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32822143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3-12-28
책 소개
목차
서문
약어
지도
서론: 하나의 현실에 대한 두 개의 프로필
1. 시골에서 도시로
2. 예루살렘에서 로마로
3. 예루살렘에서 동쪽과 남쪽으로
4. 히브리어에서 헬라어로
5. 예수 운동에서 이방 선교로
6. 예수 운동에서 로마의 박해로
7. 토라에서 케리그마로
8. 회당에서 교회로
9. 유대 정신에서 기독교 정신으로
10. 유월절에서 성찬으로
11. 사도에서 주교로
12. 안식일에서 일요일로
13. “그 길”에서 “그리스도인”으로
14. 두루마리에서 코덱스로
결론: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참고 문헌
성경 구절 찾아보기
고전 문헌 찾아보기
주제어 찾아보기
책속에서
예수님이 죽으신 지 75년이 지나지 않아 그분이 설립한 운동은 그분이 행하신 사역의 형태와 사실상 아무런 일치점도 없어졌다. 시골 운동은 도시환경에 맞게 문화적 변용을 일으켰다. 유대인 운동은 주로 이방인 운동이 되었다. 아람어와 히브리어만 사용하던 운동은 헬라어로 글을 쓰고 설교하며 전도하는 운동으로 전환되었다. 팔레스타인에서 시작되어 자란 운동은 완전히 국제적인 그리스-로마 운동으로 진화해 예루살렘과 로마의 경로를 잇는 상당히 영향력 있는 지역들을 통해 퍼져 나갔다.
“서론” 중에서
웨인 믹스의 말에 따르면, “시골 사람과 도시 거주자라는 로마제국 사회의 가장 근본적인 구분을 가로지르는” 시골에서 도시로의 전환은 초기 기독교가 내디딘 중대한 발걸음이었다. 왜냐하면 헬레니즘의 지배적인 가치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던 그리스-로마 도시의 특성들이 기독교 전파에도 같은 효과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그리스-로마의 폴리스는 수백 명의 자유인으로 구성된 입법회가 통치했다. 그 안에는 운동 경기와 전차 경주를 위한 경기장들이 있었고 희곡 상연과 유혈 경기와 정치적 집회를 위한 극장들도 있었으며, 신체 훈련, 목욕, 개인적인 영향을 발휘하기 위한 체육관과 목욕탕도 있었다. 이 모든 기념비적인 건축물들을 도시의 벽이 에워쌌고 그 안에 수도관이 연결되어 있었다. 수도관만으로도 도시의 성격이 바뀌었다. 수도관 덕분에 물을 외부에서 끌어와 도시에 공급하기 위한 자원과 물리적 노동에 소요되는 엄청난 비용을 절약했기 때문이다. 깨끗한 물이 공급되면서 공중목욕탕이 등장했고 그에 따라 상업과 인적 교류가 가능해졌으며, 생활과 일반적 건강의 수준이 높아졌고, 시민 중 여가를 즐기는 유한계급(leisure class)이 출현했다.
“1장 시골에서 도시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