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91159056628
· 쪽수 : 199쪽
· 출판일 : 2021-08-31
책 소개
목차
간행사 3
서문 6
장윤희|동아시아한국학의 심화ㆍ확산과 해외 한국학의 집단전기학
1. 여는 말 13
2. 동아시아한국학의 심화ㆍ확산과 해외 한국학 집단전기학 17
3. 해외 한국학 집단전기학 연구 방안 20
4. 해외 한국학 집단전기학 연구 의의 24
5. 맺는 말 25
김태우|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 한국어문학의 성립과 A.A. 홀로도비치
1. 서론 29
2. 1947년까지의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의 한국어문학과 31
3. 홀로도비치-러시아 한국어문학의 선구자 45
4. 결언 54
박노자|모스크바에서의 한국사 연구-소련 시기(1917~1991)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59
2. 제정 러시아의 동아시아 진출과 ‘한국사’ 연구의 기원 62
3. 소련 시기 모스크바에서의 한국사 연구-맑스주의 이론과 국가의 제도 사이에서 66
4. 결론-‘모스크바 학파’의 멸망? 83
연재훈|영국 한국학의 발생과 발전-인물과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1. 들어가기 93
2. 빌 스킬렌드-영국 한국학의 효시 94
3. 영국 한국학의 발전 97
4. 2010년대 중반 이후 한국학의 인기 102
5. 영국과 유럽의 한국학 연구학회 105
6. 전망과 과제 107
최태원|전후 일본에서의 조선근대문학연구의 성립과 전개-‘조선문학의 회’를 중심으로
1. 새로운 조선연구의 흐름 속에서 113
2. 문학연구의 기초와 문학사의 개관 119
3. 문학연구회의 탈태와 문학사 인식의 심화 133
4. 『조선문학-소개와 연구』의 성과와 한계 149
5. 나가며 165
증천부|대만의 한국학 연구 상황과 미래 전망
1. 양국의 교류와 1980년대 이전의 한국연구 173
2. 한국학회(韓國學會)의 성립과 2000년까지의 한국연구 182
3. 최근 20년간의 한국연구 동향 190
4. 대만의 한국연구 추세와 미래전망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