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1169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0-03-2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정 흥 호 박사_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총장
김 요 한 목사_ 파리제일장로교회 A-PEN 이사장
고 성 준 목사_ 수원하나교회
저자 서문 10
제1부 무슬림 난민 현황 14
제1장 세계 무슬림 난민 이슈 15
1. 터키, 레바논, 요르단의 시리아 난민 현황과 선교 15
2. 유럽연합(EU) 2008년-2019년 난민 동향과 선교 57
3. 레바논의 한인 선교사 시리아 난민 사역 현황과 선교적 전망 70
제2장 한국 무슬림 난민 이슈: 한국교회와 국내 난민 선교 115
1. 한국의 난민 제도 및 현황 118
2. 난민 선교 동원을 위한 선교 교육의 중요성 142
제2부 무슬림 난민 선교 152
제1장 이집트 허드슨 153
1. 난민 학교를 통한 접근 방법 153
2. 이집트교회 미션 플랜팅 사역 158
제2장 레바논 정바울, 이민정 161
1. 사랑의하우스 사역 소개 161
2. 앞으로 난민 사역 방향 164
제3장 독일 이중덕 165
제3부 무슬림 이주민 선교 175
제1장 디아스포라 무슬림 이해 176
1. 이슬람과 디아스포라 178
2. 디아스포라에 대하여 183
제2장 미국 디아스포라 무슬림 203
1. 이슬람의 도시적 특징: 지역 교회를 위한 배경 지식 207
2. 신학 이론적 기초: 도시 무슬림들에 대한 선교를 위한 가이드 210
3. 역사적 관점: 변화의 과도기에 있는 West Rogers Park 지역 214
4. 문화 분석: 현현적 선교 활동 216
5. 선교를 위한 전략 개발 221
제3장 프랑스 디아스포라 무슬림 227
1. 프랑스의 이등 시민 234
2. 이주민 선교 : 선교적 제언 257
참고 문헌 266
부록 276
1. 내가 본 난민 - 서정복(요르단 자타리 캠프, 2013) 276
2. 내가 본 난민 - 이신영 (터키, 2016) 278
3. 내가 본 난민 - 임동우(독일 쾰른 난민 보호소, 2017) 281
4. 내가 본 난민 - 박동신(터키?독일?요르단, 2017) 283
5. 내가 본 난민 - 이예찬(그리스 아테네 난민 센터, 2017) 285
6. 내가 본 난민 - 구약의 관점에서 바라본 - 어윤선(요르단 나우르센터, 2018) 287
7. 내가 본 난민 - 조슬기(요르단 나우르센터, 2018) 290
8. 내가 본 난민 - 강민정(레바논 베카 난민촌, 2018) 292
9. 내가 본 난민 - 황진희(레바논 베카 난민촌, 2018) 294
10. 내가 본 난민 - 전해엽(그리스 레스포스섬, 2019) 296
11. 내가 본 난민 - 이수영(레바논 베카 난민촌, 2019) 299
12. 내가 본 난민 ? 박요섭(레바논 베카 난민촌, 사랑의하우스, 2020년 1월) 303
13. 내가 본 난민 - 이에스더(레바논 베카 난민촌, 사랑의하우스, 2020년 1월) 307
14. 내가 본 난민 - 정지혜(터키 한국문화센터, 안디옥 개신교회, 2020년) 309
저자소개
책속에서
2020년 2월 17일 현재 UN 난민기구(UNHCR)의 통계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7,080만 명의 사람들이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는 강제 이주민으로, 이들 중 2,590만 명의 사람들이 내전과 박해로 본국을 떠나야만 했던 난민들로 집계되었다. 또한, 난민 발생국 중 가장 많은 난민을 발생시킨 국가는 1위가 시리아로 시리아 난민은 UN 난민기구 통계만 해도 670만이고 그다음 2위가 아프가니스탄으로 270만, 3위가 남수단 230만으로 집계되었다.
구약성경은 난민들의 이야기이다. 난민 문제는 구약성경의 핵심 주제로 아브라함과 모세를 비롯하여 다윗에 이르기까지 난민 선교에 관련된 이야기들이며 난민을 통하여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인간은 누구나 하나님께 소망을 두고 하나님과 동행하는 난민이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마음을 헤아리고, 하나님이 이 시대에 무엇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지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구약 왕의 주요한 책임 중의 하나는 약하고 힘없는 자들의 편에서 행하는 것이고 부당한 취급을 받은 자가 정당한 대우를 받고, 억눌린 자가 구조되고, 힘없고 연약한 자가 자기 목소리를 내게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