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3411970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9-05-03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임 성 빈 박사,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 1
문 시 영 박사, 남서울대학교 교목실장 1
윤리 이론들의 주제 목록 8
실천 윤리들의 주제 목록 9
저자 서문 10
역자 서문 14
제1장 서론: 결정하는 법을 결정하기 17
제2장 성경과 기독교 윤리학 38
제3장 자연법 76
제4장 의무, 결과 및 기독교 윤리학 112
제5장 비판적 목소리: 과학, 기술 및 기독교 윤리학 156
제6장 비판적 목소리들: 덕의 발견 196
제7장 비판적 주장들: 해방신학들과 기독교 윤리학 224
제8장 비판적 의견들: 페미니스트 신학들과 기독교 윤리학 257
제9장 기독교 윤리학: 목회 및 공공 288
제10장 결론 320
색인
책속에서
만일 우리가 ‘기독교 윤리학’(Christian ethics)에 관해 말한다면, 이것은 우리가 어떤 점에서 기독교 신앙, 실천 및 신학의 맥락에서 옳고 그름, 선과 악, 의무와 가치 등에 관한 우리의 언어를 찾는 것이라고 제안한다. 아마도 ‘기독교 윤리학’이라고 명명된 지도는 ‘기독교 신학’(Christian theology)이라고 명명된 더 큰 지도 위에서 발견되는 영역의 일부에 해당될 것이다. 본 장의 후반부에서 우리가 기독교 윤리학이라고 부르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해 조금 더 언급할 것이다. 이 맥락에서 당신이 직면할 수 있는 다른 용어는 ‘도덕신학’(moral theology)이다. ‘기독교 윤리학’처럼, 이 용어는 기독교적 삶과 기독교 신학의 맥락에 서 도덕성에 관한 연구를 언급한다. 서구 기독교에서, 주로 역사적인 이유들로 인해, ‘도덕신학’에 관해 말하는 로마 가톨릭 교인들과 ‘기독교 윤리학’에 관해 말하는 개신교 교인들을 발견할 수 있지만, 이 두 용어는 거의 같은 뜻을 의미한다.
동성애를 포함하여 성 윤리의 질문들에 관한 공식적인 로마 가톨릭의 교훈은 자연법 사상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다. 그 논변은 우리의 성적 기관과 성적 욕구가 자연적으로 출산이라는 목표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것은 하나님의 피조물 가운데 만들어진 질서의 일부이다. 우리가 일찍이 보았듯이, 이 논변은 “인간 생명”(Humanae Vitae)에서 피임의 금지를 지지한다. 동성-성교는 아마도 하나의 목표로서 출산을 할 수 없으며, 이런 이유로 인해, 그것은 자연법에 위배된다. 이런 노선의 논변은 자연법 전통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토마스는 동성애 행위를 ‘자연적이지 않은’(unnatural) 것으로 기술함에 있어서 더 이전의 저자들을 따랐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남성과 여성 사이의 성교의 자연적 형태를 거스르기’(run counter to the natural mode of intercourse betweenmale and female)10 때문이다. 최근의 바티칸 문서들은 동성애 행위를 ‘본질적으로 무질서한’(intrinsically disordered)11 것으로 기술하면서 이런 견해를 반영한다.
19세기와 20세기에, 다양한 기독교 사상가들은 공리주의가 사실상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기독교적 명령의 철학적 버전이라고 주장했다. 가장 유명한 것으로, 1960년대에, 미국성공회 죠셉 플레처(JosephFletcher)는 본질적으로 행위 공리주의의 한 버전인 ‘상황 윤리’(situation ethics) 이론을 제안했다.19 플레처는, 완전한 도덕적 무법인 ‘도덕률 폐기론’(antinomianism)이라는 정반대의 덫에 빠지지 않고, 그가 엄격하고 절대적인 규칙들을 가지는 어떤 체계를 의미하는 ‘율법주의’(legalism)에서 벗어나기를 원한다.
그는 유일하게 절대적인 것이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이라는 타협책(중도의 길)을 추구한다. 법률과 도덕적 전통들이 우리를 안내할 것이지만, 우리는 어떤 사랑이 특별한 상황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인지를 미리 확실하게 알 수는 없다. 플레처가 지적하듯이, “사랑의 결정은 규정적으로가 아니라 상황적으로 이루어진다”(Love’s decisions are made situationally, not prescriptively).20 이제,네 이웃을 사랑하는 것은 그 혹은 그녀의 선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래서, 어떤 사랑이 우리의 상황에서 요구되는지를 발견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행동의 과정이 최대 다수를 위한 최대의 선을 유발할 것인가를 산출해 내야 한다.