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미국
· ISBN : 9788930086189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2-12-20
책 소개
목차
옮긴이 머리말 7
머리말 13
제1부 봉건제와 미국의 경험
제1장 자유주의 사회의 개념 23
1. 미국과 유럽 23
2. 정신적 틀로서의 “자연적 자유주의” 26
3. 자유주의 사회의 역동성 41
4. 단일요인의 문제 48
5. 유럽에 대한 함의 51
6. 혁신주의 학풍 56
제2부 신세계의 혁명
제2장 1776년의 시각들 65
1. 헤브라이즘: 선민 65
2. 유토피아, 권력, 그리고 역사 관념 69
3. 승리한 중간계급의 정신 84
4. 유럽식 투쟁으로부터의 도피 99
제3장 미국의 “사회혁명” 103
1. 내적 갈등의 유형 103
2. 봉건잔재, 민주적 자유주의, 그리고 대니얼 셰이즈의 문제 107
3. 연방주의자들의 허구적 세계 116
제3부 민주주의의 대두
제4장 휘그의 딜레마 127
1. 잭슨 민주주의, 7월혁명, 제1차 개혁법 127
2. 휘그 진보주의의 퇴화 136
3. 귀족정의 닻을 찾아 142
4. 대중정부에 대한 공격 147
5. 민주자본주의의 개념 152
제5장 미국 민주주의자: 헤라클레스와 햄릿 155
1. 사회적 이종교배와 민주주의자의 심리 155
2. “귀족”, 농민, “노동자” 160
3. 개인주의적 공포: 다수의 문제 170
4. 자본가적 욕망: 양심과 탐욕 176
5. 일치성의 문제 182
제4부 남부의 봉건적 몽상
제6장 반동적 계몽주의 189
1. 자유주의 사회 속의 보수주의 189
2. 헌법: 칼훈과 피츠휴 204
3. 인종, 종교, 그리고 그리스적 이상 214
4. 망각과 패배 219
제7장 “자유사회”에 대한 성전 225
1. 봉건적 후견주의와 사회과학 225
2. 미국의 콩트: 실증적 형이상학 231
3. 토리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진흥주의 237
4. 반동적 계몽주의, 휘그주의, 민주자본주의 이론 245
제5부 호레이쇼 앨저의 세계
제8장 새로운 휘그주의: 민주자본주의 251
1. “미국의 발견”: 매혹과 공포 251
2. 억센 개인주의와 국가권력 260
3. 성공과 실패의 이론 269
4. 동조의 문제 276
제9장 혁신주의자와 사회주의자 279
1. 미국의 자유주의 개혁 279
2. 혁신주의의 긴장 289
3. 황야의 사회주의 296
4. 역사 분석의 문제 301
제6부 공황과 세계적 개입
제10장 뉴 딜 311
1. 자유주의 개혁의 승리와 변형 311
2. 유럽의 루스벨트 319
3. 위축된 휘그의 전략 325
4. 마르크스주의의 실패 332
제11장 미국과 세계 339
1. 외교정책과 국내적 자유 339
2. 제국주의: 브라이언과 팽창주의자들 343
3. 제1차 세계대전과 1차 적색공포 350
4. 미국과 러시아 360
옮긴이 해제 369
주석 403
찾아보기 415
책속에서
미국 자유주의와 유럽 자유주의 간의 이러한 연관성들이 그간 간과되었던 이유는 찾으려고만 한다면 명백하게 드러난다. 미국은 유럽식의 사회적 적대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작동한 유럽식의 자유주의 작동메커니즘을 보여주는데, 사실 이러한 작동메커니즘은 사회적 적대를 통해서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유럽의 자유주의자를 알 수 있는 것은 그가 만들어낸 적들을 통해서이다. 자유주의자의 적들을 미국식으로 제거해버리고 나면, 자유주의자는 전혀 자유주의자처럼 보이지 않게 된다. 심지어 1840년 이전의 휘그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이 점에 관한 한 당시의 휘그들을 비교하는 것은 대단히 쉽다. 얼핏 보아서는 관련성을 찾기 힘들지만, 맥컬레이(Thomas Babington Macaulay)에게서 웰링턴 경(Duke of?Wellington)을 제거하면 본질적으로 알렉산더 해밀턴이 남게 된다. 미국의 휘그들이 해밀턴식 엘리트주의를 포기하고 호레이쇼 앨저(Horatio Alger)식 정서와 “미국주의”를 발견하게 된 1840년 이후에는 자유주의를 규정하는 과제가 보다 어려워진다. 왜냐하면 영국과 프랑스의 자유주의자들이 결국 정치적 민주주의를 받아들인 것은 사실이지만, 앨저주의와 “미국주의”는 유럽의 자유주의자들이 활용할 수 없는 사회 이데올로기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토리주의의 부재라는 문제는 미국의 공화파를 빅토리아시대 영국의 반동적 자유주의자들이나 프랑스 제3공화국의 신지롱드당과는 다른 것으로 만들 뿐 아니라, 나아가 휘그주의 전통이 미국의 자유주의 사회에서 취할 수밖에 없었던 독특한 이념적 형태로 인해 이 문제는 더욱 복잡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