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4450
· 쪽수 : 1136쪽
· 출판일 : 2022-07-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김영한 박사︱한국기독교철학회 제2대 회장 · 숭실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초대원장
마크 W. 포먼(Mark W. Foreman)︱리버티대학교 철학 교수
타와 J. 앤더슨(Tawa J. Anderson)︱오클라호마침례대학교 우수 학생 프로그램 디렉터
폴 코팬 (Paul Copan)︱팜비치애틀랜틱대학교 철학 · 윤리학 교수
프랜시스 J.벡위드 베일러(Francis J. Beckwith)︱베일러대학교 철학 교수
켈루시엔 L. 조셉(Celucien L. Joseph)︱기독교신학자 · 문학 학자
그림/표 목록 12
저자 서문 14
역자 서문 16
개요 기독교철학으로의 초대 21
제1부 / 서론 34
제1장 철학이란 무엇인가? 35
제2장 논증과 논리 61
제2부 / 인식론 125
제3장 지식과 합리성 126
제4장 회의주의의 문제 158
제5장 정당화의 구조 189
제6장 진리 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221
제7장 종교적 인식론 259
제3부 / 형이상학 286
제8장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287
제9장 일반적 존재론: 실존, 동일성, 환원 310
제10장 형일반적 존재론: 두 범주-속성과 실체 337
제11장 심신 문제 1A: 이원론 374
제12장 심신 문제 1B: 이원론에 대한 대안들 405
제13장 심신 문제 2A: 실체이원론에 관한 여러 논증과 유형 437
제14장 심신 문제 2B: 실체이원론에 대한 주요 물리주의적 대안들 490
제15장 자유 의지와 결정론 527
제16장 인격 동일성과 사후의 삶 555
제4부 / 과학철학 586
제17장 과학적 방법론 587
제18장 실재주의-반실재주의 논쟁 618
제19장 철학 그리고 과학과 신학의 통합 649
제20장 시간과 공간의 철학 682
제5부 / 윤리학 717
제21장 윤리학과 도덕, 메타윤리학 718
제22장 윤리 상대주의와 윤리 절대주의 738
제23장 규범적 윤리설: 이기주의와 공리주의 769
제24장 규범적 윤리 이론들: 의무론적 윤리와 덕 윤리 803
제6부 / 기독교철학 825
제25장 하나님의 존재 1 826
제26장 하나님의 존재 2 855
제27장 유신론의 일관성 1 885
제28장 유신론의 일관성 2 912
제29장 악의 문제 942
제30장 창조, 섭리, 기적 971
제31장 기독교 교리 1: 삼위일체 1003
제32장 기독교 교리 2: 성육신 1039
제33장 기독교 교리 3: 속죄 1067
제34장 기독교 교리 4: 기독교의 배타적 구원론 1096
추천 도서(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111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복음주의에서 두 가지 과제에 직면해 있다.
‘영혼을 구원하는 일과 지성을 구원하는 일’이다.
당신은 신나고 재미있는 여행에 들어가려 한다. 삶의 매우 중요한 관념들, 실재와 하나님, 영혼, 지식과 진리, 선 등등에 관한 관념 가운데 일부를 철학적으로 탐사한다. 그것에 관해 착각하지 말라. 관념이 문제이다. 사람들이 실제로 믿는 관념들은 그가 어떤 종류의 사람이 되는지를 대체로 결정한다. 모든 사람에게는 삶의 철학이 있다. 그것은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선택할 수 있어서매우 중요한 것은 삶의 철학의 타당성이다.
사람들의 정신적 삶은 끊임없이 활동한다. 그들은 소리와 모양과 색깔을 경험하고 자신의 생각과 욕구와 고통을 경험한다. 그들은 2+2=4라는 명제가 확실한 진리라는 것을 잘 알기도 한다. 사람들은 믿음을 형성하고 포기하며 유지하기도 하고 시험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아는 것들도 많이 있고 모르는 것들도 많이 있다. 어떤 믿음들은 비교적 합리적이고 어떤 믿음들은 비합리적이다.
인식론(epistemology)은 지식, 합리성, 정당화된 또는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철학 분야이다. 인식론이라는 용어는 그리스 단어 에피스테메(epistēmē)에서 나온 것으로서 지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식론은 지식 그리고 정당화된 또는 보증된 믿음에 대한 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