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415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5-01-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1 (장성길 박사: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 5
추천사2 (프란시스 영 박사: 전, 영국 버밍햄대학교 신학부 교수) / 7
제3판 서문 / 11
역자 서문 / 13
약어표 / 16
1장. 하나님과 성경 / 19
2장. 역사적 접근방법들: 자료를 찾아서 / 43
3장. 역사적 접근방법들: 정황을 찾아서 / 89
4장. 역사적 접근방법들: 의도를 찾아서 / 119
5장. 역사적 접근방법들: 성경 사본 / 145
6장. 문학적 접근방법들: 본문이 어떻게 독자에게 영향을 주는가? / 169
7장. 독자의 역할: 성, 인종, 사회적인 위치 / 199
8장. 독자의 역할: 전통적인 해석에 반하는 독법 / 223
9장. 신학적인 접근방법들 / 249
부록 / 273
참고문헌 / 277
책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의 주된 기능은 성경이 아니면 우리가 알 수 없는 것을 우리에게 말하는 것이라고 어떤 사람들은 주장하곤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비록 창조에 관한 기록에 대한 분명한 증인이 없을지라도 성경이 우리에게 세상의 창조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창 1장). 어떤 사람들은 볼 수 없는 천사에 대해서, 악마에 대해서 그리고 다른 영적인 힘에 대해서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성경을 통해서 뿐이라고 생각한다(욥 1-2장). 어떤 사람들은 세상이 어떻게 종말을 맞게될지 자세한 계획을 성경이 우리에게 알려 준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모세오경은 모세가 실제로 말하고 행한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 사람들의 전승이 모세에 대하여 믿은 것을 기술한다.
복음서 기자들에게 초점을 맞춤으로써 우리는 더 확고한 기반 위에 설 수 있는 듯이 보인다. 그리하여 우리는 마태는 예수님을 ‘교회의 선생’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 거의 확실하다고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