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30082853
· 쪽수 : 785쪽
· 출판일 : 2008-05-25
목차
·옮긴이의 말
·머리말
·서 문
·서 론
제1부 언어연구 원칙
제1장 공리적 방법의 아이디어와 계획
1.관찰과 연구관
2.정확한 수집/세 가지 이해방식
3.언어연구의 출발점/언어학자의 개념세계
4.언어연구의 공리
5.네 가지 원칙
제2장 언어의 오르가논 모델(A)
1.구체적인 발화의 출현형태
2.질료적 사색가의 불충분한 인과적 관찰
3.새로운 모델-언어현상의 세 가지 의미기능
4.서술 이외의 독립적 변수로서의 표현과 호소/언어에 관한 세 권의 저서
제3장 언어의 기호성 특성(B)
1.언어의 구조 모델
2.기호를 의미하는 단어의 어원
3.기호개념의 객관적 분석/비교심리학/일반적 형식
4.'어떤 것을 대신하는 그 어떤 것'에 대한 두가지 규정
5.추상적 관여성 원칙은 음운론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6.추상화의 문제
7.소재 이탈이 두 가지 형태
제4장 발화행위와 언어작품-화행과 언어구조(C)
1.불충분한 이분법/4영역 도식
2.발화행위와 언어작품/단축된 대화/빠롤
3.언어예술작품/발화행위이론
4.언어구조/비판/언어학적 구조/고도의 형식화 단계/비교가능한 언어 외적 대상들:
유명상표 물건,주화,단어/상호 주관성
5.화행이론/슈타인탈과 후설/후설의 행위론의 인정/언어의 사회적 동기
제5장 단어와 문장:언어 유형의 S-F-시스템 (D)
1.언어라는 개념의 특징
2.1부류 소통신호시스템 분석
3.2분류시스템의 언어/사전의 강령과 구문론의 강령
4.영역체계의 생산성
5.논리학과 언어학
제2부 언어의 지시영역과 지시어
제6장 인도게르만어의 위치지시 방식의 심리학적 토대
1.브루크만의 지시방식과 일반적 문제점
2.언어적 지시의 기원에 대한 신화
3.to-직시소와 ille-직시소
4.두 번째와 세 번째 지시방식
5.자연적인 보조 지시수단
6.보조 지시수단으로서 발화음성의 음원 특질과 음성 특징
7.du-직시소와 istic-직시소의 단서
8.jener-직시소
9.일반적 문제
제7장 지시영역의 원점과 표시
1.주관적 위치설정인 '여기-지금-나-시스템'
2.지시어들의 의미에 대한 논리학과 수리논리학
3.'여기'와 '나'의 관련성
4.보조 지시수단의 불가피성
5.'나'와'너'
6.대명사의 일반적 분류와 비판
7.지시의 필요성
제8장 상상속의 직시엉와 지시어의 대용적 용법
제9장 주체중심적 지시와 객체중심적 지시
제3부 언어의 상징영역과 명사
제10장 언어기호의 함축적·유착적·통합의미적인 주변영역
제11장 문맥고 세부적 영역요소
제12장 비언어적 서술도구에서의 상징영역
제13장 의상어적 언어
제14장 언어적 개념기호
제15장 인도게르만어의 격체계
제16장 비판적 재고(再考)
제4부 인간의 대화구조:구성요소와 합성
제17장 말의 소리 흐름의 소재 제한적 형성
제18장 단어의 음향 외적 형태와 음소론적 식별 특징
제19장 단일어와 복합어/단어 개념의 자질
제20장 관사의 기능
제21장 und-연결
제22장 합성어에 대한 언어이론적 연구
제23장 언어적 은유
제24장 문장이 문제
제25장 지시영역을 갖지 않은 문장
제26장 대용사
제27장 문장구조의 형식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