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8749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8-09-2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이재훈 목사, 온누리교회 담임) _5
추천사 (강승삼 박사, 전 한국세계선교협의회 대표회장) _6
추천사 (정흥호 박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장) _8
추천사 (장훈태 박사, 백석대학교 선교학 교수) _9
저자 서문 _11
제1장 꾸란의 여성관과 결혼관 _31
1. 꾸란의 여성관 _33
1) 여성의 사회적 위치 _34
2) 결혼 관계에서 여성의 위치 _44
2. 꾸란의 결혼관 _52
1) 일부다처제의 역사적 배경 _56
2) 무함마드의 여성관, 아내관 _63
3) 무슬림 결혼 절차 _67
3. 꾸란의 이혼관 _73
4. 꾸란의 재혼관 _82
제2장 꾸란의 일부다처제의 문제점 _85
1. 문제점 _85
1) 모든 부인에게 공평하라는 꾸란의 가르침 _85
2) 고아와 과부의 복지 문제 _93
3) 외국인 노동자들과의 국제결혼이 주는 폐해 _98
4) 다산으로 인한 무슬림 인구의 자연 증가 _101
5) 여성 할례 _105
2. 일부다처제에 관한 무슬림 학자들의 견해 _124
1) 아스가르 알리 엔지니어(Asghar Ali Engineer) _125
2) 하이파 자와드(Haifaa A. Jawad) _130
3) 아흐마드 디다트(Ahmed Deedat) _135
제3장 성경과 꾸란의 여성관과 결혼관 비교 연구 _140
1. 성경과 꾸란의 여성관 비교 _140
1) 여성의 사회적 위치 _140
2) 결혼 관계에서의 여성의 위치 _147
2. 성경과 꾸란의 결혼관 비교 _153
1) 성경적 결혼에 대한 정의 _153
2) 신약성경에서 말하고 있는 남편과 아내의 의무 _158
3) 남편과 아내의 성경적 리더십 _165
3. 성경과 꾸란의 이혼관과 재혼관 비교 _172
4. 성경의 일부다처제에 대한 이해 _177
1) 구약에 나타난 일부다처제의 예 _177
2) 일부다처제에 대한 성경 해석학적 접근 _180
3) 성경이 말하고 있는 신 중심적 결혼관 _184
1. 제4장 이슬람과 한국 여성 _188
1. 매스 미디어와 “다와” _196
1) 박동신의 “이슬람의 진리”, “한국인을 위한 이슬람” _196
2) 전주중앙성원 “학압두”의 이슬람 교리강좌 _205
3) ‘라마단’ 홍보를 통한 이슬람 포교 _208
2. 한국 여성을 향한 도전과 대응 _209
3. 한국 교회 여성 부흥 전략 _212
결론 무슬림 여성, 금기 아무나 깨나? _217
참고문헌 _226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 할례는 많은 무슬림 국가에서 이슬람의 이름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필리핀,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인도네시아에서 지금도 행해지고 있으며, 남아메리카에서는 브라질, 동부 멕시코, 페루에서 그리고 서양에서는 프랑스, 네덜란드, 스웨덴, 미국, 호주, 캐나다 등지에서 법을 피해 음성적으로 행해지고 있다는 보고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이는 남아메리카나 아시아, 서양에서 자생적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여성 할례 의식을 행해 왔던 무슬림들이 이동함에 따라 세계로 퍼져나가게 된 것이다.
무슬림들은 ‘자힐리야’ 시대의 아랍 여성들과 비교하여 이슬람의 도래 이후 아랍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많이 향상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슬람의 일부사처(一夫四妻) 제도에 관한 Sura 4:3에 관한 해설에서도 역시 최영길은 아내에 관한 숫자 제한이 없던 자힐리야 시대와 달리 이슬람의 도래로 말미암아 네 명의 아내로 제한하게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무함마드가 여성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이와 같이 아내의 수를 이슬람법에 의하여 네 명으로 제한하도록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영 방송국이 미화된 이슬람 여성관을 여과 없이 방송하였고, 이슬람 서점을 통하여서 이슬람 여성관에 대한 내용의 글들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홍보용으로 배부되고 있으며, 국제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많은 한국 여성들이 국제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현실에서 이슬람 여성관과 결혼관에 대한 객관적인 보도와 홍보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