이해
『무예도보통지언해(武藝圖譜通志諺解)』의 국어 음운학적 특성

부록 1 『무예도보통지』편찬 의미와 당대의 활용
1. 머리말
2. 『무예도보통지』의 편찬과 의미
3. 『무예도보통지』의 활용과 가치
4. 맺음말

부록 2 한국의 전통 무기
1. 전통시대 무기의 개념과 종류(냉병기 중심-화기 제외)
2. 원사무기 1-일반 활류(각궁, 목궁, 죽궁, 철궁 등)
3. 원사무기 2-기계식 쇠뇌류(궐장노, 수노기 등)
4. 원사무기 3-화살류(목전, 철전, 편전, 유엽전 등-무과시험 연관)
5. 원사무기 4-활 보조도구류(동개, 깍지, 완대, 촉돌이)
6. 단병접전 무기 1-도검류
7. 단병접전 무기 2-창봉류
8. 단병접전 무기 3-타격기류
9. 의장용 무기-의장류(어도, 사인검, 운검, 군뢰, 신전, 영전, 관이전 등)
10. 무기의 발전과 전술 변화의 연관성

참고문헌
찾아보기
영인본

저자소개

정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제22대 왕. 1776년에 즉위해 사망할 때까지 재위했다. 유폐되어 죽임을 당한 사도세자의 친자이기에 그의 국왕으로서 입지는 극히 불안정했고, 정당성 확보가 눈앞의 과제였다. 규장각을 설치해 학술문화를 진흥, 관료엘리트를 양성하여 사대부정치를 복원하고 유교적 문명국을 실현하는 데 뜻을 두었다. 그 구상의 일환으로 수원에 신도시를 건설한바, 기획이 가시화되는 단계에서 세상을 떴다. 학자로서도 탁월한 성과를 거두어 『홍재전서』를 남겼다.
펼치기
최형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학 박사, 한국전통무예연구소 소장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무예24기를 30년간 수련하고 공부한 무예인문학자다. 중앙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에서 한국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경기대학교에서 Post-doc 연구원을 거쳐 문화사와 무예사를 연구해 왔다. 현재 수원시립공연단 무예24기 전수교육 담당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전통무예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정조의 무예사상과 장용영』(2015), 『조선 무인은 어떻게 싸웠을까』(2016), 『무예인문학』(2017), 『병서, 조선을 말하다』(2018), 『조선후기 무예사 연구』(2019), 『제국의 몸, 식민의 무예』(2020), 『정역 무예도보통지-정조, 무예와 통하다』(2021), 『궁술, 조선의 활쏘기』(2022), 『무예로 조선을 꿈꾸다』(2023) 등 십여 권의 저서가 있다. 그리고 「월도의 도입 활용과 관우 신앙 속 청룡언월도」(2023), 「조선시대 편전(애기살) 활쏘기의 특성과 위상」(2022), 「<병학통>의 전술과 화성행행 반차도의 시위군 배치」(2021), 「조선시대 활쏘기 중 철전(六兩弓) 사법의 특성과 그 실제」(2020), 「조선시대 야간군사훈련 ‘夜操(야조)’를 활용한 ‘불의 축제’ 역사 문화콘텐츠」(2019), 「육군박물관 소장 <무예도보통지> 편찬의 특징과 그 활용」(2018) 등 40여 편의 무예사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