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88932821528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3-04-25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서문
들어가는 글: 기독교 금식의 몽타주
1. 금식과 몸의 이미지
1부 영성과 금식
2. 몸의 언어
3. 몸의 돌이킴
4. 몸의 간구
5. 몸의 탄식
6. 몸의 훈련
7. 몸의 절기
8. 몸의 빈곤
9. 몸의 체험
10. 몸의 소망
2부 금식의 지혜
11. 금식의 문제점
12. 금식의 유익
13. 금식과 건강
나오는 글
주
참고 도서
책속에서
성경을 연구해 보면, 도구적 관점과는 다른 이야기가 나온다. 성경은 금식을 단지 반응적 관점에서만 이야기할 뿐이다. 비통하고 엄숙한 상황에 깊이 젖어들어 자연스럽게 금식을 하게 된 사람들은, 그 순간 이 세상에서 하나님이 행하고 계신 일과 온전한 일치를 이루었고, 그로 말미암아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들은 어떤 결과를 얻기 위해 금식을 한 것이 아니라 다만 엄숙한 상황에서 나온 반응으로서 금식을 했다. 여기서 중요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상황은 무시하고 오로지 결과에만 집착하는 금식은 진정한 기독교적 영성 훈련이 아니라 결과를 조작하는 수단이 될 뿐이다.
들어가는 글
사람들이 그토록 비참하고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음에도 그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나는, 내가 그 상황에 공범이 된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런 비참한 상황을 보고 우리는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 성경에서 하나님의 마음에 민감했던 사람들은 그런 상황에 처했을 때 금식을 했다. 우리가 자신의 도덕적 둔감함을 깨닫고 자신이 구조적인 악에 가담한 공범이라는 느낌이 들 때 나오는 진정한 반응은 바로 금식이다.…심각한 기근 사태를 보고 우리의 무기력한 수동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도 하루를 금식하는 것이 아닐까? 금식은 가난한 사람들을 향한 하나님의 마음에 우리의 전 존재로 공감하는 방식이다.
3. 몸의 돌이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