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1978
· 쪽수 : 488쪽
· 출판일 : 2020-10-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김희석 박사_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학 교수
추천사 2 이성혜 박사_백석대학교 구약학 교수
추천사 3 마크 보다 박사 외 6인
감사의 말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약어표
제1부 지혜의 핵심: 잠언, 전도서, 욥기
제1장 잠언
제2장 전도서
제3장 욥기
제2부 구약성경 다른 곳에서의 지혜
제4장 지혜의 다른 자료들
제5장 요셉과 다니엘
제6장 아담과 솔로몬
제3부 이스라엘의 지혜: 보편적인가 유일한가
제7장 지혜의 근원
제8장 지혜, 창조, 그리고 (무)질서
제9장 고대 근동의 배경에서 이스라엘의 지혜
제10장 지혜, 언약 그리고 율법
제4부 지혜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개선하기
제11장 지혜로운 행위와 어리석은 행위의 결과
제12장 지혜의 사회적 배경
제13장 지혜와 성(gender)
제5부 구약 이후 이스라엘의 지혜
제14장 신구약 중간기의 지혜서
제15장 신약성경의 지혜
부록 1 21세기에서 지혜
부록 2 지혜 문헌은 장르인가?
참고문헌
책속에서
이 책의 제목인 『지혜신학 개론』은 이 책이 지혜에 관한 연구서라고 선언한다.
그러나 구약성경에서 지혜란 정확히 무엇인가?
적어도 19세기 중엽과 요한 브루흐(Johann Bruch)의 연구 이래로 학자들은 소위 역사적인 책들과 선지서와 율법과 구별되는 문학 장르로서의 지혜인 “지혜 문헌”(wisdom literature, ‘지혜 문학’으로도 이름-역주)에 대하여 언급해 왔다. 물론 장르로서의 지혜에 관한 연구는 19세기의 기원으로부터 현재의 순간에 이르기까지 점점 쇠퇴하고 있다.
그런데도 심지어 오늘날 대부분 학자는 잠언, 욥기, 전도서는 지혜 문헌의 핵심을 이룬다고 단언하곤 한다. 장르를 연구하는 몇몇 학자들은 다수의 지혜시(wisdom psalms)와 아가를 포함하여 다른 텍스트를 지혜 문헌에 더하곤 했다. 다른 학자들은 더 나아가 요셉 이야기, 에스더, 다니엘, 그리고 어떤 역사적인 내러티브와 심지어 선지서들을 이 문학 범주에 넣곤 했다.
잠언에서 지혜에 대한 우리의 기술은 세 가지 차원, 즉 실용적, 윤리적, 신학적인 차원으로 전개될 것이다. 우리가 지혜를 실용적으로 그리고 나서 윤리적으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신학적으로 분리하여 제시할지라도 잠언에서 이 세 가지는 아주 밀접하게 서로 얽혀있다는 것을 처음부터 바르게 언급해야 한다. 만일 실용적으로, 윤리적으로, 신학적으로 지혜롭지 않다면 누구도 정말로 지혜롭게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지혜신학에 전도서가 한 공헌을 조사하기 전에 우리는 전도서를 합당하게 읽기 위하여 비교적 짧은 오리엔테이션으로 시작할 것이다.
여기에 제시된 견해는 논쟁의 여지가 없지 않지만 특이한 것도 아니다. 때로 성경의 다른 부분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모순되는 듯이 보이는 전도서에 대하여 학식이 있는 전문가마다 전도서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는 것은 조금도 놀라운 일은 아니다. 전도서에 대한 나 자신의 이해를 제시해야 하므로 나는 학자들 사이에 대략 동의하고 있는 것이 무엇이고 동의하지 않는 것이 무엇인지를 말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