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주주의
· ISBN : 9788932010793
· 쪽수 : 682쪽
· 출판일 : 1999-06-18
책 소개
목차
제1부 근대 민주주의의 근원
제1차 변환: 민주적 도시국가로/ 제2차 변환을 향하여: 공화주의, 대의, 평등의 논리
제2부 부정적 비판자들
무정보주의 /수호자주의/ 수호자주의 비판
제3부 민주적 과정 이론
정당화 :가치의 본질적 평등 사상 / 개인적 자율/ 민주적 과정 이론/ 포함의 문제
제4부 민주적 과정의 여러 문제
다수결과 민주적 과정/ 더 좋은 대안이 있는가? / 과정과 실질/ 과정과 과정/ 하나의 국민이 민주적 과정을 운영할 권리는
제5부 민주주의의 한계와 가능성
제2차 민주 변환: 도시국가에서 민족국가로/ 민주주의, 폴리아키, 참여/ 어떻게 폴리아키는 어떤 국가들에서는 발달했고, 다른 국가들에서는 그렇지 못했는가? / 왜 폴리아키는 어떤 국가에서는 발전했고, 다른 국가에서는 그렇지 못했는가? / 소수 지배는 불가피한가? / 다원주의, 폴리아키, 공동선/ 과정과 실질로서의 공동선
제6부 제3의 변화을 향하여
미래의 민주주의/ 선진 민주주의 국가에 대한 스케치
리뷰
책속에서
폴리아키는 가장 일반적인 수준에서 구분할 때 두 가지 커다란 특징을 가지는 정치 질서이다. 즉 시민권이 성인의 상대적 다수에게로 확대되어 있고 시민권에는 정부 최고 관리들에게 반대하고 이들을 선거로 바꿀 수도 있는 권리를 포함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첫째 특징은 보통 선거 실시 이전의 영국, 벨기에, 이탈리아 등의 나라처럼 비록 반대가 허용된다 하더라고 집권과 합법적 반대가 소규모 집단에게 제한되는 보다 제한적인 지배 체계와 폴리아키를 구분한다. 두 번째 특징은 근대 권위주의 체제들처럼 비록 대부분의 성인들이 시민이지만 시민권이 정부에 대해 반대하고 선거로 바꿀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하지 않는 체제들과 폴리아키를 구분한다.--본문 41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