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명작을 읽는 기술](/img_thumb2/9788932922805.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2922805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2-10-0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1부 문학은 시대를 반영한다
1장 이성주의와 감성주의의 뿌리
2장 깨달음이 먼저인가, 재미가 먼저인가:
플라톤 대 아리스토텔레스
3장 현실에 대한 불만족에서 탄생한 세계: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
2부 문학을 한다는 것
4장 고전주의, 문학이란 꾸준히 삶을 닦아 나가는 것:
알렉산더 포프의 「고요한 삶」
5장 낭만주의, 시란 강력한 감정의 자연스러운 분출:
윌리엄 워즈워스의 「무지개」
6장 리얼리즘, 현실에 눈을 뜨다:
오노레 드 발자크의 『고리오 영감』
3부 문학은 삶에 대해 알고 있다
7장 속물이 되지 않기 위한 몸부림:
찰스 디킨스의 『위대한 유산』
8장 이성적 판단과 감정적 끌림의 싸움: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9장 사랑과 결혼, 승진에 대한 야망이 없는 무감각한 상태의 인간: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
10장 상품 가치 없는 인간: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11장 인간에게는 어떤 상황도 이겨 낼 수 있는 힘이 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12장 순수한 사랑을 버리고 안락한 현실을 선택할 수밖에 없을 때: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
13장 삶을 내 의지대로 만들어 갈 수 있을까:
토머스 하디의 『테스』
14장 돈에 집착하는 현실주의자와 낭만을 좇는 갑부: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
15장 모든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로운 영혼의 길을 나서다: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
16장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살아가기 위한 중얼거림:
커트 보니것의 『제5도살장』
17장 삶의 무력감을 극복하기 위한 한마디, 아모르파티:
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8장 서로의 고통과 좌절을 위로하자: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
주
참고 문헌
인명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문학, 그중에서도 고전 소설은 왜 읽어야 할까?
인간은 유토피아나 디스토피아를 가슴속에 담아 두고 산다. 그만큼 현실 세계가 불만족스럽고 행복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의 삶에 백 퍼센트 만족하며 행복하다고 자신할 수 있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 현실이 손톱만큼이라도 불만족스럽다면 바로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능력이 작동된다. 현실 세계를 탈출하려고 할 때 인간의 유일한 돌파구는 상상하는 것이다. 상상력을 지닌 인간은 하루에도 수없이 현실 너머의 이상 세계를 꿈꾼다.
낭만주의 시인들은 자신의 감정을 가슴속에만 담아 두지 않고 상상력을 동원해 솔직하게 글로 드러냈다. 현대적인 관점에서 보면 낭만주의에 와서야 비로소 시다운 시가 등장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 고전주의 시는 완전히 쇠퇴해 버렸지만 낭만주의 시는 아직까지 쓰이고 읽히고 있는 것만 보더라도 틀린 말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