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야기꾼과 놀이꾼

이야기꾼과 놀이꾼

(서사와 창의성)

김상환, 김민호, 서성은, 신정아, 양혜림, 이수진, 이재환, 장태순, 최용호, 한충수, 한혜원 (지은이)
이학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250원
20,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이야기꾼과 놀이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야기꾼과 놀이꾼 (서사와 창의성)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61474382
· 쪽수 : 462쪽
· 출판일 : 2023-10-31

책 소개

서사적 인간이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대중문화 지형의 변화 속에서 어떻게 존재하고 소통하는지 궁리하고자 기획된 ‘내러티브 총서’의 세 번째 책이다. ‘서사’와 ‘창의성’을 이어주는 끈으로서 ‘놀이’ 개념을 실마리 삼아 서사와 창의성의 관계를 탐구하고, 철학적‧인문학적 관점에서 새로운 창의성의 영역을 발굴한다.

목차

내러티브 총서 발간사

서론 이야기꾼과 놀이꾼 — 김상환

1부 서사 이론

탈근대의 가치와 서사: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 다시 읽기 — 김상환
프란츠 칼 슈탄젤의 『서사 이론』 속에 나타난 서사성과 창의성 — 최용호
시 짓기에 관한 하이데거의 생각 — 한충수
데리다의 서사론: 이야기 혹은 끝없는 거짓말 — 김민호

2부 서사와 창의성

놀이의 세 얼굴: 해방, 입법, 경쟁 — 장태순
놀이-서사-창의성 — 이재환
사물의 서사와 창의성 — 장태순
연상호 감독의 SF 영화 <정이>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시대의 서사적 욕망 — 신정아・최용호

3부 디지털 문화와 서사적 창의성

디지털 게임의 서사성과 창의성 — 한혜원
한국 웹툰 서사의 창의성: 틀 안의 천착과 틀 밖의 확장에 대하여 — 양혜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서사성과 창의성 — 서성은
‘생생한’ 내러티브의 표현: 창의적인 영화에 관하여 — 이수진

결론 — 이재환

미주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현대철학의 다양한 통찰을 바탕으로 지금의 우리 모습과 시대를 진단하는 글을 써왔으며, 현대철학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내러티브 총서》 시리즈(공저, 2021-2023)와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공저, 2022), 『왜 칸트인가』(2019), 『근대적 세계관의 형성: 데카르트와 헤겔』(2018), 『김수영과 『논어』』(2018),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2013)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차이와 반복』(2004)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환의 다른 책 >
최용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프랑스어를 전공하고,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소쉬르의 시간 개념에 관한 논문으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일꾼과 이야기꾼』(공저, 2022), 『이야기의 끈』(공저, 2021), 『소쉬르는 이렇게 말했다』(2017), 『노랑 신호등』(공저, 2012), 『서사로 읽는 서사학』(2009), 『의미와 설화성』(2006), 『광고 커뮤니케이션 문화 마케팅』(2005), 『텍스트 의미론 강의』(2004), Le temps chez Saussure(2002)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신앙과 지식/세기와 용서』(공역, 2016), 『정념의 기호학』(공역, 2014), 『일반 언어학 노트』(공역,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이수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세종대학교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 응용동물과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과에서 석사 과정을, 서강대학교 미디어공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과정을 마쳤다. 전통적인 비전 기술 기반의 새로운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 개발 및 연구로 학위 논문을 썼다. 이미지 표상의 오랜 주제를 기반으로 메타버스와 현실 세계의 새로운 이미지 처리와 생성 알고리즘을 연구하며 다양한 국책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기술과 콘텐츠 그리고 융합 교육 관련 논문을 다수 출판했다. 저서로는 『뉴미디어 아티스트, 기술을 활용한 예술가들』(2016)과 『예술가의 메타버스 사용법』(2023) 등이 있다.
펼치기
한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디지털 게임의 다변수적 서사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디지털스토리텔링 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뉴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난 다양한 융합 콘텐츠와 인공지능 시대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지은 책으로 『앨리스 리턴즈』(2016), 『아이의 마음을 훔치는 스토리텔링 전략』(2012), 『디지털 시대의 신인류 호모 나랜스』(2010), 『디지털 게임 스토리텔링』(2005) 등이 있다.
펼치기
신정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3대학에서 「17-18세기 장 라신과 그 작품 수용에 관한 사회시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파리 고등통번역학교(ESIT) 번역학부 한불과를 졸업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귀국 후 2004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외대 프랑스학과에서 <프랑스 예술입문> 강의를 개설해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서울시민대학에서 <역사와 예술을 만나는 파리 미술관 탐방>이라는 제목의 강의를 통해 10주간 수강생들을 만났다. 문학과 예술을 공부하고 가르치면서, 주된 관심을 사람과 역사에 두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바로크>, <노랑신호등>(공저)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페드르와 이폴리트>, <신앙과 지식, 세기와 용서>(공역), <수전노 외>, <최후의 인간>(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장태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교수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파리 8대학(생드니)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현대철학과 예술철학을 주로 공부하고 있다.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단과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의 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철학, 혁명을 말하다』(공저, 2018), 『체계와 예술』(공저, 2017), 『동서의 학문과 창조: 창의성이란 무엇인가?』(공저, 2016), 『현대 정치철학의 모험』(공저, 2010), 『이야기의 끈』(공저, 2021), 『일꾼과 이야기꾼』(공저, 2022)이 있고, 옮긴 책으로 『비미학』(2010)이 있다.
펼치기
이재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철학과 교수. 가천대, 목포대 교수 역임.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한 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데카르트 윤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는 『성찰, 모든 것을 의심하며 찾아낸 생각의 신대륙』, 『고전하는 십 대의 이유 있는 고전』, 『나다움 쫌 아는 10대』, 『불안 쫌 아는 10대』, 『몸의 철학』(공저), 『이야기의 끈』(공저), 『일꾼과 이야기꾼』(공저)이 있고, 슬라보예 지젝의 『나눌 수 없는 잔여』를 번역했다.
펼치기
서성은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경국립대학교 문예창작미디어콘텐츠홍보전공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경국립대학교 문예창작미디어콘텐츠홍보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다매체 환경에서 나타나는 스토리텔링의 변화와 K-스토리텔링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학부 졸업 후 10년간 방송작가로 활동하면서 MBC <우리시대>, <사과나무> 등의 TV 프로그램을 집필했다. 지은 책으로 『스토리텔링 입문』(공저, 2023), 『K-스토리텔링 1, 2, 3』(편저, 2022),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2018),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2018) 등이 있다.
펼치기
한충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하이데거 철학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서로는 Erfahrung und Atmung bei Heidegger(Ergon, 2016)이 있고, 역서로는 한병철의 『선불교의 철학』(이학사, 2017), 하이데거의 『철학의 근본 물음』(이학사, 2018), 야스퍼스의 『철학적 생각을 배우는 작은 수업』(이학사, 2020),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샘』(이학사, 2022)이 있다. The Routledge Handbook of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Routledge, 2021)에서 한국의 하이데거 철학 연구를 소개하였고, 한국 하이데거 학회 및 Heidegger Circle in Asia에서 활동하며 국내외 하이데거 철학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펼치기
양혜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웹툰만화콘텐츠전공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웹툰만화콘텐츠전공 교수로 재직하며 만화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 연구와 창작 양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국립자유경제고등학교 세실고>, <나오세요, 로미오> 등의 만화 스토리를 맡아 연재했으며 『웹툰의 서사공간』(2019), 『なぜ学校でマンガを教えるのか(왜 학교에서 만화를 가르치는가)』(공저, 2019), 『스토리, 꼭 그래야 할까?』(공저, 2022)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김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으며, 동 대학 철학과에서 데카르트의 『정념론』을 주제로 석사 논문을, 파리8대학 산하 철학의 현대적 논리 연구소(LLCP)에서 데리다 사유의 전개를 주제로 박사 논문을 작성했다. 논문으로는 「데리다의 시원적 사유로서의 『발생의 문제』」, 「긍정 부재신학으로서의 자크 데리다의 철학」, “Le Loup et les spectres: souverain et justice chez Derrida” 등을, 책으로는 『데리다와 역사: 데리다 철학에 대한 하나의 입문』, 『이야기꾼과 놀이꾼』(공저), 『스크롤을 멈추면』(공저) 등을 썼으며, 『비밀의 취향』, 『우편엽서』(공역, 근간) 등 데리다 저작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1474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