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전쟁사
· ISBN : 9788933707197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6-09-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한국의 독자들에게
제1장 클라우제비츠의 생애와 『전쟁론』의 집필과정
1. 클라우제비츠의 유년기
2. 『전쟁론』의 집필과정
3. 『전쟁론』의 반향
제2장 클라우제비츠가 생각한 이상적 전쟁과 현실의 전쟁
1. 클라우제비츠와 ‘절대’전쟁 혹은 이상적 전쟁
2. 클라우제비츠의 사상적 전환점
3. 현실주의적인 클라우제비츠
4. 클라우제비츠의 두 가지 이론
제3장 정치, 삼위일체, 그리고 민군관계
1. 정치 수단으로서의 전쟁
2. 클라우제비츠의 영향을 받은 인물들이 생각한 정치의 중요성
3. 클라우제비츠의 세계관과 사회관
4. 삼위일체: 폭력, 우연, 정치적 목표
5. 장군과 전쟁내각: 정치와 군사전략 중 어느 쪽을 우선시해야 하는가
6. 문민 통제와 군부 통제
제4장 수적 문제의 반대편: 천부적 재능, 사기, 전투력의 집중, 의지와 마찰
1. 천재: 군 지휘관의 개성
2. 중점
3. 전투력의 집중
4. 사기의 강도와 의지의 힘
5. 전투력의 효율적 운용
6. 마찰과 우연
제5장 공격-방어에 대한 논쟁, 그리고 섬멸전과 총력전
1. 방어와 공격
2. 섬멸전 또는 결전
3. 클라우제비츠와 총력전
제6장 클라우제비츠의 이론에 대한 또 다른 해석: 코빗과 해전, 마오쩌둥과 인민전쟁
1. 클라우제비츠와 해양전략
2. 소규모 전쟁, 국민(인민)전쟁, 그리고 게릴라
제7장 핵무기 시대의 클라우제비츠
1. 소련의 전략: 핵전쟁은 합리적 정치의 연장인가
2. 클라우제비츠와 냉전시기 서방의 전략
제8장 21세기의 클라우제비츠
1. 클라우제비츠의 구상에 내재된 결점
2. 영원한 전쟁인가 영원한 변화인가
3. 변치 않을 클라우제비츠의 중요성
옮긴이의 글
미주
참고문헌
항목 색인
인명 색인
리뷰
책속에서
『전쟁론』에서 여러 가지 실용적인 해답을 찾고자 하는 이들도 있다. 이들은 다양한 실전 상황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전쟁의 어려운 상황에서 결정적 국면을 해결할 수 있는 규칙을 찾았다. 그리고 이 규칙은 가르칠 수 있거나 배울 수 있어야 했다. 하지만 클라우제비츠가 제시한 것은 전쟁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고찰이었고, 이것을 단순하고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전쟁론』은 출간된 후 한 세기가 지나도록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클라우제비츠가 높이 평가받게 된 것은 20세기, 특히 20세기 말의 일이었다.
-46~47쪽
리들 하트가 서술한 것처럼 『전쟁론』을 읽는 독자의 대부분은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래서 『전쟁론』을 일면적으로 읽는 경우를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실제로 『전쟁론』의 독자들은 최소한 두 가지 전쟁 유형, 즉 클라우제비츠가 처음에 서술한 이상적이고 무제한적인 전쟁과 현실주의적인 클라우제비츠가 말년에 깨달은 정치적 변수에 영향을 받는 전쟁이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중 한 가지만을 받아들였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사기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하나는 한 국가의 군대와 국민의 사기이고 다른 하나는 적국의 사기이다. 그는 “적의 물리적 그리고 정신적 전투력을 격멸하지 않고서는 전장을 장악하더라도 승리를 달성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