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004182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4-10-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김회권 숭실대 교목실장, 기독교학대학원장) 5
프롤로그: 아프리카의 희망을 찾아 13
1부 기회의 땅, 아프리카
테슬라는 남아공에서 나왔다? 31
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는 한국에 호기 33
아프리카의 쿠데타와 한국의 외교, 사업 전망 38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와 자원 협력 확대 41
아프리카 ‘K-라이스벨트’ 14개국으로 확대 50
남아공에서 ‘스마트 원조’의 희망을 보다 52
드넓은 대지 일구는 여성 농부의 꿈 55
동아프리카 경제가 아시아로 향하다 60
아프리카에 투자할 수 있을까? 66
남아공 외교와 아프리카 방식 69
남아공과 중국의 특별한 파트너십 72
남아공은 원전 블루오션일까? 73
광활한 자동차 시장을 질주하다 74
폭동에도 도요타가 떠나지 않는 이유 75
현대차의 팬데믹 마케팅 전략 77
전기차 미개척지 아프리카 81
자동차 제조 허브, 프리토리아 83
모잠비크 가스전과 한국 에너지 안보 84
아프리카와 함께 성장하는 길 87
2부 역동하는 아프리카 속으로
아프리카와 자연친화적 생활 94
야생 동물의 왕국에 가다 95
가장 빠르지만 달리지 않는 치타 99
예술가들의 영감의 산 킬리만자로 103
남아공에서 인류의 뿌리를 찾다 106
찬란한 문명의 발상지 110
남아공에서 ‘베들레헴 별’을 보다 111
새로운 도전정신을 키우는 땅 114
이역만리를 건넌 오누이의 우애 117
흥겨운 리듬의 대륙 119
아프리카 작가의 황금시대가 열리다 122
와일드한 사람들, 신나는 나라 124
오늘의 공기는 ‘보통’ 129
햇빛 보기 힘든 이상기후 131
케냐, 홍수와 가뭄의 이중고 132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 137
탈탄소와 개발의 균형을 찾다 140
흑백 넘어 한류로 하나 되다 143
K-팝의 열정과 다양성에 빠지다 146
신명나는 인종화합의 사물놀이 마당 149
여성들의 연대의 장, 에스와티니 갈대댄스축제 150
70대 교포 의사가 전하는 사랑의 빛 154
아프리카 이웃을 위해 무료병원을 열다 157
3부 남아공과 아프리카 민주주의
남아공 토착백인 역사의 산실, 보어트레커기념관 161
남아공 민주화 상징 만델라의 집무실을 가다 166
만델라 타계 후 ‘무지개’는 끊어졌나 173
남아공 인권운동 상징, 투투 대주교의 선종 178
빗속에도 이어진 추모의 물결 180
소나무관과 흰 카네이션 한 다발 182
흑백화합의 발자취를 기리다 184
갈 길 먼 남아공 ‘자유의 날’ 185
남아공 전직 대통령 수감, 한국 따라 하기? 188
라마포사도 부패 논란 휘말려 192
역사적 첫 흑백 연정의 길 194
말을 담는 그릇의 중요성 197
남아공에도 ‘광주’가 있다 199
흑백차별을 옹호한 백인 신학 203
아프리카의 고질적 부족주의 204
‘흑인 생명도 소중하다BLM 운동’의 파장 206
영국 불법이민자를 아프리카 르완다로? 208
4부 아프리카 코로나 리포트
팬데믹 전야 남아공에 도착하다 215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특파원 생활 218
코로나 시대의 단상 221
아프리카를 향한 창이 되다 224
비행기 끊긴 공항과 갈 길 잃은 사람들 226
나만 쓸 수 있는 기사를 구상하다 228
아프리카 대륙에서 찾은 키워드 230
범죄사회의 그늘 239
위험사회의 두 얼굴 241
아이들이 춤추면서 그대로 죽었다 242
성탄절은 ‘8월의 크리스마스’? 245
모기 그리고 말라리아 246
아프리카를 쉽게 갖다 붙이지 말자 249
남아공 병원 체험기 250
골프 천국의 조건 254
순환단전에서 살아남기 257
에티오피아는 한국의 기적을 배우고 싶다 263
에티오피아 부녀의 대 이은 한반도 인연 267
남아공을 배우며 한층 선명해지는 시선 271
아프리카에서 만난 한국 원격의료 273
남아프리카가 오미크론 발원지? 275
희망의 콩쿠르로 새해를 열다 277
에필로그 279
미주 281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프리카는 우리나라 주류 언론이 거의 다루지 않는 나라다. 그런데 저자는 격오지 전문탐사 보도 언론인의 자리에서 아프리카를 아주 친숙한 대륙으로 보이게 만든다. 이 책은 한국에 알려진 아프리카의 이미지를 훨씬 심도 있고 풍요롭게 한다. (‘추천의 글’)
아프리카의 성장 잠재력은 이미 충분하다. 아프리카는 석탄, 천연가스, 원유 등 3대 화석연료를 모두 보유한 ‘자원의 보고’로 손꼽힌다. 전 세계 광물 매장량의 30% 이상이 아프리카 대륙에 있다. 산업용 광물의 90%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는 한국 기업엔 매력적인 곳이다. (‘기회의 땅, 아프리카’)
남아공이 혁신의 나라인가를 별개로 치더라도 머스크가 남아공에서 자란 것이 그의 오늘날 혁신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 바로 남아공의 와일드함과 혁신 마인드가 역시 자본주의 첨단을 달리는 미국적 토양에서 꽃피지 않았을까. (‘테슬라는 남아공에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