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학
· ISBN : 9788932110653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08-01-10
책 소개
목차
약어표
서문
제1장 이성의 요청으로서 형이상학적 설득의 다양성
1. 학문적 특성에 대한 반론으로서의 형이상학적 설득의 다양성
2. 이데올로기 의혹
3. 비판적 고려
4. 형이상학과 인간의 이성
5. 이성(理性) 외적 영향
6. 동의의 자유
7. 형이상학적 원리의 고유성
제2장 앎의 제일 근거
1. 진리 개념
2. 진리의 문제
3. 의식의 확실성
4. 근본 개념의 개인적 특성
제3장 사유와 언어
1. 단어가 가진 의미의 문제
2. 문제의 해결에 대해
3. 보편 문제: 유명론(唯名論)
제4장 개념과 존재자
1. 단어와 단어의 의미
2. 보편개념
3. 칸트의 범주론
4. 보편개념의 존재 타당성
5. 경험과 사유
제5장 실증주의
1. 실증주의의 발전에 대한 역사적 개괄
2. 실증주의의 근본적 가르침
3. 실증주의는 증명되지 않았다
4. 실증주의의 내적 모순
5. 엄밀한 학문의 전제
제6장 상호 일치에 의한 확실성
1. 진리의 규준에 대한 물음
2. 즉각적 확실성의 숨겨진 근거
3. 확실성의 사실적 근거로서의 상호 일치
4. 결과적 의미에 대한 뉴먼의 이론
5. 가정적 확실성의 개념과 상호 일치적 사고의 정당화
6. 물리적 확실성과 윤리적 확실성
제7장 원리에 대한 선천적 인식
1. 원리에 대한 물음
2. 문제점에 대한 역사적 입문
3. 비모순율
4. 비모순율의 선천적 귀납법
5. 비모순율의 자명성
6. 원리와 경험의 관계
제8장 선천적 종합과 인과율
1. 원리와 관련된 계속적 물음
2. 인과율에 대한 역사적 개괄
3. 형이상학적 인과율과 물리적 인과율
4. “원인” 개념의 다의성
5. 충분율
6. 개념의 해명
7. 인과율의 선험적 연역법
8. 형이상학적 인과율의 자명성
9. 근거의 고유성에 대한 반성
10. 인과율을 도출하기 위한 시도
제9장 통찰의 필연성과 입장의 자유
1. 문제 제기
2. 다양한 입장 표명의 종류
3. 근거의 다양한 가능성
4. 비임의적 입장 표명
5. 숙고하고 원하는 입장 표명
6. 개념적이고 실재적 동의
7. 입장 표명과 근거에 대한 정당한 질서
8. 도덕적으로 정당화되지 않은 입장 표명
제10장 형이상학적 인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1. 문제 제기
2. 보편적인 것에 대한 추상의 불충분성
3. 형상적 추상
4. 존재 개념
5. 근저하는 존재
6. 순수 존재 완전성
7. 플라톤주의와의 관계
8. 유비적 인식 방식, 존재자의 유비
책속에서
하나의 서술에 상응하는 대상을 우리는 “사태”라고 부르며, 예를 들면 “이 문은 닫혀 있다”는 사실을 말한다. 서술이 진리로 받아들여져 “긍정”되면, 즉 “동의”를 구하게 되면, 그 서술은 “판단”이라 불린다. 물론 “판단”이란 단어는 그 판단이 긍정되든 부정되든 상관없이 종종 모든 서술에 사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이에 비례하여 어떤 서술의 내용 또한 그러한 판단 내용이라 부르기도 한다. - p.55 중에서
물리적 인과율은, 정당하게 주장되는 한 어떤 경우에도 물질적이고 육체적인 존재자를 넘어서서는 타당하지 않다. 이와는 반대로 형이상학적 인과율은 모든 우유적 존재자들뿐만 아니라 정신적 존재자에도 타당하다. 여기에서 두 번째 구분이 나온다. 즉 물리적 인과율은 물질적 영역의 진행 과정과 관계되며, 형이상학적 인과율은 그리스도교 철학의 의미로 이해했을 때 변화나 진행 과정뿐만 아니라 존재자의 우유적 존재 자체와도 관계된다. - p.269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