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88933706190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1-12-30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내며
옮긴이의 글
머리말
제1장 인류학의 본질과 이론의 연원
1. 서론
2. 인류학의 본질
3. 이론의 연원
4. 약간의 개념 규정
5. 행동과학에서 설명이란 무엇인가?
제2장 인류학의 프롤로그
1. 대탐험의 시대
2. 계몽시대
3. 19세기 사조의 배경
제3장 사회문화인류학의 시작
1. 민족학의 초기 단계
2.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3. 에밀 뒤르켐과 프랑스의 사회학
4. 현지조사의 전문화
제4장 20세기 초반의 인류학
1. 인류학의 다양화
2. 미국에서의 문화인류학의 등장
3. 영국 사회인류학의 발전
4. 기능주의적 분석
5. 프랑스에서의 발견
제5장 20세기 중반의 인류학: 1930∼1960
1. 미국의 절충주의
2. 20세기 중반 영국의 사회인류학
3. 미국의 문화인류학과 영국의 사회인류학
제6장 현대의 인류학: 1960년대 이후
1. 인지인류학
2. 1960년대의 영국 인류학
3. 문화유물론
4. 동물행태학
5. 문화상대주의에 대한 재평가
제7장 과거와 미래
1. 과거
2. 미래
주요 용어 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인류학의 이론은 기본적으로 “왜 인간들은 그러한 방식으로 행동하는가”, “무엇이 인류의 다양성을 야기하는가” 등의 질문에 초점을 두고 있다. 우리는 과거로부터 이론들의 연원을 살펴보고 이론들 간의 역사적인 관계와 변화를 검토하고 또한 유럽 대륙과 영국과 미국의 사고방식을 비교할 것이다. 이 책의 전반적인 목표는 과거의 이론들과 새로운 이론들 간에, 또한 새로운 정보 및 시대의 일반적인 정치적?사회적 분위기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 책은 연대순으로 정리되어 있어 이론의 발전에 있어서의 전후관계를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은 비서구사회의 여러 민족에 대한 유럽의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한 대탐험의 시대부터 시작하며, 세계 구석구석의 새로운 사회들의 발견뿐만 아니라 지질학, 생물학, 심리학, 경제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의 발명과 발전 그리고 전통적인 여러 가정들이 인류학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보여 주고 있다.
학생들은 인간의 문제들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을 찾거나 혹은 사회문제들에 대한 하나의 정답을 찾고자 기대해서는 안 된다. 정당하다거나 혹은 옳다는 것들은 절대적 가치로서가 아니라 그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 따라 상이한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판단해야만 한다. 어떤 시대에는 그럴듯한 설명이 되고 또한 진리를 설명해 주는 듯하던 것들이 다른 시대에는 불충분하고 또한 너무나도 낡아 빠진 웃음거리로 평가될 수도 있다. 사실을 바라보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그 어떤 방법도 과학적인 성역을 갖고 있지 않다.
19세기에……이미 독립적인 학문이 된 사회학과 마찬가지로 문화인류학 혹은 사회인류학은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인간 사회의 연구에 적용하는 진정한 과학이 되고자 의도하였다 .사회학이 거의 전적으로 서구의 산업화된 인간의 연구에 국한된 반면, 인류학의 발전에 따라 사회문화인류학은 문자화된 언어를 갖지 않고 복잡하지 않은 사회들에 살고 있는, 원시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연구가 되었다는 점에서 사회학과 구별되었다. 상당수 일반 대중에게는 인류학은 아직도 미개인의 연구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