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크리스티앙 메츠 (지은이), 이수진 (옮긴이)
  |  
문학과지성사
2011-11-21
  |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책 정보

· 제목 :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기호학
· ISBN : 9788932022581
· 쪽수 : 327쪽

책 소개

PARADIGMA 시리즈 4권. 구조주의 언어학의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영화’에 적용한 최초의 책으로, ‘영화 기호학’의 창시자이자 권위자인 크리스티앙 메츠의 가장 중요한 저작으로 손꼽힌다. 메츠 사유의 가장 중요한 첫번째 단계의 이론을 집대성하고 있는 이 책은, 무엇보다 저자의 엄격하고도 주도면밀한 학자로서의 면모와 ‘영화 연구’라는 독자적인 분야를 개척하면서 내보인 창조적 모험성이 돋보인다.

목차

1권

서문
일러두기

제1부 영화에 관한 현상학적인 접근
제1장 영화의 현실 효과에 관하여
제2장 서사의 현상학을 위한 몇 가지 단상

제2부 영화에 관한 기호학적인 문제
제3장 영화-랑그인가 랑가주인가?
제4장 영화 기호학의 주요 쟁점들
제5장 픽션영화에서 외연의 문제

제3부 이미지의 통합체 분석
제6장 자크 로지에의 영화 [아듀 필리핀]의 자유 분절체 구분
제7장 자크 로지에의 영화 [아듀 필리핀]의 통합체 연구

제4부 '현대'영화에 관한 몇몇 이론 문제
제8장 현대 영화와 서사성
제9장 펠리니의 [8과 1/2]에 나타난 액자 구조
제10장 영화에서 말하기와 말해진 것-'진실다움'의 쇠락

옮긴이의 말
미주
찾아보기

2권
서문
일러두기

제1부 영화의 전통적 이론에 관하여 - 장 미트리의 이론을 중심으로
제1장 영화에 관한 사유의 1단계
제2장 영화 이론의 실제적 문제들

제2부 다양한 기호학적 문제에 관하여
제3장 영화의 편집과 담화
제4장 영화 분석에 관한 몇 가지 방법론
제5장 디제시스 영화에서의 구두점과 경계 표시

제3부 유사성의 전과 후
제6장 이미지와 가르치기
제7장 이미지, 유사서 너머로…
제8장 내포 다시 보기
제9장 특수 기법과 영화

제4부 기호학자가 말하는 기호학
제10장 크리스티앙 메츠와 레몽 벨루르 간의 영화 기호학에 관한 대담

옮긴이의 말
미주보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크리스티앙 메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1년 12월 남프랑스의 작은 마을 베지에Beziers에서 태어나 1993년 12월 파리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프랑스 인문학 분야의 핵심 연구소인 프랑스 사회과학 고등연구EHESS 교수를 역임했으며, 영화기호학의 창시자이자 권위자로 명성을 떨쳤다. <영화의 의미 작용에 관한 소론 Essais sur la signification au cinema> 제1권(1968)과 제2권(1973), <랑가주와 영화 Langage et cinema>(1971), <상상적 기표 Le Signifiant imaginaire>(1977), <기호학 소론 Essais semiotiques>(1977), <비인칭적인 언표 상황 혹은 영화의 지점 L'Enonciation impersonnelle, au le site du film>(1991) 등 영화기호학의 탄생과 발전과정의 궤적을 서술한 여섯 권의 역작을 남겼다.
펼치기
이수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문화콘텐츠문화경영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프랑스 파리 8대학에서 영화기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문화콘텐츠문화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영화, 게임, 웹툰 등의 문화콘텐츠 연구와 이미지 기호학의 크로스오버를 도모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웹툰과 영상의 기호학』(2022), 『사이언스픽션, 인간과 기술의 가능성』(2017), 『크리스티앙 메츠』(2016), 『기호와 기호 사이, 이미지들 너머』(2013), 옮긴 책으로 『상상적 기표』(2009),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2』(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영화 전에 사진이 있었다. 모든 종류의 이미지 중에서, 사진은 현실을 상기시키는 데 가장 풍부한 무엇이었다. 앙드레 바쟁이 언급했던 것처럼 그래픽적인 윤곽을 충실하게 존중하면서 도덕적으로 결코 나무랄 데 없는 유일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사진이 재현하는 것은 복제를 위한 기계적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물이고, 깨끗한 필름 위에 인화된 대상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너무나 현실과 흡사한 사진의 재료만으로는 아직 충분치가 못했다. 시간이 부재했고,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어딘가가 부족했고, 일반적으로 삶의 동의어처럼 생각되는 움직임의 느낌이 부재했다. 영화는 이 모든 부족함을 한 번에 메워버렸다. 게다가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을 더했다. 즉 관객이 스크린에 나타나는 움직임을 볼 때, 이는 단순히 그럴듯한 재현의 일종이 아니라 온전히 현실성을 확보한 움직임 그 자체였다. 최고의 반전이라고 할 수 있는 특성은, 영화의 이미지가 사진의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였지만, 너무나 현실적인 움직임이 거기에 그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힘을 부여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상상계는 그 혜택을 톡톡히 누리게 되었다. 왜냐하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여전히 이미지였기 때문이다.
이 글은 영화에서의 현실 효과 문제를 밝히는 한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이제 비로소 영화의 ‘비밀’을 한 가지 더 밝혀낼 수 있을 듯하다. 이미지의 비현실성에 움직임의 현실성을 주입했다는 점, 그리하여 결코 도달할 수 없었던 지점까지 우리의 상상계를 실현시킬 수 있었다는 점 말이다. - 제1권 제1장 영화의 현실 효과에 관하여


영화 기호학을 엄밀한 의미의 언어학과 구별하는 중요한 차이점 중에서 이제 중요한 몇몇 사안만 상기해보자. 영화는 제2분절, 순수하게 변별적 단위들에 해당하는 단위가 전혀 없다. - 페이드인?아웃, 와이프 등과 같은 아주 단순한 단위들일지라도) 영화의 모든 단위는 직접적으로 의미를 나타낸다. 게다가 이미 언급한 바대로 활성화된 상태로만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영화 기호학이 주목하는 치환과 다른 조작들은 거대 의미 단위들과 연관된 것이다. 영화 랑가주의 ‘법칙’은 언표를 서사 내부에 배열하는 것이지, 언표 내부에 형태소를 배열하거나 형태소 내부에 배열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무성영화 이론가들이 ‘시네-랑그’ 혹은 ‘시각적 에스페란토’와 같은 테마로 주장했던 바와 달리, 영화는 분명 ‘랑그’가 아니다. 영화는 ‘랑가주’로서 고려되어야만 한다. 영화는 우리 음성언어에서 사용하는 낱말의 배열과는 다른 다양한 법칙 배열로 의미 요소들을 배치한다. 이 요소들은 현실에서 지각할 수 있는 전체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도 아니다- 현실에서 사건들은 일련의 이야기로 구성되지 않는다). 영화 조작은 현실의 시각적 모방으로서만 그칠 것들을 담화로 변형시킨다. 활동사진 시테마토그래프에서 추구한 현실을 있는 그대로 옮긴 지속적인 의미작용 부분을 이미 뛰어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성숙의 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영화는 고유한 기호학적 요소들을 만들게 된다. 이 요소들은 단순한 시각적 복제라는 비정형의 층 가운데에 파편적이고 분산적인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 제1권 제4장 영화 기호학의 주요 쟁점들


‘영화 문법’이란 개념은 오늘날에는 매우 비난받고 있는 데다 심지어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우리가 찾아야 할 곳을 제대로 찾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라고 여겨진다. 우리는 항상 - 영화 이론가의 모국어 같은) 특정 언어의 규범 문법을 간접적으로 참조하면서 연구를 지속해왔다. 사실 언어학적이고 문법적인 현상은 무한대로 넓고 모든 정보를 전달하는 근본적인 대단위 형태를 포함하고 있는데도 말이다. - 규범 문법이 아닌 단순히 분석적인 이론에 해당하는) 일반 언어학과 일반 기호학만이 유일하게 영화 랑가주 연구에 적합한 방법론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전혀 보편적이지도 않고 필수불가결한 현상도 아닌 프랑스의 관계절이나 라틴어 형용사에 해당하는 것이 영화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하는 작업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영화 이론가와 기호학자 간의 대화는 어휘의 특정 현상 혹은 언어에서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원칙 등을 훨씬 초월하는 지점에 있어야 한다. 이해되고 연구되어야 하는 대상은 영화가 이해되는 사실이다. 도상적인 유사성에만 근거해서 관객이 영화 담화에 공존하는 많은 요소를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를 찾아내는 작업이 바로 거대 통합체의 임무라고 할 수 있다. - 제1권 제5장 픽션영화에서 외연의 문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