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88934112822
· 쪽수 : 622쪽
· 출판일 : 2013-02-28
목차
머리말
제1장 영성과 영혼
1. 철학에서의 영혼
2. 심리학에서의 영혼
3. 기독교에서의 영혼
4. 전인으로서 인간의 이름들
5. 영과 혼과 몸
6. 영과 몸
제2장 영성과 인식
1. 인식의 길
2. 인식의 유형
3. 지식에 대한 여러 이미지
4. 객관주의 지식과 진리
5. 사랑과 변화를 위한 지식
6. 영성적 인식의 특징
제3장 영성과 신학
1. 영적 갈망
2. 영적 체험으로서 신학
3. 영성생활의 유형
4. 영적 수련의 본질로서 사랑
5. 영적 지혜의 장으로서 역사
6. 상대적 독립성으로 영성신학
7. 실천적 규범으로서 영성신학
제4장 영성과 하나님의 프락시스
1. 영성의 자리
2. 영과 영성의 문제
3. 세속사회 안에서 영적 가치
4. 영적 훈련의 특성과 방향
제5장 영성과 구원론적 프락시스
1. 하나님의 프락시스로서 영성훈련
2. 영성훈련 신학의 기초로서 구원론
3. 구원과 영성훈련의 내적 역학
4. 구원론적 프락시스로서 영성훈련의 특징
5. 구원론적 프락시스로서 영성훈련의 방법
제6장 영성과 영적 여정
1. 영적 여정의 메타포
2. 영적 여정의 두 길
3. 영적 여정의 과정
4. 십자가의 요한과 영적 여정
5. 영적 여정의 네 단계
6. 영적 여정에서 인간성과 신앙
제7장 영성생활과 몸
1. 몸과 영혼의 관계
2. 몸과 영혼의 이원론의 기원
3. 몸에 대한 영혼의 우위성
4. 몸과 영혼의 이원성
5. 몸과 영혼의 통일성
6. 몸과 영성
7. 몸과 구원
8. 몸과 영성생활
9. 성과 영성
제8장 영성생활과 정신
1. 영성생활과 일반은총
2. 영성생활과 인간본성
3. 영성생활과 심리적 차원
4. 영성생활과 성격
5. 영성생활과 무의식
6. 영성생활과 정신의 구조
제9장 영성생활과 일상성
1. 일상의 거룩함
2. 일상과 기도
3. 영적 고향
4. 마리아와 마르다
5. 영혼의 작품으로서 일
6. 영혼의 경제로서 돈
제10장 영성생활과 신비성
1. 영혼의 길에서 신비성
2. 신비체험의 시작의 길
3. 신비체험의 첫째 길: 긍정의 길
4. 신비체험의 둘째 길: 부정의 길
5. 신비체험의 셋째 길: 통합의 길
6. 신비체험의 목적지: 사랑의 길
제11장 영성생활과 공동체성
1. 영성과 영혼의 공동체성
2. 공동체적 존재로서 영혼
3. 본질적 우리로서 영혼
4. 외적 공동체와 내적 공동체
5. 공동체성과 코이노니아
6. 허위 공동체와 참된 공동체
7. ‘나-너’로 소통하는 공동체
8. 영혼 돌봄의 장으로서 공동체
제12장 영성생활과 기도
1. 기도와 영혼
2. 기도의 본질
3. 청원기도
4. 묵상과 관상기도
5. 중보기도
6. 기도와 어두운 밤
7. 규칙적인 기도
제13장 기도의 방편과 유형
1. 기도의 방편
2. 기도와 성경
3. 기도와 언어
4. 기도와 무의식
5. 기도와 몸
6. 기도와 감각매체
7. 기도와 창조세계
8. 기도와 예술작품
9. 기도와 성격유형
제14장 금식과 방언기도
1. 성경과 금식
2. 금식의 목적
3. 금식과 영혼 돌봄
4. 금식의 방법
5. 방언의 성격
6. 방언의 목적
7. 방언과 성령세례
8. 방언과 영적체험
제15장 치유와 기도
1. 성경과 치유
2. 치유의 두 유형
3. 치유의 주도권
4. 치유의 동기
5. 치유의 방법
6. 치유와 기도
7. 치유와 믿음의 기도
8. 기도는 플라시보인가?
9. 레드랜즈 실험
10. 기도와 건강
11. 치유기도의 양면성
12. 치유기도의 방법
제16장 영성과 영적 예배
1. 영적 예배
2. 영적 예배와 의식
3. 영적 예배의 차원
4. 영적 예배의 의미
5. 영적 예배와 일상성
제17장 영성생활과 예배
1. 예배의 요소
2. 기도된 말씀
3. 봉독된 말씀
4. 선포된 말씀
5. 노래된 말씀
6. 보여진 말씀
7. 예배의 구조와 순서
8. 예배의 한 실제 모델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