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31010060
· 쪽수 : 353쪽
· 출판일 : 2016-09-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제1부 나와 남에 대한 성찰
제 1 장 나는 누구인가?: 자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1.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1) 자아와 세계
2) 세계 경험적 자아
3) 지각의 현전 작용
2. 초월론적 자아의 존재 양상
1) 자아의 분열: 익명적 자아와 대향적 자아
2) 자기 소외
3) 시간화(Ver-zeitigung)의 근원으로서의 자아
4) 동일성과 개별성의 근원적 구성
맺음말
제 2 장 나와 남은 어떻게 다른가?: 개별
1. 개별화의 형이상학적 정초
1)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2) 중세기의 개체론
2. 현대 분석철학의 개체론에 대한 검토
1) 다발 이론(bundle theory or cluster theory)
2) 벗은 특수자 이론(bare particulars theory)
3) 특징 있는 특수자 이론(characterzized particulars theory)
4) 하이데거가 소개하는 전통적 사물관
3. 개별화의 원리를 둘러싼 토의
1) 토의 1: 관계
2) 토의 2: 시간
맺음말
제 3 장 남은 누구인가?: 타자의 문제에 대한 인식론적·존재론적 고찰
1. 헤겔의 상호승인론
1) 주인과 노예
2) 주인과 노예 관계의 역전
3) 헤겔의 상호승인론 비판
2. 후설의 상호주관성 이론
1) 상호주관성 문제의 발단
2) 타자 구성을 위한 새로운 종류의 에포케
3) 자연 속의 나: 정신물리적 통일
4) 대표상, 즉 유사화적 통각·쌍관 등에 의한 타자 신체의 구성
5) 감정이입에 의한 심리 영역의 환원
6) 슈츠의 사회과학 이론, 그 비판
7) 후설의 함정
3. 현대 존재론에서의 타자 문제
1) 타자 문제에 대한 인식 관계와 존재 관계
2) 하이데거의 타자론
3) 사르트르의 타자론
맺음말
제2부 진실하게 산다는 것: 진리와 비진리의 문제
1. 대응론과 정합론, 기타
1) 대응론의 존재론적 기초
2. 개시성에로의 〔탈-자적〕 환원
1) 개시성이란 무엇인가?
2) 개시성의 양식: 정상성과 이해
3. 비본래적 현존재와 비진리의 문제: 퇴락
4. 현존재의 본래성
맺음말: 진실하게 산다는 것은?
제3부 말 속에 길이 있다: 논리의 언어와 존재의 언어
1. 영미의 분석철학적 언어론
1) 언어의 기호화
2) 이상 언어와 지시론적 언어 이론
3) 검증 원리
4) 일상 언어와 화용론적 언어 이론
5) 비판적 검토
2. 하이데거의 언어관
1) 언어에 관한 저술들
2) 언어 경험
3) 가장 위험한 보물로서의 언어
4) 트라클과 게오르게의 시
3. 시인 횔덜린
1) 생애와 작품
4. 〈라인 강(Der Rhein)〉을 통해서 본 횔덜린의 시 세계
1) 반신 디오니소스로서의 라인 강(Ⅰ절)
2) 라인 강의 탄생(Ⅱ절~Ⅵ절)
3) 신의 이중적 성격: 은총과 벌(Ⅶ절~Ⅸ절)
4) 시인(Ⅹ절과 Ⅸ절)
5) 신과 인간의 결혼: 축제(Ⅸ~ⅩⅣ절)
6) 지배자의 가면을 아는 지혜(ⅩⅤ절)
맺음말
제4부 우리의 사상적 전통과 과제
유교사상에서의 개인과 사회
1. 유교사상의 대전제: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
2. 유교의 이상: 평등과 자유
1) 선천적 가능성으로서의 인간의 평등
2) 우주적 차원으로 확대되는 자유
3) 물욕으로부터의 자유
4) 역사적 주체의 확립
5) 주체의 독립성
3. 이상실현을 위한 여러 본무(本務)
1) 개인적 본무
2) 집에 대한 본무
3) 사회적 본무
4) 보편적 본무
4. 고찰
1) 유교사상의 특징
2) 개인과 사회: 집에 접착된 개인과 국가
맺음말
총결론
참고문헌
리뷰 :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철학적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