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독교 예배학 개론

기독교 예배학 개론

(제3판)

제임스 F. 화이트 (지은이), 김상구, 배영민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독교 예배학 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독교 예배학 개론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6042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7-03-31

책 소개

예배 전통에 대한 깊은 연구를 통해 예배의 역사와 흐름을 자세히 짚어 내고 있으며, 특히 현대의 예배적 변화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예배의 개론서로서 중요한 지침서 역할을 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 1 _ 김순환 박사(서울신학대학교 예배학 교수) 05
추천사 2 _ 최승근 박사(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예배학 교수) 08
저자서문 10
역자서문 15

제1장 “기독교 예배”란 무엇을 뜻하는가? 22
1. 기독교 예배의 현상 24
2. 기독교 예배의 정의들 30
3. 기독교 예배에 관한 주요 단어들 36
4. 다양한 표현들 45
5. 기능에서의 일관성 56

제2장 시간의 언어 67
1. 기독교 시간의 형성 70
2. 교회력의 신학 98
3. 교회력의 기능 104

제3장 공간의 언어 118
1. 예배 공간의 기능 121
2. 예배 건축의 역사 133
3. 예배 예술 149

제4장 교회 음악의 소리 159
1. 그리스도인들은 왜 노래하는가? 160
2. 교회 음악의 형식과 기능 167

제5장 매일공중기도 186
1. 매일공중기도의 역사 188
2. 신학적 성찰 211
3. 실제적인 관심사 214

제6장 말씀예전 216
1. 말씀예전의 역사 217
2. 말씀예전의 신학 237
3. 말씀예전의 목회적 관심사 242

제7장 하나님의 가시적인 사랑 248
1. 성례전에 대한 고찰의 발전 251
2. 성례전에 대한 새로운 이해 275
3. 성례전성 286

제8장 기독교 입교예식 290
1. 기독교 입교예식의 발전 291
2. 입교예식의 신학 311
3. 기독교 입교예식의 목회적 측면 325

제9장 성찬예식 330
1. 성찬의 발전 332
2. 성찬의 이해 360
3. 목회적 관심사 376

제10장 특별한 때를 위한 예식들 381
1. 화해 384
2. 병자에 대한 사역 390
3. 기독교 결혼 400
4. 안수식 415
5. 종교적 서원 425
6. 죽은 자의 돌봄 427

참고문헌 441
색인 457
사진: 대성당들의 내부 모습 464

저자소개

제임스 F. 화이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미국 하버드대학교(B.A.) ● 미국 유니온신학교(B.D.) ● 미국 듀크대학교(Ph.D.) ● 미국 노틀담대학교 예배학 교수 역임 저서 ● 『개신교 예배』(Protestant Worship, CLC, 2009) ● acraments as God’s Self Giving (Abingdon, 2001) ● The Sacraments in Protestant Practice and Faith (Abingdon, 1999) ● A Brief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Abingdon, 1993) 외 다수
펼치기
김상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실천신학 교수 ● 『한국교회와 예배서』(CLC, 2013) / 『초대교회 예배』(공역, CLC, 2024), 『예수님처럼 예배하라』(공역, CLC, 2023), 『종교개혁자의 예배예전』(공역, CLC, 2022)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또 다른 정교 신학자인 니코스 닛시오티스(Nikos A. Nissiotis)는 이러한 견해를 강화한다. 그는 예배 안에서의 삼위일체 하나님의 임재와 활동을 강조한다.
“무엇보다도 예배는 인간이[sic] 주도하는 행위가 아니다.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하시는 하나님의 행위이다.”


구도자예배는 교회 음악을 위한 또 다른 기능을 발견했다. 보통 회 중들은 거의 찬송하지 않지만, 전문적인 음악가들이 목표로 하는 어떤 연령대의 집단에도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형식으로 울려 퍼지는 음악 으로 “오락성 복음전도”를 제공한다. 설교에 앞서 보통 독백이나 촌극 의 형식으로 된 연극이 준비된다. 경배와 찬양 모델에서는 노래로 참 여하는 데 대한 강조를 하였으나, 구도자예배에서는 종종 고도의 능력 있는 음악가들에 의한 공연에 대한 강조로 대체되었다.


기독교 예배에서 성찬만큼 유대교적 뿌리가 그렇게 중요한 것은 또는 그렇게 복잡한 것은 없다. 마치 예수님과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유대 민족이 세운 초석을 기반으로 삼고자 했나 싶을 정도로, 모든 형태의 유대교 공예배는 기독교의 성찬에 영향을 끼쳤다. 우리는 이러한 유대교적 근본을 잊어버릴 때마다, 성찬의 실제와 경험이 왜곡되고 오해되어 왔다는 사실을 이제 인식한다. 그리스도인들이 성찬을 진정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길은 유대교의 기여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유대교의 성전예배와 회당예배, 가족식사는 특히 중요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