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제 강점기 일본 한국학의 형성과 양상

일제 강점기 일본 한국학의 형성과 양상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엮은이)
민속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제 강점기 일본 한국학의 형성과 양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제 강점기 일본 한국학의 형성과 양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28517527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22-08-31

책 소개

일본 한국학 연구 중 조선어문학과 조선사 연구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에는 일본의 한국어문학 관련 글 네 편이 실려 있다. 후반부에 실린 세 편의 글은 냉전 이전 일본의 조선사학 관련 글들이다.

목차

간행사
서문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의 연구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야스다 도시아키(安田敏朗)
1. 들어가며
2.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의 약력
3. 한국어 연구의 동기
4. 계통론의 서술 방식
5. 방언 연구가 지니는 의미
6. 결론

다카하시 도루(高橋享), ‘조선문학’자가 되다 |박광현
1. 들어가며
2. 『조선사강좌』와 다카하시 도루
3. 조선문학자로서의 자기 구속
4. 결론을 대신하여

식민지의 목소리 |정종현
-조선사상통신사(朝鮮思想通信社) 간행 『조선급조선민족(朝鮮及朝鮮民族)』(1927)을 통해 본 식민지/제국의 문화교섭-
1. 이토 간도(伊藤韓堂)와 『조선사상통신(朝鮮思想通信)』의 위치
2. 『조선급조선민족(朝鮮及朝鮮民族)』의 발간 경위와 체재 및 필자
3. 잘려나간 불온한 목소리들
4. 제국과 식민지의 거리, 혹은 로컬리티와 주체화의 사이

시모무라 가이난(下村海南)의 조선 체험과 공유 |윤미란
1. 시모무라 가이난과 조선 체험
2. 조선의 공업화와 위생보건 기행
3. 조선의 골프장에 매료된 일제 관료, 시모무라
4. 시모무라 가이난의 조선-일본 교류인에 관한 기록
5. 종전 이후 조선의 체험에 대한 관심
6. 제국주의적 이상주의를 반영한 시모무라의 조선 서사

일제강점기 젠쇼 에이스케(善生永助)의 ‘조선 인구’ 연구 |임학성
1. 머리말
2. 젠쇼의 생애와 경력
3. 젠쇼의 조선 사회ㆍ경제 연구 성과
4. 젠쇼의 ‘조선 인구’ 양상 연구
5. 맺음말
【부록】젠쇼 에이스케善生永助의 연구 논저 목록
【참고】중국ㆍ일본 및 기타 지역 관련 논저

이마니시 류(今西龍)와 樂浪ㆍ帶方 그리고 任那日本府 |정상우
1. 서언
2.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 논의에 나타난 일본의 국가 체제 발달
3. “지나문화(支那文化)”의 공급처로서 낙랑樂浪과 대방帶方
4. 결어

하타다 다카시의 중국 촌락 연구와 한국사 서술에의 영향|박준형
1. 머리말 : ‘아시아적 정체’라는 아포리아
2. 하타다 다카시의 1930년대와 마르크스주의적 역사서술
3. 두 개의 통사 : 『지나민족발전사』(1941)와『조선사』(1951) 사이의 단절과 연속
4. ‘공동체’의 두 얼굴 : 『중국농촌과 공동체이론』(1973)에서『조선중세사회사연구』(1972)로
5. 맺음말을 대신하여 : 다시 쓰지 못한 통사


참고문헌

저자소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기획)    정보 더보기
2007년부터 ‘동아시아 상생과 소통의 한국학’을 의제로 삼아 인문한국(HK)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상생과 소통을 꾀하는 동아시아한국학이란, 우선 동아시아 각 지역과 국가의 연구자들이 자국의 고유한 환경 속에서 축적해 온 ‘한국학(들)’을 각기 독자적인 한국학으로 재인식하게 하고, 다음으로 그렇게 재인식된 복수의 한국학(들)이 서로 생산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구성해내는 한국학이다. 우리는 바로 이를 ‘동아시아한국학’이라는 고유명사로 명명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