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화학 3

신화학 3

(식사예절의 기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지은이), 임봉길 (옮긴이)
한길사
4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900원 -5% 0원
1,260원
38,640원 >
37,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780원
34,0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화학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화학 3 (식사예절의 기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신화학/신화상징
· ISBN : 9788935664948
· 쪽수 : 812쪽
· 출판일 : 2021-08-10

책 소개

많은 독자가 기다려온 『신화학』 제3권이 드디어 나온다. 제3권의 큰 주제는 ‘식사예절의 기원’이다. 레비스트로스는 현대철학, 특히 구조주의를 논할 때 절대 빠질 수 없는 대학자다. 우리에겐 『슬픈 열대』로 유명하지만 그의 주저는 바로 『신화학』이다. 총 네 권 분량의 매우 방대한 저서지만 『신화학』을 읽지 않고서는 레비스트로스 구조주의의 거대한 뼈대를 제대로 조망할 수 없다.

목차

신화학 3 식사예절의 기원

신화 분석의 기본틀로서의 삼각(triade)과 ‘세세한 내용’의 분석│임봉길•13
서문•61
제1부 조각난 여인의 불가사의
1 범죄의 현장에서•73
2 달라붙는 반쪽(여인)•115
제2부 신화에서 소설로
1 계절과 날[日]•163
2. 매일의 일과(진행과정)•197
제3부 달과 해의 보트(카누) 여행
1 이국적인 사랑•225
2 천체(별)의 운행•275
제4부 모범적인 어린 소녀들
1 처녀가 되었을 때•313
2 고슴도치의 교육•349
제5부 심한 배고픔
1 선택의 어려움•415
2 만단 양식의 창자요리•453
제6부 동등한 저울
1 10의 수(群)•483
2 세 가지 장식물•553
제7부 예의범절의 법칙
1 자존심 강한 뱃사공•635
2 취사민족학•685
3 신화의 도덕•719
참고문헌•737
레비스트로스 연보•773
옮긴이의 말•777
찾아보기 ・신화•779
찾아보기 ・사항•789

저자소개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벨기에 브뤼셀의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자랐다. 소르본대학에서 철학과 법학을 공부하고 1931년 철학 교수자격시험에 합격한 뒤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철학을 가르치는 일에 흥미를 느끼지 못할 무렵, 로버트 로위의 『원시 사회』를 읽고 인류학으로 방향을 돌렸다. 지도교수였던 셀레스탱 부글레의 추천을 받아 1935년 브라질 상파울루대학의 사회학 교수가 되어 1939년까지 머물며 남아메리카 원주민 사회를 현장 조사했다. 이 시기의 경험은 훗날 대중적 명성을 안겨준 『슬픈 열대』(1955)의 토대가 됐다. 나치 점령기인 1941년에 유대인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의 ‘신사회조사연구소’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지식인들과 폭넓게 교류했다. 특히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과의 만남은 구조주의 인류학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1948년 프랑스로 돌아와 박사학위 논문 『친족 관계의 기본구조』(1949)를 출간해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이후 구조주의를 선도하며 세계적인 학자의 반열에 올랐다. 인류박물관 부관장(1945~50), 파리고등연구원 종교학 분과 책임자(1950~74), 콜레주 드 프랑스의 사회인류학 교수(1959~1982)를 지냈고, 1973년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이 됐다. 2009년 10월 30일 파리에서 세상을 떠났다. 주요 저서로 『인종과 역사』(1952), 『구조인류학』(1958), 『오늘날의 토테미즘』(1962), 『야생의 사고』(1962), 『신화론』(전 4권, 1964~1971), 『멀리서 본 시선』(1983) 등이 있다.
펼치기
임봉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 재학 중 프랑스 외무부 장학생으로 도불, 파리5대학교(옛 소르본 사회과학부)와 몽펠리에3대학에서 인류학 학사(리상스 학위),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문화인류학회 회장을 지냈다. 지금은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다. 저서로는 『구조주의 혁명』 『아편을 심는 사람들H, mong(몽)족 민족지』 『한국 중산층의 생활문화』가 있으며, 역서로는 한길사에서 펴낸 『신화학 1: 날것과 익힌 것』『신화학 2: 꿀에서 재까지』『신화학 3: 식사예절의 기원』을 비롯해 『정치인류학』(공역) 『루시는 최초의 인간인가』 『문화인류학의 역사』(공역) 등이 있다. 주요논문으로는 「문화에 있어서의 진보의 개념」 「한국인의 이중성-문화인류학적 접근」「동북시베리아지역 퉁구스족의 민족정체성」 「프랑스 입양고아의 정체성의 형성과 위기」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빗, 모자, 장갑, 수저, 빨대처럼 외양으로는 하잘것없는 물건들은―이것들에게 할당된 평범한 임무에도 불구하고―극단들(두 극) 사이에 ‘중재자’로 남아 있다. 우리들 각자에 의해 사용된, 신체의 보잘것없는 규모에 적응한 이 집기들은 이 책의 분석과정에서 나타났던 ‘해와 달의 전설적인 카누의 이미지’를 반복하고 있다. 신화에서 카누 역시 기술적인 산물이다. 그러나 ‘카누’는 ‘집기들을 잉태시킨 문화’ 그 자신과 ‘모든 기술적 물건들에게’ 아마도 마지막 분석에서 인정해야만 할 ‘기능’을 명명백백히 나타낸다. 존재들을 ‘동시에’ ‘분리’시키고 ‘결합’시키는 ‘기능’, 말하자면 이것은 인간을 ‘무기력’과 ‘이성’의 ‘결여’로 시달리게 하는 존재들을 서로서로 ‘너무 근접’시키거나 ‘너무 멀리’ 떨어지지 못하게 하는 ‘기능’이다.”


“독일인들은 입을 다물고 씹으며 다른 방식으로 먹는 것을 추하다고 생각한다. 프랑스인들은 이와 반대로 반쯤 입을 벌리고 씹는데, 독일인들이 씹는 과정을 구역질난다고 생각한다. 이탈리아인들은 아주 부드럽게 씹는데, 프랑스사람들은 이탈리아인들이 씹는 과정이 세련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