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

베아트리체 호이저 (지은이), 윤시원 (옮긴이), 진중근 (감수)
일조각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79,9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전쟁사
· ISBN : 9788933707197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6-09-20

책 소개

전쟁 이론사상의 고전 『전쟁론』이 구상된 시기부터 현재까지 클라우제비츠 사상의 주요 내용과 그동안 진행된 이론적 논의, 역사적 사건들을 소개하면서 클라우제비츠의 사상이 정치군사적 현실과 연관해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설명한다.

목차

머리말
한국의 독자들에게

제1장 클라우제비츠의 생애와 『전쟁론』의 집필과정
1. 클라우제비츠의 유년기
2. 『전쟁론』의 집필과정
3. 『전쟁론』의 반향

제2장 클라우제비츠가 생각한 이상적 전쟁과 현실의 전쟁
1. 클라우제비츠와 ‘절대’전쟁 혹은 이상적 전쟁
2. 클라우제비츠의 사상적 전환점
3. 현실주의적인 클라우제비츠
4. 클라우제비츠의 두 가지 이론

제3장 정치, 삼위일체, 그리고 민군관계
1. 정치 수단으로서의 전쟁
2. 클라우제비츠의 영향을 받은 인물들이 생각한 정치의 중요성
3. 클라우제비츠의 세계관과 사회관
4. 삼위일체: 폭력, 우연, 정치적 목표
5. 장군과 전쟁내각: 정치와 군사전략 중 어느 쪽을 우선시해야 하는가
6. 문민 통제와 군부 통제

제4장 수적 문제의 반대편: 천부적 재능, 사기, 전투력의 집중, 의지와 마찰
1. 천재: 군 지휘관의 개성
2. 중점
3. 전투력의 집중
4. 사기의 강도와 의지의 힘
5. 전투력의 효율적 운용
6. 마찰과 우연

제5장 공격-방어에 대한 논쟁, 그리고 섬멸전과 총력전
1. 방어와 공격
2. 섬멸전 또는 결전
3. 클라우제비츠와 총력전

제6장 클라우제비츠의 이론에 대한 또 다른 해석: 코빗과 해전, 마오쩌둥과 인민전쟁
1. 클라우제비츠와 해양전략
2. 소규모 전쟁, 국민(인민)전쟁, 그리고 게릴라

제7장 핵무기 시대의 클라우제비츠
1. 소련의 전략: 핵전쟁은 합리적 정치의 연장인가
2. 클라우제비츠와 냉전시기 서방의 전략

제8장 21세기의 클라우제비츠
1. 클라우제비츠의 구상에 내재된 결점
2. 영원한 전쟁인가 영원한 변화인가
3. 변치 않을 클라우제비츠의 중요성

옮긴이의 글
미주
참고문헌
항목 색인
인명 색인

저자소개

비어트리스 호이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브뤼셀자유대학VUB 산하 안보외교전략센터CSDS 석좌교수. 함부르크의 독일연방군 참모대학에서 전략 교육 섹션을 이끌고 있다. 런던대학에서 학사 및 석사, 옥스퍼드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마르부르크 필립스대학에서 교수자격논문 과정을 마쳤다. 1991년부터 2003년까지 런던대학 킹스칼리지 전쟁학과에서 가르쳤으며 국제관계 및 전략 연구 석좌교수를 맡았다. 또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레딩대학에서, 2016년부터 2024년까지 글래스고대학에서 국제관계학 교수직을 역임했다. 시앙스포, 파리 제1대학, 제4대학, 제8대학, 독일의 대학 두 곳에서도 강의한 경력이 있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브뤼셀 NATO 본부의 국제국에서 근무했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는 포츠담 독일연방군 군사사연구소에서 연구담당이사를 역임했다. 최근 저서로는 《전쟁: 서구 사상과 실천의 계보학WAR: A genealogy of Western ideas and practice》(2022)이 있다. 이외에도 《유럽을 위한 핵 전략과 전력Nuclear Strategies and Forces for Europe》(1997), 《핵의 정신?Nuclear Mentalities?》(1998), 《폭탄The Bomb》(1999), 《전략의 진화The Evolution of Strategy》(2010), 《클라우제비츠 이전의 전략Strategy before Clausewitz》(2017) 등을 출간했다. 국내에는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일조각, 2016, 절판)가 소개된 바 있다.
펼치기
윤시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번역서로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2016), 『주한미군사 1』(공역, 2014), 『1950년대 한국경제 관련 미국 문서』(공역, 2011), 『흔들리는 동맹』(공역, 2011), 『독소전쟁사』(공역, 2007)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한국의 육군 학군단(ROTC) 제도 도입」(2012), 「제1공화국 초기 군사외교의 실패에 대한 고찰 1948~1950」(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진중근 (감수)    정보 더보기
육군사관학교 졸업(54기) 후 기계화보병사단, 기갑여단, 합동참모본부에서 근무했다. 독일연방군에서 기갑고군반, 지휘참모대학을 수료했고 현재 육군대학 전략학 교관으로 근무 중이다. 『전격전의 전설』(2007), 『독일군의 신화와 진실』(2016), 『롬멜과 함께 전선에서』(공역, 2018), 『군사교육과 지휘문화』(2021), 『진흙 속의 호랑이』(공역, 2023), 『전술의 정석』(공역, 2023)을 번역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전쟁론』에서 여러 가지 실용적인 해답을 찾고자 하는 이들도 있다. 이들은 다양한 실전 상황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쟁의 어려운 상황에서 결정적 국면을 해결할 수 있는 규칙을 찾았다. 그리고 이 규칙은 가르칠 수 있거나 배울 수 있어야 했다. 하지만 클라우제비츠가 제시한 것은 전쟁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고찰이었고, 이것을 단순하고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전쟁론』은 출간된 후 한 세기가 지나도록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클라우제비츠가 높이 평가받게 된 것은 20세기, 특히 20세기 말의 일이었다.
-46~47쪽


리들 하트가 서술한 것처럼 『전쟁론』을 읽는 독자의 대부분은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래서 『전쟁론』을 일면적으로 읽는 경우를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실제로 『전쟁론』의 독자들은 최소한 두 가지 전쟁 유형, 즉 클라우제비츠가 처음에 서술한 이상적이고 무제한적인 전쟁과 현실주의적인 클라우제비츠가 말년에 깨달은 정치적 변수에 영향을 받는 전쟁이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중 한 가지만을 받아들였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사기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하나는 한 국가의 군대와 국민의 사기이고 다른 하나는 적국의 사기이다. 그는 “적의 물리적 그리고 정신적 전투력을 격멸하지 않고서는 전장을 장악하더라도 승리를 달성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