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88928514359
· 쪽수 : 466쪽
· 출판일 : 2020-05-29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제1부 전설의 세계와 민중적 기억의 재현
제1장 청도지역의 견훤전승과 사실 또는 형상의 역사
1. 서언
2. 청도지역의 견훤전승
3. 나말려초의 청도와 망각된 역사
4. 형상의 역사와 신화적 진실
5. 결어
제2장 견훤 출생담의 신화학적 검토
: 출생지 또는 출계 문제를 중심으로
1. 서언
2. 견훤 출생담의 전승양상
3. 견훤의 출생지와 출계에 관한 신화학적 검토
4. 결어
제3장 운문지역 이무기전승의 실제와 잠행潛行의 신화학
1. 서언
2. 이무기전승의 실제
3. 이무기전승의 특징과 잠행의 신화학
4. 이무기전승과 지역사의 맥락
5. 결어
제4장 동신당 수난의 마을사와 민중적 기억의 재현
1. 서언
2. 청운마을과 동신당 수난의 마을사
3. 동신당 수난 사건의 역사적 맥락
4. 민중적 기억의 재현과 담론 특성
5. 결어
제5장 신돌석전설의 리얼리티와 민중적 기억의 재현
1. 서언
2. 신돌석의 생애와 그 의병항쟁사적 위상
3. 신돌석전설의 역사적 리얼리티
4. 민중적 기억의 재현과 신화 지향
5. 결어
부록: 신돌석전설 자료
제6장 마을우주와 신화적 세계관
1. 서언
2. 마을공동체의 신화적 우주와 세계관
3. 결어
제7장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구비전설의 세계와 장르 변이
1. 여성주의와 전설담론
2. 가부장적 시선과 전설담론의 음영
3. 전설의 담론적 특성과 장르 변이
4. 결어
제2부 전설, 민중의 신화
제8장 구비전설의 신화적 성격에 관한 연구
Ⅰ. 서언
1. 문제 제기
2. 연구목적과 대상
3. 연구의 관점과 방법
Ⅱ. 전설과 신화의 관계
1. 설화 장르론의 제 문제
2. 전설 장르의 인식원리와 구술양식
3. 신화와 전설의 대립적 전승체계
Ⅲ. 전설의 전승양상과 신화적 의미지향
1. 장자못전설의 전승양상과 신화적 의미지향
2. 오뉘힘내기전설의 전승양상과 신화적 의미지향
3. 아기장수전설의 전승양상과 신화적 의미지향
Ⅳ. 구비전설의 민중신화적 성격과 세계관
1. 반구조 또는 반신화의 위상
2. 전설 주체의 역사적 재현과 민중신화적 성격
3. 구비전설의 신화적 세계관
Ⅴ. 결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