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3281863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1-09-07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1장. 다원주의 바르게 보기
2장. 얇은 합의, 빈 성소
3장. 종교와 공론장
4장. 공적 자아 탐색
5장. 방향적 다양성 이해하기
6장. 통합적 비전과 연합적 다원성
7장. 보석상의 관점을 향하여
8장. 열린 하늘 아래
부록 1. 다원주의적 에토스는 가능한가?
부록 2. 철이 철을 날카롭게 하는 것같이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철저한 상대주의적 다원주의에 실제로 전혀 공감하지 않지만, 그리스도인들이 때로 상대주의의 대안으로 제시하는 극히 단순한 입장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공적 삶에서 다원주의와 씨름하는 다양한 시도에 대한 우리의 평가는 다원주의 현상이 제기하는 진정한 도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리라는 소망 속에서, 특히 그리스도인 공동체에?여기만은 아니지만?제공된다. 확신하건대, 이 도전은 최대한 진지하게 다루는 것이 최선이다.
_1장 다원주의 바르게 보기
그리스도인들이 롤스 이론의 세부 내용을 어떻게 생각하건, 롤스의 기획이 기독교 사상에 제기하는 중요한 긍정적 도전을 그리스도인들이 무시한다는 데는 변명의 여지가 없다. 다양한 종교적·도덕적·철학적 믿음에 의해 성격이 규정된 사회 속에서 어떻게 정의가 가능한가는 그리스도인들이 해명해야 할 중요한 질문이다.
_2장 얇은 합의, 빈 성소
그리스도를 공적 삶의 중심, 즉 “중심 성소”에 둔다는 게 정확히 무슨 의미인가? 뉴비긴이 마련한 내용들이 점증하는 다원주의에 의해 야기된 문제들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든 공정한 해법이 될 수 있는가? 그것은 롤스의 기획보다 높은 수준의 정의를 허용할 것인가? 뉴비긴의 “선교적 대면”이 일어나는 영역이 정당하게 공적 공간으로 여겨질 수 있는가?
_3장 종교와 공론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