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32916163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25-04-25
책 소개
목차
헌시
감사의 글
추천사
서론
1부 전투의 생리: 전투 중인 사람의 몸에는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
1 전투: 인간의 보편적 공포증
2 전투의 가혹한 현실: 해외 참전 용사 협회에서 듣지 못하는 사실
3 교감 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 몸속의 전투·정비 부대
4 공포, 생리적 각성, 그리고 능률: 컨디션 화이트·옐로·레드·그레이·블랙
2부 전투 상황에서의 지각 왜곡: 변화된 의식 상태
1 눈과 귀: 스트레스성 난청, 소리 증폭, 터널 시야
2 오토파일럿: “정말 저도 모르게 일이 벌어졌습니다”
3 전투 중에 경험하는 여러 현상: 시각적 선명도 향상, 슬로모션타임, 일시적 마비, 해리 현상, 간섭적 잡념
4 기억 상실, 기억 왜곡, 그리고 현장 촬영: 사건이 벌어졌다고 100퍼센트 확신하는가?
5 클링어 연구: 지각 왜곡에 관한 평행 연구
3부 전투에 나서는 전사: 어디서 그런 사람을 구하나?
1 살인 기계: 소수의 진정한 전사들이 미치는 영향
2 스트레스 예방 접종과 공포: 비참한 상황에 처하는 훈련
3 총에 맞고도 계속 싸우기: 죽음에 임박해서야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 안다
4 살인하기로 마음먹기: “누군가를 죽였지만 다른 사람이 살았다”
5 방패를 든 오늘날의 팔라딘: “가서 스파르타인들에게 전해 주오”
6 전투의 진화: 살인을 가능하게 하는 신체적·정신적인 지렛대
7 전투의 진화와 미국 내 폭력 범죄의 진화
4부 전투의 대가: 연기가 걷히고 난 뒤
1 안도, 자책, 그리고 그 밖의 감정: “제가 알던 세상이 뒤죽박죽되었습니다”
2 스트레스, 불확실성, 그리고 중뇌의 네 가지 기능: 유비무환
3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재경험하기 그리고 강아지로부터 달아나기
4 치유할 시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예방에서 위기 상황 디브리핑의 역할
5 전술 호흡과 디브리핑 방법: 기억에서 감정 분리하기
6 참전 용사와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건넬 말
7 살인하지 말지어다?: 살인에 대한 유대교와 기독교의 관점
8 생존자 죄책감: 복수가 아닌 정의 그리고 죽음이 아닌 삶
결론
부록
참고 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전사는 전쟁을 치르는 사람이다. 마약과의 전쟁을 치르는가? 범죄와의 전쟁을 치르는가? 테러와의 전쟁을 치르는가? 국내에서 경찰관으로서, 또는 먼 외국에서 평화 유지군으로서 공격에 직면하거나 싸움을 억제하고, 전 세계에서 테러리즘과 싸우고 있는가? 아니면 자신과 사랑하는 이들을 지키기 위해 무술을 수련하거나 총을 든 시민인가? 매일 아침에 일어나서 여러분을 관에 넣어 가족들에게 돌려보낼지 여부를 결정하는 사람이 있는가?
전투의 실상을 아는 것은 전사와 전사에게 의지하는 시민, 그리고 전사를 싸움터로 내보낼 권한이 있는 사람들에게 가치 있는 일이다. 전투는 깨끗하고 담백한 일이 아니며 정확히 그 반대다. 눈물과 피로 얼룩진 치명적이고 부패한 영역이다. 전투에 대해 깊이 이해할수록 분쟁의 해결책을 다른 곳에서 찾으려 할 가능성이 높다. 이 책이 이런 가치 있는 노력에 조금이라고 보탬이 되길 바란다.
사람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폭력이 왜 그렇게 해로운지 이해하기 위해 우선 다음 두 가지 시나리오의 차이점을 구분해 보라. 첫 번째 시나리오는 토네이도로 인해 집이 무너지고 온 가족이 병원에 입원하는 상황이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한밤중에 집에 폭력배가 쳐들어와 온 가족을 병원에 입원시킬 정도로 폭행한 다음 불을 질러 집을 잿더미로 만드는 상황이다. 두 시나리오의 결과는 동일하다. 집을 잃고 온 가족이 병원에 입원했다. 두 시나리오에 무슨 차이가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