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스페인/중남미소설
· ISBN : 9788932918259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17-03-15
책 소개
목차
목차가 없는 도서입니다.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오랜 세월 동안 내 마음의 빚으로 남아 있었다. 내가 작가로서 살아올 수 있었던 것도 따지고 보면 언제나 내게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주던 어른들, 특히 칠레의 먼 남쪽 아라우카니아, 혹은 왈마푸에 살던 작은 할아버지 이그나시오 칼푸쿠라 덕분이라는 생각이 든다. 마푸체족(<마푸체>는 대지를 의미하는 <마푸 mapu>와 사람들을 뜻하는 <체che>가 합쳐진 말로, 번역하자면 <대지의 사람들>이 된다) 사람인 그는 저물녘이면 마푸체족 아이들을 모아 놓고 그들의 말, 즉 마푸둥운으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려주곤 했다.
나는 다른 마푸체족 사람들이 토속어로 하는 말은 전혀 알아듣지 못했지만, 작은 할아버지가 해주는 이야기는 다 이해할 수 있었다. 작은 할아버지의 이야기에는 주로 여우와 퓨마, 콘도르와 앵무새 들이 나왔는데, 그중에서도 내가 가장 좋아했던 것은 위그냐, 즉 들고양이의 모험담이었다. 내가 아라우카니아, 그러니까 왈마푸에서 태어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작은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다 알아들을 수 있었던 것은 나도 마푸체족의 혈통을 이어받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나도 대지의 사람이다.
여름 동안엔 아우카만과 나는 할아버지와 함께 밖으로 나가서, 개울과 폭포를 기쁘게 하고 숲과 오솔길, 물고기와 새를 즐겁게 하기 위해, 그리고 이 땅에 살아 있는 모든 것을 기쁘게 하기 위해 감사한 마음으로 그들의 이름을 부르곤 했다. 왜냐하면 대지의 사람들인 마푸체인들은 자기들이 나타날 때 자연이 기뻐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자연은 자신의 경이로움을 아름다운 말과 사랑의 마음으로 소리 내어 말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는 것 또한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우카만과 나는 겨울이 되면 하늘에서 비와 우박이 쏟아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하루 종일 피어오르는 난롯불 덕분에 따뜻한 루카에서 행복한 표정을 지으며 하얗게 눈이 내리는 소리를 함께 듣곤 했다. 안개가 짙게 낀 날이면 웬출라프 할아버지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하곤 했다. 「저 안개는 마푸, 그러니까 대지를 덮고 있는 행운의 망토란다. 그러면 대지는 추위가 산꼭대기에 있는 자기 집으로 물러갈 때까지 저 안개 뒤에 몸을 숨긴 채 우리에게 베풀 선물을 준비하고 있는 거지.」
윙카의 우두머리는 할아버지에게 종이 한 장을 내민다. 거기에는 대지의 사람들이 그들의 마을과 그들의 집, 그들의 땅과 숲, 그들의 강과 호수, 개울, 그리고 그들의 과일과 곡물 가루, 우유와 꿀을 버리고 떠날 것을 명령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일러 준다.
웬출라프 할아버지는 그들이 밟고 있는 땅과 그들이 보고 있는 것은 모두 응구네마푸의 것이기 때문에, 대지의 사람들은 절대 이곳을 떠나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한다. 그리고 여태까지 단 한 번도 들어 보지 못한 목소리로, 평소에 노래하고 이야기를 들려줄 때와는 전혀 다른 목소리로 덧붙인다.
「오래전, 아주 오래전에 북쪽 지방, 그러니까 불행의 땅인 피쿤 마푸의 윙카들이 여기로 몰려온 적이 있었지요. 우리는 그들과 싸워서, 결국 이 땅에서 몰아냈습니다. 얼마 뒤, 이번에는 악한 정령들이 사는 서쪽 땅 라프켄 마푸의 윙카들이 그들의 말과 그들의 신을 가지고 오더군요. 우리는 그들에 맞서 용감하게 싸웠어요. 그리고 그들을 굴복시킨 다음, 평화를 받아들이도록 했습니다. 당장 가서 당신네 롱코에게 말하시오. 대지의 사람들은 결코 떠날 생각이 없다고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