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31003499
· 쪽수 : 573쪽
· 출판일 : 2000-01-20
책 소개
목차
서론
1. 미적 상상력
2. 내 글의 의도와 그에 대한 변호
3. 전통미술의 미학적 과제
I. 미술사학자론
제1장 안드레아스 에카르트의 미술관
1. 머리말
2. 에카르트 미술사의 시대적 배경: 19세기 말, 20세기
3. 에카르트의 주저 <한국미술사>
4. 에카르트 미술사학에 대한 평가
5. 맺음말
제2장 우현 고유섭의 미학
1. 머리말
2. 우현 미학의 학적 개괄
3. 미술사상과 양식론에의 접근
4. 우현 미학의 몇 가지 성격
제3장 하인리히 뵐플린의 미술사관
1. 뵐플린의 미술사관 형성과 빙켈만
2. 19세기 유럽 미술사학의 특징
3. 뵐플린 미술사학의 본질과 비판
4. <미술사의 기초개념>에 대하여
5. 뵐플린 사상의 전용
제4장 야나기 신드롬의 실체
1. 야나기의 한국미술론
2. 야나기 이론의 근원
II. 미술사의 방법
제5장 한국미술의 미적 본질
1. 머리말
2. 미술작품의 근원과 고유성
3. 한국미의 이원적 구조
4. 맺음말
제6장 한국미술의 미적 소박주의 -- 무기념성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무기념성의 개념
3. 무기념성의 기질과 소박주의
4. 기념성 표출의 예
5. 맺음말
제7장 한국회화에 나타난 해부학적 표현
1. 머리말
2.1 서양의 미술해부학
2.2 중국과 돈황미술의 해부학적 표현
3. 한국회화의 해부학적 표현
4. 맺음말
제8장 해학, 한국미술의 미적 가치 -- 특히 선비그림을 중심으로
1. 익살(골계)의 정의
2. 회화 이외의 미술품에 나타난 골계적 요소
3. 선비그림에서의 골계
4. 맺음말
제9장 미술사연구에 있어 '층구조'의 문제
1. 새로운 방법론에 대한 요구
2. 니콜라이 하르트만
3. 하르트만 이론의 한계와 비교방법
4. 맺음말
III. 미술사학사
제10장 19세기 말, 20세기 전반기 유럽의 동양미술사연구 -- 전환기 미술사학사를 위한 기초
1. 머리말
2. 관계자료
3. 근대 미술사학연구의 특징
4. 시대구분
5. 맺음말
제11장 독일의 미술사학과 미술교육 -- 동양미술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1 독일의 미술사교육 목적
2.2 미술사교육의 구비요서
2.3 미술사 커리큘럼
2.4 미술사 실습제도
2.5 미술사 교육과정
3.1 독일의 동양미술사학자
3.2 전후 독일미술사학계의 회복
3.3 쾰른대학의 동양미술사학계
3.4 독일 동양미술사연구의 명맥과 그 의미
3.5 쾰른대학의 동양미술사강좌
4.1 미술사학의 학적 유기성
4.2 독자적 사고의 교육방향
4.3 미술사학도의 사회진출
제12장 한국미술사 시대구분의 문제
1.1 머리말
1.2 미술사에 있어서 시대구분의 발단
1.3 한국미술사 시대구분의 난점
2.1 종합연구서에 대한 분석
2.2 장르별 연구서에 대한 분석: 회화
2.3 장르별 연구서에 대한 분석: 도자기
2.4 장르별 연구서에 대한 분석: 조각
2.5 전시도록 분석
2.6 근대의 기점
3.1 종합
3.2 문제제기
IV. 미술사의 전통과 현대
제13장 조선시대 선비그림의 이상
1. 머리말
2. 조선 남종화의 성립
3. 선비그림의 특성
4. 맺음말
제14장 조선왕조 화원에 있어서 전통과 창의의 개념
1. 머리말
2. 화원제도
3. 화원과 페트런
4. 화원의 창의성: 부분들의 창신
5. 맺음말
제15장 화원의 미학 -- 중인층의 사회적 소외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사회적 소외
3. 적극적인 예술적 소외: 사회적 소외의 역기능(은일과 예술)
4. 작품에서의 자기소외 현상
5. 맺음말
제16장 한국 근대 전통화의 변용과 '한국화'의 특성
1. 머리말
2. 미술 환경사
3. 새로운 회화 양식의 대두
4. 맺음말
제17장 '동양화'의 역사에서 본 '한국화'의 과제 -- 1950년대와 60년대 한국의 추상경향을 중심으로
1. 1950-60년 사이의 '한국유화'의 추상화 경향
2. '한국수묵'에서의 추상경향의 발생
3. 문제제기
4. 접근방법
5. 중국회화사에서의 서양화의 충격
6. 중국의 근.현대기의 서화
7. 맺음말
제18장 한락연의 생애와 예술 -- 한.중 회화사상의 위상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시대적 배경과 한락연의 회화 수업
3. 한락연의 작품활동과 작품의 경향
4. 현대회화사상의 의미
도판총목록
도판출처목록
초출문헌목록
인용문헌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