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32818078
· 쪽수 : 286쪽
· 출판일 : 2023-09-08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책머리에
서문
1부.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1장 세계관과 문화
2장 세계관 분석하기
2부. 성경적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3장 창조에 기초하기
4장 타락 인식하기
5장 구속으로 변화되다
3부. 현대의 세계관은 어떤 것들인가?
6장 이원론 문제
7장 이원론의 발전 과정
8장 세속적 세계관의 발흥
9장 우리 시대의 신들
4부. 행동하는 성경적 세계관
10장 그리스도인의 문화적 대응
11장 세계관과 학문
12장 기독교적 철학 틀을 향해
주
기독교 세계관 정립을 위한 최소한의 필독서
책속에서
세계관들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세계관들이 구체화될 때, 즉 실제 생활 방식에서 그것들이 구현된 것을 볼 때다. 세계관은 신학이나 철학 같은 사고 체계가 아니다. 오히려 세계관은 인식의 틀이며 사물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사람들이 무엇을 인지하는가, 혹은 사람들이 얼마나 잘 인지하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어떻게 행하는가를 보면 된다. 어떤 것에 부딪히거나 걸려 넘어진다는 것은 그 대상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떤 대상에 대해서는 눈이 그것을 인지할 뿐 아니라 깊이 들여다볼 수도 있다. _“1장 세계관과 문화” 중에서
제임스 사이어는 세계관을 가리켜 사람들이 그 안에서 살아가는 ‘우주’라고 이야기한다. 실제로 우리는 우리의 세계가 다른 사람들의 세계로부터 분리된 듯한, 혹은 어떤 사람이 우리와는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종종 받는다. 사실 그럴 때가 많다.…바로 이런 이유로 서로 다른 인생관을 가진 이들이 서로 대화하며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생긴다. 실제로 그들은 서로 다른 세계에 살고 있으며, 상대방의 세계로 들어가지 못한다. 이 사실은 백인이 원주민 아이들을 교육하는 데 실패한 이유를 설명해 준다. 아이들은 다른 ‘대화의 세계’ 속에 살기에 교수가 말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_“2장 세계관 분석하기” 중에서
우리는 자연을 숭배하는 모든 범신론적 관념을 거부하지만, 땅을 정복하라는 성경의 명령에 포함된 자애로운 보호와 보존이라는 매우 중대한 요소 또한 인식해야 한다. 우리는 동산을 경작하며 또한 보존해야 한다. 우리의 문화 형성은 이기적이어서는 안 되고 창조세계에 대한 참된 돌봄과 더불어 이루어져야 한다.…우리는 이 땅의 주인인 동시에 하나님의 종이다. 우리는 야웨의 궁극적 주권에 대한 순종적 응답으로서 우리의 통치권을 행사하도록 부름받았다. 땅을 정복하는 것은 언약적 책임의 문제인 것이다. _“3장 창조에 기초하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