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꽃과 나무
· ISBN : 978893231258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04-10-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우리에게 소나무란 무엇인가?
소나무를 알면 역사가 보인다
소나무, 조선 바다를 누비다 ㅣ 조선재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 솔숲
이 숲 소나무를 베지 마라 ㅣ 국용재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도 솔숲
무덤까지 함께한다 ㅣ 관곽재 - 경상북도 울진군 송광리 솔숲
금한다면 없애 버리고 말리라 ㅣ 송정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 정약전 유배지
우리 나무는 우리가 지킨다 ㅣ 송계 - 전라남도 보성군 이리
하나뿐인 산림 감시 신분증 ㅣ 금송패 - 경상남도 통영시 안정사 솔숲
소나무 없이는 백자도 없다 ㅣ 백자가마 땔감 - 경기도 광주시 솔숲
자염으로 되살아나다 ㅣ 소금가마 땔감 - 충청남도 태안군 마금리 솔숲
'생명의 나무'로 나라를 다스린다 ㅣ 상징 - 경기도 수원시 노송지대
현해탄 건너 보물이 된 신라송 ㅣ 교토의 미륵보살상 - 일본 교토의 고류사
소나무를 알면 삶이 보인다
겸재는 연산폭포에서 소나무를 보았는가 ㅣ 그림 - 경상북도 포항시 내연산 겸재 소나무
지조와 절개를 읊다 ㅣ 시 - 전라남도 강진군 다산초당 솔숲
선정에 든 보리수 ㅣ 불교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사 처진 소나무
낙락장송 되어 독야청정하리라 ㅣ 유교 - 경상북도 영주시 소수서원 솔숲
봉분의 음이 오행의 목으로 조화를 이룬다 ㅣ 풍수 - 경기도 고양시 익릉 솔숲
어명이오! ㅣ 도편수 신응수 - 강원도 강릉시 대기리 솔숲
천 평 땅 거느린 만석꾼 ㅣ 세금 내는 소나무 - 경상북도 예천군 석송령 소나무
당산 어르신, 막걸리 한 잔 올립니다 ㅣ 당산나무 - 충청남도 홍성군 궁리 당산소나무
소나무로 지세를 바꾼다 ㅣ 액막이 - 경상남도 하동 송림
소나무를 찾아서 ㅣ 솔바람 모임
소나무를 알면 환경이 보인다
1만 7,000년 전의 씨앗 ㅣ 한반도 식생 역사 - 강원도 속초시 영랑호 솔숲
금강소나무는 환경이 만든다 ㅣ 지역에 따른 특징 - 강원도 외금강 온정리 창터 솔숲
보호가 살 길이다 ㅣ 방치로 인한 쇠퇴 - 서울시 남산 솔숲
사라지는 천년 향기 ㅣ 공멸하는 송이 버섯 -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 송이밭
지구 온난화 현장 ㅣ 생육 부적합 지역의 확대 - 제주도 한라산 영실 소나무
적송 망국론이 나라를 망친다 ㅣ 인공 조림 - 강원도 고성군 명파리 산불 피해자
어제 심고 오늘 가꾸어 내일 거둔다 ㅣ 직파 조림 - 강원도 강릉시 어흘리 대관령 솔숲
가꿀 수 없다면 어미소나무라도 남겨라 ㅣ 모수 조림 - 경상북도 봉화군 대현리 솔숲
정이품송과 미인송의 결혼식 ㅣ 혈통 보존 - 강원도 삼척시 활기리 준경릉
우리 소나무가 죽어간다 ㅣ 소나무 4대 해충 - 경상남도 진주시 솔숲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오늘날도 소나무가 농경 문화의 산물이라는 흔적은 쉽게 찾을 수 있다. 마을 주변에서는 쉽게 볼 수 있는 소나무 숲을, 사람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깊은 산골에서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다시 말해 사람이 사는 동네 주변에 자라는 소나무 숲이 사실은 저절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인간의 손길 때문에 유지되어 온 것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독일 괴팅겐 대학교 임학과 얀 교수는 오직 소나무만으로 이루어진 마을 주변 솔숲을 인위적 극상림으로 표현한다. 사람의 힘으로 솔숲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켰다는 뜻이다. - 본문 28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