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6738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17-07-14
책 소개
목차
한국 독자들에게·5
추천사 1(장성길 박사 /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6
추천사 2(김창대 박사 / 안양대학교 구약학 교수)·8
시리즈 서문·10
저자 서문·12
역자 서문·15
약어표·18
참고문헌·19
◆ 예레미야 서론
1. 하나님의 선지자·33
2. 역사적인 배경·36
3. 히브리어 텍스트와 헬라어 텍스트와의 관계·44
4. 예레미야서는 어떻게 기원하였나?·46
5. 동사 슈브(??b)·58
6. 두 쌍의 은유·63
7. 그 외의 문학적인 특징들·72
8. 예레미야서에서의 ‘거짓’·73
9. 예레미야의 고난과 고백들·78
10. 나라들을 향한 신탁들·83
11. 호세아서와 아모스서의 영향·87
12. 새 언약·90
13. 신약성경에서의 예레미야서·92
14. 예레미야서의 내용 구분·94
◆ 예레미야 본문 주석
I. 서문과 시작들(1:1-19)
1. 서문(1:1-19)·106
II. 회개의 요청과 심판의 말씀들(2-6장)
1. 깨어진 결혼(2:1-37)·115
2. 돌아오라, 돌아오라, 돌아오라!(3:1-4:4)·130
3. 혼돈이 선포되다(4:5-31)·140
4. 의인을 찾음(5:1-31)·147
5. 시험되고 버려지다(6:1-30)·155
III. 깨어진 언약: 예레미야의 탄식들(7-20장)
1. 언약 백성의 실패(7:1-8:3)·164
2. 상처 입은 민족(8:4-9:3)·176
3. 깨어진 사회에 대한 분석(9:4-26)·185
4. 우상과 심판에 대하여(10:1-25)·194
5. 하나님의 실망(11:1-17)·204
6. 하나님과 선지자가 고난을 당하다(11:18-12:17)·213
7. 모든 아름다움이 사라졌는가?(13:1-27)·225
8. 가뭄과 재앙(14:1-15:9)·234
9. 비난받는 탄식하는 선지자(15:10-21)·242
10. 애곡할 때(16:1-21)·247
11. 마음과 삶이 조사되다(17:1-27)·254
12. 하나님과 선지자 대 백성들(18:1-23)·264
13. 모든 곳이 깨어짐(19:1-15)·271
14. 절망의 장(20:1-18)·276
IV. 왕들에 관하여(21―22장)
1. 위협적인 심판(21:1-14)·284
2. ‘왕이 문제이다’ 그리고 ‘왕들이 문제이다’(22:1-30)·290
V. 참 선지자 대 거짓 선지자(23-29장)
1. 잘못 인도하는 지도자들(23:1-40)·301
2. 누가 바른 편에 서 있는가?(24:1-10)·311
3. 열방을 위한 선지자(25:1-38)·315
4. 위험에 빠진 참 선지자(26:1-24)·325
5. 바벨론의 멍에(27:1-22)·330
6. 거짓 대 참(28:1-17)·337
7. 포로들에 관하여(29:1-32)·341
VI. 위로의 책(30-33장)
1. 심판이 뒤집어지다(30:1-24)·350
2. 새 언약(31:1-40)·357
3. 소망의 밭(32:1-44)·369
4. 전 영역에서의 한 나라의 치유(33:1-26)·377
VII. 시드기야와 여호야김에 대하여(34-38장)
1. 불순종의 결과(34:1-22)·383
2. 실물 교훈(35:1-19)·389
3. 왕이 하나님의 말씀을 거절하다(36:1-32)·394
4. 조사되고 거절된 선지자(37-38장)·399
VIII. 마지막 날들(39-45장)
1. 불행한 종말(39:1-8)·407
2. 괴물 같은 살인자들(40-41장)·411
3. 불순종을 제지함(42:1-22)·418
4. 하나님은 심지어 애굽도 통제하신다(43:1-13)·422
5. 백성들의 말을 대항하는 하나님의 말씀(44:1-30)·427
6. 고뇌하는 조력자(45:1-5)·432
IX. 나라들을 향한 신탁(46-51장)
1. 애굽을 향한 메시지(46:1-28)·435
2. 블레셋을 향한 메시지(47:1-7)·441
3. 화로다 모압이여!(48:1-47)·444
4. 다양한 나라들을 향한 메시지(49:1-39)·453
5. 바벨론의 종말(50-51장)·467
X. 후기(52:1-34)
1. 중요한 부록(52:1-34)·490
◆ 예레미야애가 서론
1. 저자와 연대·499
2. 탄식들·504
3. 신학적인 주제들·511
◆ 예레미야애가 본문 주석
I. 예루살렘이 애곡한다(1:1-22)·521
II. 하나님이 원수와 같다(2:1-22)·532
III. 희망의 섬광(3:1-66)·542
IV. 계속되는 고난과 구원의 불꽃(4:1-22)·562
V. 여호와여 제발 도우소서!(5:1-22)·569
책속에서
본서는 사건들과 관련하여 우리가 무엇인가 알 수 있는 한, 그 단락들의 역사적인 문맥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러나 문학적인 문맥 속에서 단락들을 해석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것이다. 예레미야서는 몇몇 학자들이 믿는 것과는 달리 구조가 잘 이루어져 있으며, 처음에는 서로 관련이 없는 구절들이 종종 주제의 반복이나 핵심어의 반복으로 연결된다.
예레미야서에는 유다와 이스라엘 그리고 다른 나라들에 대한 파멸과 구원의 선포가 있다. 사용 용도가 넓은 히브리어 단어 ‘슈브’가 파생된 형태로 아주 빈번하게 심판과 구원의 예언들 모두에 사용된다.
땅은 죄로 영향을 받는다. 가뭄이 있고 땅은 바싹 말랐다(문자적으로 ‘그것이 슬퍼한다’). 땅 위에 가 있다(이것이 ‘이것들 때문에’로 보는 것보다 더 좋다[TNIV] 각주를 보라; 저주로 말미암아-개역개정). 가뭄은 신명기 28:23-24에 저주의 하나로 언급된다(렘 3:1-5; 14:1-6을 보라). 땅이 백성들의 죄 된 행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또 하나의 예가 호세아 4:1-3에서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