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32918433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17-06-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연대표
지도
1부 초기(1962~1966)
1장 두 명의 독재자
2장 계급 투쟁을 잊지 말라
3장 문화 전쟁
4장 4인의 공모자
2부 적색 시대(1966~1968)
5장 대자보 전쟁
6장 붉은 8월
7장 낡은 세상을 타파하다
8장 마오쩌둥의 숭배자들
9장 연합
10장 조반파와 보황파
11장 군대의 등장
12장 군비 경쟁
13장 진화
3부 암흑 시대(1968~1971)
14장 대오 정화 운동
15장 산상하향
16장 전쟁 준비
17장 다자이를 본받다
18장 계속된 숙청
19장 후계자의 추락
4부 잿빛 시대(1971~1976)
20장 회복
21장 조용한 혁명
22장 제2의 사회
23장 반전
24장 후유증
주
선별 참고 문헌
감사의 글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문화 대혁명은 과거의 흔적을 전부 지우려고 한 대담한 계획이었다. 그럼에도 정당화를 위한 수많은 이론적인 시도의 뒤에는 세계사에서 자신의 위치를 강화하려던 한 늙어 가는 독재자의 결심이 숨어 있었다. 마오쩌둥은 자신을 위대한 인물이라고 믿었고 끊임없이 그렇게 주장했으며 자신이 공산주의 진영의 등불이라고 생각했다.
_ 머리말
제17차 소련 공산당 전당 대회는 결국 희생자들의 대회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4년여에 걸쳐 2,000명의 대의원 중 절반 이상이 처형되거나 강제 노동 수용소로 보내졌다. 스탈린은 대공포 정치를 통해 자신의 적을 사냥하는 데 더욱 박차를 가했다. (……) 마오쩌둥의 경우는 변덕스러운 쪽에 훨씬 가까웠다. 그는 자신의 주도적인 지위를 유지하고자 일부러 사회를 뒤집어엎고 수많은 사람에게 폭력을 부추겼다.
_ 1장 두 명의 독재자
마오쩌둥은 이 같은 하향식 접근 방식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다. 공작대를 이끄는 지도자가 일반인의 표적이 되는 상향식 운동을 선호했다. 그리고 1965년 1월에 사회주의 교육 운동 지침을 새로 만들었다. 핵심 내용 중 하나는 <당내 요직에 있는 주자파를 바로잡아라>라는 것이었다. 바로 1년여 뒤에 홍위병은 문화 대혁명에서 이 구절을 철저히 이용하고 문화 대혁명은 사회주의 교육 운동을 계승하게 될 터였다.
_ 2장 계급 투쟁을 잊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