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전쟁사
· ISBN : 9788933705308
· 쪽수 : 696쪽
· 출판일 : 2007-12-31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리말
추천사
그림.지도 차례
용어 설명
도입 1940년의 기적
제1장 ‘전격전’의 기원과 개념
제2장 ‘전격전’ 개념이 없는 ‘전격전’과 서부전역의 배경
제3장 지헬슈니트 계획을 둘러싼 갈등
제4장 1940년의 아르덴 공세
제5장 결전 : 구데리안 기갑군단의 스당 돌파
제6장 마스 강 전선의 붕괴
제7장 대서양 해안을 향한 진격과 측방 노출 문제
제8장 됭케르크의 기적
제9장 서부전역의 종결
제10장 승리와 패배의 원인
마무리 총평과 에필로그
미주
참고자료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마침내 슈문트는 한 가지 음모를 획책했다. 그는 베를린의 수상관저에서 신임 제7기갑사단장 롬멜을 포함한 6명의 신임 장관급 지휘관들과의 조찬식 날짜를 2월 17일로 정했다. 간담회가 끝난 후 히틀러는 만슈타인을 자신의 집무실로 불러들였다. 이 자리에는 요들과 슈문트만이 동석했다. 다른 장군들이 발언했다면 불안하미 섞인 독백을 내뱉은 후 이내 말을 끊어버리고 불편한 마음을 감추지 않는 히틀러였지만 이번만은 태도가 달랐다. 그는 만슈타인의 설명에 완전히 사로잡힌 듯 조용히 경청했다. 히틀러는 만슈타인의 매혹적인 논리에 감동받은 나머지, 그에게 느꼈던 혐오감도 잊어버렸다. 히틀러는 감격해 하며 만슈타인의 최종 결론인 ‘강력한 전차(부대)의 투입에도 강한 공감을 표시했다. 주사위가 던져졌고 ’지헬슈니트 계획‘은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대안이 최종안으로 결정되는 동안, 이 계획의 대담함에 거의 모든 장군들이 경악했다. - p.129 중에서
서부전역은 계획된 정복전쟁이 아니다. 오히려 절망적인 전략적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자포자기의 작전술적 행동이었다. 이른바 ‘전격전 사상’은 서부전역 이후에야 발전되었다. 그러므로 ‘전격전 사상’은 서부전역의 승리의 근원이 아니라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1940년 5월, 우리가 통상 일컫는 평범한 기습작전이 엄청난 성공으로 이어지자 히틀러는 이를 개인의 침략적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했다. 그는 ‘전격전’을 ‘승리의 비밀이라 주장했으며 이 주장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 p.550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