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거 앨런 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환상 문학과 미스터리 문학의 선구자 에드거 앨런 포는 1809년 보스턴에서 이민자 출신 배우였던 부모의 둘째 아이로 태어났다. 태어난 지 1년 만에 아버지가 떠나고 이후 어머니마저 병으로 사망하면서 세 살 때 리치먼드의 부유한 상인 존 앨런에게 입양되었다. 1826년 버지니아대학에 입학했으나 도박 문제로 양부와 불화를 겪으면서 1년 만에 중퇴했고, 1830년에 입학한 웨스트포인트 사관학교에서도 군사 훈련과 규율에 적응하지 못하고 제적당했다. 1827년 가명으로 출간한 첫 시집 『타메를란』은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단편 「베르니스」(1835), 「어셔가의 몰락」(1835), 「리게이아」(1837), 유일한 장편 소설 『아서 고든 핌의 모험』(1838) 등을 출간하며 작가로서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이후 첫 소설집 『그로테스크와 아라베스크 이야기들』(1839), 최초의 추리 소설로 평가받는 「모르그가 살인 사건」(1841),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검은 고양이」(1843), 「황금충」(1843), 「도둑맞은 편지」(1843), 단편집 『이야기들』(1845) 등을 잇달아 발표하며 뉴욕 문학계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그러나 계속되는 경제난과 음주벽에 시달리던 포는 1847년 아내가 결핵으로 사망하자 폭음에 빠져들었고, 1849년 볼티모어에서 의식 불명으로 쓰러진 채 발견되어 그해 4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인간 내면의 음습한 광기를 파고들며 독특한 상상력을 펼치는 포의 작품들은 미국 문학의 기반을 다졌을 뿐 아니라 오늘날 환상 소설과 공포 소설, 추리 소설의 기틀을 마련한 걸작으로 평가된다.
펼치기
김기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33년 충북 괴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문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교직에 몸담고 있다가 40대 중반에 농사와 도예의 길로 접어들었다. 그 직접적인 동기는 일사 김봉룡 선생의 고희 회고전을 관람하고 크게 자극을 받아 삶의 행로를 바꾸게 된 것이다.
1978년부터 경기도 광주 곤지암에 농토와 작업장을 마련하고, 작업에 들어간 지 채 일 년도 지나지 않아 제4회 공간대상을 받게 되고 자연미 가득한 도자기를 빚고 있다. 40년이란 세월이 흐르도록 일체의 현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전통 방식의 용가마에 우리 육송을 때서 굽고 있다. 가마 불 때는 날에는 직접 농사지은 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준비해서 이웃과 인연 맺은 분들께 토속적인 우리 음식을 대접하고 있다.
저서로 수필집 『꽃은 흙에서 핀다』, 『고향이 있는 풍경』, 『흙장난』, 『꽃피는 산골』과 역서 『엘리아 수필집』, 『포오 단편집』 등이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대영박물관, 청와대, 교황청, 버밍햄 박물관, 샌프란시스코 동양박물관, 시카고 미술관, 시애틀 박물관, 에벨링박물관(스웨덴), 스토너파크 박물관(영국) 등에 그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 김기철 전시 연보
[개인전]
1979. 04. 06. ~ 04. 12. 제1회 김기철 백자전(선화랑)
1981. 04. 06. ~ 04. 11. 제2회 김기철 도예전(공간 미술관)
1983. 04. 01. ~ 04. 12. 제3회 김기철 도예전(선화랑)
1986. 06. 24. ~ 06. 30. 제4회 지헌 김기철 도예전(서울갤러리)
1990. 10. 28. ~ 11. 06. 제5회 지헌 김기철 도예전(보원 전시관)
1995. 10. 23. ~ 10. 29. 제6회 김기철 도예전(일민 미술관)
1996. 04. 17. ~ 05. 16. 김기철 초대전-알라바마 버밍햄 한국의 해(미국 VAB; Visual Art Gallery)
2001. 06. 16 ~ 07. 29. 김기철 초대전-스웨덴 에벌링 박물관(스웨덴)
2004. 10. 07. ~ 11. 04. 제7회 김기철 도예전-자연의 숨결(세오갤러리)
2009. 03. 13. ~ 04. 01. 제8회 김기철 도예전-봄春(샘터갤러리)
2012. 11. 07. ~ 11. 11. 제9회 김기철 회고전(이도갤러리)
2018. 10. 27. ~ 11. 10. 제10회 김기철 도예전(춘천, 데미안 갤러리)
[단체전]
1982. 11. 19. ~ 12. 15. 현대 도예의 단면-한미수교 100주년 기념 미국 및 프랑스 순회전
1982. '82 현대미술 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1982. 한국 현대미술대전 초대 출품(문예진흥미술관)
1983. 07. 22. ~ 09. 04. 한영 한독 수교 100주년 기념 영국, 독일 순회전
1984. 09. 29. ~ 10. 14. 올림픽 주경기장 개장 기념-한국 현대 도예전(올림픽 주경기장 특별전시관)
1986. 12. 22. ~ 1987. 02. 28. 백자 특별전-우리 백자의 어제와 오늘(현대편)(호암갤러리)
1993. 서울 현대 도예 비엔날레 초대전
1997. 10.22. ~ 10. 28. 한일 도자문화교류 400년展(일본 후쿠오카)
2001. 세계 도자기 엑스포 초대전(광주 조선관요 박물관)
2002. 05. 09. ~ 06. 06. 동방의 숨결전(영은 미술관)
2003. 현대 한일 도예전-공생을 위하여(금호 미술관)
2003. 03. 08. ~ 03. 27. 한국 도예 전통과 변주(미국 샌디에고)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